beyond reason
미량원소 치유의학의 세계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하여 각광받고 있는 주요 영양소
1) 마그네슘
- 마그네슘은 인슐린의 분비와 합성을 조절하여 혈당의 항상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
- 세포내 마그네슘이 낮아지면 인슐린 활성이상을 가져오고, 고혈압 및 2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저항성을악화시킴.
-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서도 낮은 마그네슘 농도는 인슐린 저항성, 내당 불내성, 고인슐린 혈증과 관련이있음.
---==> 참고로 마그네슘은 에비앙 물, 아몬드 15알 섭취로 보충가능.



2) 크롬
- 크롬과 혈당내성간의 관계에 중요한 결과가 발표됨. 당뇨병환자에게 크롬을 사용하면 공복 및 식후혈당, 인슐린과 당화혈색소등을 유의하게 감소시킴.
- 크롬의 특정 지용성 형태가 세포막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매개성 당 유입을 증가시킴.
- 크롬 결핍은 혈당상승,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과 연관됨.


Putative mechanisms by which chromium augments cellular glucose uptake. Chromium has been shown to enhance the kinase activity of insulin receptor β, to increase the activity of downstream effectors of insulin signaling pI3-kinase and Akt and to enhance Glut4 translocation to the cell surface. Chromium also down-regulates PTP-1B, the negative regulator of insulin signaling and alleviates ER-stress within the cells, rescuing IRS from JNK-mediated serine phosphorylation and subsequent ubiquitination. Transient upregulation of AMPK by chromium leads to increased glucose uptake. Chromium mediates cholesterol efflux from the membranes causing glut4 translocation and glucose uptake.
3) 바나듐
- 황화바나듐은 미네랄 바나듐이 들어있는 염류임.
- 인체실험에서 바나듐을 하루 100-125mg을 복용하였더니 2형 당뇨병의 인슐린 감수성이 호전됨.



4) 비오틴(비타민 B7)
- 비오틴은 대장의 미생물에서 합성될 수 있는 비타민
- 비오틴 결핍은 내당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음.
- 고용량( 하루 9mg) 비오틴 복용은 2형 당뇨병의 혈당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

5) 복합 리놀린산(linoleic acid)
- 복합 리놀린산은 로놀린산 유사체의 복합체로 식품과 육류에 많이 포함.
- 복합 리놀린산은 thiazolidinedione같은 인슐린 감수성 경구제제와 비슷한 효능.
6) 알파 리포익산(alpha lipoic acid)
- 알파 리포익산은 인슐린 자극에 의한 당대사를 증가시킴.


7) 녹차
- 녹차는 인슐린 조절에 중요한 역할
- 녹차의 주요성분인 카테킨과 에피카테킨은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고 췌장을 보호함.

8) 계피
- 향신료인 계피가 인슐린과 유사한 효과를 보임.
- 하루 1g의 계피가루를 6주간 복용한 당뇨환자군에서 공복혈당,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호전을 보임.

논문자료
비타민 D
- 비타민 D 복용은 인슐린 저항성을 낮춤.
- 햇빛으로 보충

비타민 B9(엽산)과 비타민 B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