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에 걸쳐 다섯번 제주도를 방문하여 모두 6개월을 살아보았습니다.
제주도에는 육지와는 달리 기후, 풍습, 환경들이 많이 달라 처음부터 많은 호기심이 있었습니다.
특히 돌담길, 푸른 아열대성 자연환경, 끝없이 펼쳐지는 해안도로, 한라산과 오름 등,
어느것 하나 놓치고 싶은 것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 좋은것은 아침, 저녁으로 Remote Control을 이용하여
여러분들과의 교신시간이 특히 즐거웠습니다.
아들이 경영하고 있는 회사가 제주도에 지사가 있어서 자주 가게 된 계기가 되었지만,
부모가 아들 회사에 자주 가는 것도 이상하고, 그렇다고 평소 알고 지내는 지인들도 없어
외부와의 소통은 오로지 휴대폰을 이용한 올타넷 교신이었습니다.
제주도를 떠나기 전 만들어 둔 종합 무전기 제어장치가 이렇게 고맙게도 잘
작동할 줄 몰랐습니다. 평소에는 3대의 무전기를 One Toutch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고,
바깥에 나가 있을 때는 휴대폰으로 Remote Control를 이용하여 교신할 수 있게 제작
하였는데, 제주도를 떠나는 날 까지 단 한번의 에러도 없이 잘 작동하였습니다.

- 4 CH 종합 무전기 Controller의 내부 모습 -
전관방송용 Lack에서 분리된 전원부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2v, 24v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에다 “아두이노” 제어장치를 포함하였는데, 복잡한 것처럼 보입니다.
- 전체 시스템의 구성 -
4 CH 종합무전기 Controller의 전체구성은 위와 같이 원격지에서 인터넷으로 보내는 신호를 받는 부분과
샤크룸에서 직접 무전기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 입력신호는 “아두이노”로 보내어 선택된 무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든지, 또는 안테나 래치릴레이를 가동하여 필요한 무전기에 안테나를 무전기 선택과 동시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됩니다.
이러한 동작은 “아두이노”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음 한번만 실행됨으로
작동이후에는 여러 입력 스윗치를 건드려도 어떤 경우든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컴퓨터 위에 올려진 4ch 종합 무전기 Controller의 외관입니다.
Remote Control 무전기는 이중화 되어 있음으로 위와 같이 컴퓨터도 두 대이며,
원격지에서 안터넷으로 TS480 또는 FTdx1200무전기를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중앙에 있는 단자는 인터넷으로 원격지에서 컴퓨터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도록
컴퓨터 전원 스윗치를 외부로 노출한 부분입니다.

- 안테나 래치 릴레이 장치 -
종합 무전기 Controller의 가장 큰 특징은 여러대의 무전기를 한번의 스윗치 조작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이 각 무전기에 연결되는 안테나 동축 케이블을 래치 릴레이에 연결하고 “아두이노”의 제어명령으로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필요한 무전기에 안테나가 연결됩니다. 이 장치는 또한 수동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Pannel화 되어 있습니다.

- 무전기별로 부착된 SSR -
종합 무전기 Controller의 "아두이노"에서 나온 무전기 전원제어 명령은 위와 같이
독립된 SSR로 입력되어 12V의 무전기 전원을 직접 제어합니다. 아크릴로 보호되어 있어
사진이 흐리게 나왔습니다.

- 아두이노를 이용한 무전기 종합제어장치 핵심부분 -
"아두이노 우노"에 4개의 릴레이가 부착되어 있어 무전기 전원을 SSR에 의해 제어 됩니다.

- Sonoff를 이용한 인터넷 이중화 스위치 -
제주도에서 휴대폰으로 우리집의 샤크룸에 있는 무전기 전원을 마음대로 켜고 끄고 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두 대의 무전기를 자유자재로 원격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이것도 두 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도 “아두이노 나노”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작하고 있는데, 이유는 Sonoff출력이 1분단위로 신호출력이 나옴으로
이를 1초 단위로 변환하여 마치 컴퓨터 곁에서 직접 조작하는 효과를 노리기 위해서입니다.
모든 시스템의 안정화된 작동을 위해서 시스템을 이중화 한 덕을 이번 기회에 단단히 보았습니다.
시스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는 원래 WOL(Wake 0n Lan)기능을 이용하였는데, 이번에 인터넷 스윗치 Sonoff로 이중화 하였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WOL기능이 우리집 인터넷 분배기의 시스템 에러로 작동이 되지 않아 WOL기능을 이용할 수 없게 되었는데,
다행스럽게도 Sonoff 인터넷 스윗치를 이용하여 차질없이 리머트교신을 할 수 있었습니다.
집에와서 인터넷 분배기를 Reset시켰드니 정상작동이 되었는데, 아마 프로그램들이 서로 엉켜 있어서
문제가 발생한것 같았는데, 모든 작동 기능을 이중화하지 않았다면 한달동안 에러없이 사용할 수 없었을듯 했습니다.

휴대폰에서 위의 iptime WOL 기능을 이용하면 lan환경에서 접속된 다수의 컴퓨터 전원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LAN환경을 제어하는 인터넷 분배기가 에러가 되면 이 기능을을 제대로 실행할 수 없지요.
제주도에서 집에 도착하여 살펴 본 결과 특별한 이상이 없어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 보니 정상으로 작동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장기간 원격지 사용을 위해서는 시스템 기능을 이중화 할 필요가 여기에 있습니다.

원격제어를 위항 앱을 가동하면 휴대폰에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우리집의 모든 원격제어기기 목록이 나타나지요. 필요한 기기를 선택하여 터치하면 마로 작동합니다.

인터넷 스윗치 Sonoff는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 특히 이와같은 Timer 기능이 있어 매우 편리힙니다.
"신통방통" 시스템에는 위와같은 Timer가 있어 주인이 있으나 없으나 없으나 매일 설정된 시각에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제주도에서 샤크룸의 여러 장치를 원격 조작 할 때는 내가 조작한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궁금 할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샤크룸에는 위와 같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CCTV장치를 해 두고 원격 조작한 과정대로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감시할 수
있어 편리하였습니다. 특히 이 화면은 확대 축소가 가능하여 세세한 장면까지 다 포착할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거실등도 자동 타이머를 설정하여 우리집은 주인이 없어도 주.야 언제나 여러대의
CCTV가 사각지대 없이 항상 감시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원격지에서 우리집의 컴퓨터를 직접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와같은 Teamviewer를 이용합니다.
Remote교신을 위해서는 항상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교신을 마쳤을때는 컴퓨터의 전원과 무전기 전원을
끄야 하는데 무전기 전원은 휴대폰의 RCForb S/W로 화면 터치에 의해서 끌 수 있지만
Power Supply 전원과 컴퓨터의 전원은 끌 수가 없습니다.
무전기 Power Supply 전원과 컴퓨터 전원은 서로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 전원을 끄면 무전기의 Power Supply전원도 같이 꺼지게 됨으로 Teamviewer를 이용하여
임의로 모든 전원을 OFF할 수 있으므로 대기 전력은 0.2w정도의 Sonoff전원과
인터넷 분재기에 공급되는 전력으로 극히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원off기능의 이중화를 위해 컴퓨터의 Windows의 명령으로 TOT(Time Off Timer)를 설정해 두었는데,
원격지에서 우리집의 컴퓨터 전원과 무전기 Power Supply전원을 off 시키지 못할때는 컴퓨터의 Windows명령이 실행되어
자동으로 꺼지게 되어 항상안정되게 작동되는데, 이 시간을 2시간으로 설정해 두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가 켜지고 나 후 두 시간동안만 신통방통 시스템이 작동하다가 그 후에는 자동으로 전원이 off됩니다..
이와같이 이중으로 모든 기능을 설정해 둔 덕택으로 한달동안의 장기간에도 모든 시스템이
정상으로 작동되어 제주도에서 여러분들과의 교신이 대단히 즐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무결점 리모트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하여 얼마나 많은 노력과 수고가 필요한가를 보여주는 실예라 하겠습니다.
자세한 설명과 모든 장치를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올타넷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여 후일에 두고두고 참고가 되겠습니다. 저는 Sonoff 기능과같은 집벽의 콘센트에 덧붙혀 사용하는 16A리레이가 들어있고 인터넷 리모트로 사용하는 스위치가 있는 콘센트를 구입하였는데 ON/OFF기능뿐아니라 전압 전류 전력도 리모트로 볼수있고 통계도 내주어 놀랬습니다.
이제 스마트홈시대에 들어왔습니다.
감사합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나와서 옛날에 비해 원격제어장치를 구축하기가 훨씬 수월해 졌습니다. Sonoff는 릴레이 출력이 10A이기 때문에 무전기 12V 전원을 직접제어하지 못해서 30A SSR을 이용했습니다. 리모트로 전압 전력까지 확인할 수 있는 리모트 스윗치가 있다면 그것도 매우 활용도가 높을것 같습니다. 그런데 Sonoff는 5개에 4만원을 주고 구입했는데 가격도 싸고 성능도 아주 안정되게 잘 작동합니다. 이들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면 그야말로 유비쿼터스 사회를 매우 쉽고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지금 위에 떠있는 자료가 햄에게는 보석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 달 간 무사고로 완벽하게 잘 동작하고 가동을 했으므로,
더이상 추가할 장치가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조상의 지게가 장기간 우리 민족에게는 간편하게 운반하는 기구로써 만능이었듯이
햄에게 그런 역할을 장기간 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합니다.
원방제어 운용을 100 % 편안하게 할 수 있다면 어찌 흥미를 유발시키지 않겠습니까.
감사합니다. 장치가 복잡하고 여러 소프트웨어가 동시에 작동하면 서로 엉켜서 에러가 날수 있는데, 장치의 동작기능을 이중화하여 이 기능이 작동되지 않으면 다른 명령어로 대체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도 한달동안을 잘 버틸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iptime 인터넷 공유기의 소프트웨어 일부분 에러가 한번 있었지만 Sonoff 스윗치가 그 역할을 대체할 수 있어 정상 동작을 할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가 만든 소프트웨어와 장치는 에러없이 잘 동작하였습니다. 이대로 라면 일년이상 이라도 먼곳에서 잘 사용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큰 흐름은 어리짐작할 것도(?) 같습니다만 대단한 장치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훌륭하신 작품, 대단하십니다.
덕분에 Voip(신통방통)을 통해서 아침 출근시간이 즐거웠고, 멤버들의 목소리를 익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