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힐리스 밀러(Hillis Miller) 연보
힐리스 밀러(Joseph Hillis Miller Jr., 1928년 3월 5일 생~2021년 2월 7일 몰; 향년 94세) 연보
예일학파
미국의 대표적인 문학 비평가
해체주의자•해체주의 문학 비평가
―해체주의를 문학 비평의 방법론으로 채용하는 예일학파 비평가 일단
부자 2대 문학 비평가(부 대학교수•대학총장•문학 비평가 조셉 힐리스 밀러 1세, 본인 대학교수•문학 비평가 조셉 힐리스 밀러 2세)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 동문
존스홉킨스대학교(Johns Hopkins Univ.) 교수•예일대학교(Yale Univ.) 교수•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Univ. of California, Irvine) 교수
플로리다대학교(Univ. of Florida) 명예박사•버크넬대학교(Bucknell Univ.) 명예박사•사라고사대학교(Univ. of Zaragoza) 명예박사
예일대학교 명예교수•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명예교수•북경대학교 명예교수
MLA 회장•미국 예술과학원(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회원•미국 철학회(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회원
영국 빅토리아 시대 문학 전공
부 조셉 힐리스 밀러 2세(J. Hillis Miller Sr., 1899년 8월 29일 생~1953년 11월 14일 몰; 향년 55세, 침례교 목사, 심리학 전공, 윌리엄앤메리대학(College of William & Mary) 심리학 교수, 플로리다대학교(Univ. of Florida) 총장, 대학 교수•대학 총장•문학 비평가)
―1899년 8월 29일 미국 버지니아(Virginia)주 프론트 로열(Front Royal) 생, 1924년 리치몬드대학교(Univ. of Richmond) 학사 학위, 1928년 버지니아대학교(Univ. of Virginia) 석사 학위, 1933년 컬럼비아대학교(Columbia Univ.) 박사 학위, 1950년경 플로리다대학교(Univ. of Florida) 총장, 1953년 11월 14일 미국 플로리다(Florida)주 게인스빌(Gainesville)에서 별세
모 넬 마틴 밀러(Nell Martin Miller, 가정주부)
처 도로시 제임스 밀러(Dorothy James Miller, 1949년 생~2021년 1월 몰; 향년 73세)
자녀 1남 2녀
1남 매튜 밀러(Matthew Miller)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에서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에 대한 비평 논문을 씀.
2녀 로빈 밀러(Robin Miller)
3녀 샐리 밀러(Sally Miller)
1928년 1세 3월 5일 미국 버지니아주(Virginia) 뉴포트 뉴스(Newport News)에서 대학교수•대학총장•문학 비평가 J. 힐리스 밀러 1세의 아들로 대학교수•예일학파 문학 비평가 J. 힐리스 밀러 2세 출생
1944년 17세 오벌린대학(Oberlin College) 입학
1948년 18세 오벌린대학 학사 최우등 졸업(1학기 단축 조기 졸업, 물리학에서 영문학으로 전공 변경)
1949년 19세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 석사 학위. 도로시 제임스(Dorothy James)와 결혼(결혼 기간. 1949년~2021년 1월)
―오른손 장애로 왼손으로 학위 논문 작성
1952년 22세 하버드대학교 박사 학위. 윌리엄스대학(Williams College)에서 영문학 강의
1953년~1972년 23세~42세 존스홉킨스대학교 교수. 동료 교수 제네바학파 조르쥬 풀레(Georges Poulet)와 교유. 예일학파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폴 드 만(Paul de Man)과 교유
―1960년대 후반 자크 데리다와 매주 화요일 오찬
1955년~2021년 25세~94세 문학 계간지 『ELH』(ELH) 편집인
1963년 36세 존스홉킨스대학교 정교수 승진
1964년~1968년 37세~41세 존스홉킨스대학교 학과장
1970년대 이전 43세 이전 작가 의식을 중시한 제네바학파의 영향을 받아 작가 정신 비평을 비평의 지론으로 실천
1970년대 이후 43세 이후 예일학파 해체주의 비평에 합류
1971년 44세 폴 드 만(Paul de Man)이 예일대학교 교수로 부임
1972년~1986년 45세~59세 예일대학교 교수로 14년간 재임. 동료 교수 폴 드 만,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 해럴드 블룸(Harold Bloom)과 교유
1972년 45세 예일대학교 비교문학과 대학원생 안드례 워민스키(Andrzej Warminski)는 어느 인터뷰에서 밀러 교수가 당시에 빅토리아 소설을 전공으로 하는 14편의 박사 학위 논문을 지도하고 있었다는 말을 영문과 친구들로부터 들었다고 전언
1975년 48세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가 예일대학교 교수로 부임
1976년 49세 12월 MLA 세션에서 논문 「진행자로서의 비평가」(The Critic as Host) 발표
1980년 53세 더글라스 애트킨스(Douglas Atkins), 「J. 힐리스 밀러, 해체주의, 그리고 초월적 복권」(J. Hillis Miller, Deconstruction, and the Recovery of Transcendence), 『노틀담 영문학 저널』(Notre Dame English Journal)가을호 제13권 제1호, 51~63
1983년 56세 폴 드 만 별세
1986년~2002년 59세~75세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Univ. of California Irvine) 교수
1986년 59세 MLA(the Modern Language Association) 회장. 논문 「이론의 승리」(Triumph of Theory)를 MLA 세션에서 발표
다니엘 슈워츠(Daniel R. Schwarz) 저, 『인도주의적 유산』(The humanistic heritage: critical theories of the English novel from James to Hillis Miller, 맥밀란(Macmillan) 간)
1998년 71세 밀러 외 저, 이기우 편역,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A Reader), 한국문화사 간
2002년 75세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영문과 및 비교문학과 저명한 리서치 교수(Distinguished Research Professor of the Univ. of California Irvine) 사임.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영문과 및 비교문학과 저명한 리서치 명예 교수(Emeritus) 임명. 정교수 은퇴 후, 박사 학위 논문 심사위원(미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미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호주 퀸스랜드대학교).
2003년 76세 정태진, 「조셉 힐리스 밀러 문학 비평 연구」,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논문집』 제4권, 원광대인문학연구소. 187~218. (논문)
2004년 77세 미국철학회(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선임
12월 밀러 저, 최은주 역, 『문학에 대하여』, 문예신서 255, 동문선 간
2005년 78세 MLA 수여 평생업적상(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
2007년 80세 김종갑, 「비평의 윤리성과 정치성―힐리스 밀러의 경우」, 『수사학』 제7호, 한국수사학회. 137~158. (논문)
2013년 86세 7월 밀러 외 공저, 최용미 역, 『아듀 데리다: 지젝과 랑시에르 바디우가 데리다에게 보내는 추모의 글』, 인간사랑 간
2017년 90세 박민호, 「미래 문학의 ‘가능성’과 ‘불가능성’―힐리스 밀러(Hillis Miller)와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의 문학 종언론에 관한 일고찰」, 『세계문학비교연구』 제60권 제60호. 5~24. (논문)
2021년 94세 1월 부인 도로시 제임스 밀러 사망. 2월 7일 미국 메인주(Maine) 세지위크(Sedgwick)에서 전염병으로 별세. 향년 94세
2024년 조나단 록 하트(Jonathan Locke Hart), 『J. 힐리스 밀러와 문학의 유희』(J. Hillis Miller and the Play of Literature), 루틀릿지(Routledge) 간
저서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 The World of His Novels, 1958년)
『신의 사라짐』(The Disappearance of God: Five Nineteenth-Century Writers, 1963년)
『현실의 시인들』(Poets of Reality: Six Twentieth-Century Writers, 1965년)
『빅토리아 소설 형식』(The Form of Victorian Fiction: Thackeray, Dickens, Trollope, George Eliot, Meredith, and Hardy, 1968년)
『토마스 하디, 거리와 욕망』(Thomas Hardy, Distance and Desire, 1970년)
『찰스 디킨스와 조지 크뤽샌크』(Charles Dickens and George Cruikshank, 1971년)
『소설과 반복』(Fiction and Repetition: Seven English Novels, 1982년)
『언어적 순간』(The Linguistic Moment: from Wordsworth to Stevens, 1985년)
『폴 드 만의 교훈』(The Lesson of Paul de Man, 1985년)
『독서의 윤리』(The Ethics of Reading: Kant, de Man, Eliot, Trollope, James, and Benjamin, 1987년)
『피그말리온의 버전들』(Versions of Pygmalion, 1990년)
『빅토리아의 주제들』(Victorian Subjects, 1990년)
『20세기 문학론』(Tropes, Parables, Performatives: Essays on Twentieth Century Literature, 1990년)
『이론의 현재와 과거』(Theory Now and Then, 1991년)
『호손과 역사』(Hawthorne & History: Defacing It, 1991년)
『아리아드네의 실』(Ariadne’s Thread: Story Lines, 1992년)
『삽화』(Illustration, 1992년)
『지형학』(Topographies, 1995년)
『서사 읽기』(Reading Narrative, 1998년)
『검은 구멍들』(Black Holes, 1999년)
『기타』(Others, 2001년)
『문학의 언어 행위』(Speech Acts in Literature, 2001년)
『문학론』(On Literature, 2002년)
『힐리스 밀러 독본』(The J. Hillis Miller Reader, 2005년)
『행위로서의 문학』(Literature as Conduct: Speech Acts in Henry James, 2005년)
『매체가 메이커이다』(The Medium is the Maker: Browning, Freud, Derrida, and the New Telepathic Ecotechnologies, 2009년)
『데리다를 위하여』(For Derrida, 2009년)
『공동체의 대화재』(The Conflagration of Community: Fiction Before and After Auschwitz, 2011년)
『우리 시대의 독서』(Reading for Our Time: Adam Bede and Middlemarch Revisited, 2012년)
『소설 속의 공동체들』(Communities in Fiction, 2014년)
『중국 강연』(An Innocent Abroad: Lectures in China, 2015년)
『대륙 횡단 문학에 대한 생각』(Thinking Literature Across Continents, 2016년) (“J._Hillis_Miller,” wikipedia 참조)
* 밀러의 해체주의 비평: 힐리스 밀러는 대학교수이자 문학 비평가인 부친 힐리스 밀러 1세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다. 아들 힐리스 밀러 2세는 영국 빅토리아 시대 소설을 전공으로 했으며, 1953년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처음 시작하면서 동료 교수 조르쥬 풀레의 영향을 받아 제네바학파의 의식 비평으로 출발했다. 제네바학파는 타자의 의식에 대한 의식에 중점을 두었다. 10년 후인 1963년 정교수가 되었으며, 1964년 학과장이 되었고, 19년 후인 1972년 예일대학교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986년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의 교수로 초빙을 받았다. 2001년 정교수를 은퇴하고 어바인캠퍼스 명예 교수가 되었으며, 2021년 최종 직위 존스홉킨스대학교 명예 교수로 별세했다.
밀러 비평은 본래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과 제네바학파의 의식 비평에서 출발했으며, 따라서 언어나 텍스트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급진적인 주장을 하기보다는 언어나 텍스트는 의미가 존재하되 다른 언어나 다른 텍스트와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생성한다는 논리이다. 의미의 무의미가 아니라 의미의 무제한적 관계와 무제한적 의미 생성을 뜻하며, 따라서 무제한의 의미 생성을 뜻한다. 해체주의 비평의 탈의미는 의미의 자유 유희라고 할 수 있다.
* 힐리스 밀러 부자(父子) 2대 문학 비평가: 힐리스 밀러 2세의 아버지는 조셉 힐리스 밀러 1세이며, 대학교수이자 문학 비평가로서 플로리다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던 침례파 목사였다. 아버지의 영향을 받은 힐리스 밀러 2세 역시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대학교수 겸 문학 비평가로 명성을 떨쳤다. 밀러 1세와 밀러 2세는 부자가 대학교수와 문학 비평가를 역임한 문학 비평가 부자 2대 가문을 이루었다.
* 힐리스 밀러에 대한 국내 연구 성과: 문학 비평가 힐리스 밀러에 대한 한국의 연구 성과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다음과 같이 검색된다. 정태진, 「조셉 힐리스 밀러 문학 비평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제4권,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3년 등 국내 학술 논문 5편; 정정호, 『영미문학비평론: 이론, 주제, 실제』, 푸른사상사, 2014년; 양경언, 「고정희 시에 나타난 의인화 시학 연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1년 등 학위 논문 4편; 김성옥, 「실코의 『죽은 자의 연감』에 나타난 반복으로서의 서사」, 한국연구재단(NRF), 2016년 등 연구보고서 3편이 있다. <끝> <2024년 3월 21일,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J. Hillis Miller,” wikipedia; “J. Hillis Miller: American literary critic,” Britannica; Clay Risen, “J. Hillis Miller, 92, Dies; Helped Revolutionize Literary Studies,” The New York Times, 2021-02-13; “J. Hillis Miller,” UCI Faculty Profile System, <http://faculty.uci.edu/>>; Jeremy Maryott, “In Memoriam: J. Hillis Miller, noted literary critic and theorist, dies at 92,” HUB Johns Hopkins University, <http://hub.jhu.edu>; 기타 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