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옛날에는 남자 나이 30에 장가들고, 여자 나이 스물에 시집을 갔다. 음양의 기운이 완전히 충만해지기를 기다린 것인데, 그래야 자식을 쉽게 낳고 건강하게 길러 장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후세에 이러한 혼인에 적절(適切)한 나이를 지키지 않고, 남자는 16살도 못 되서, 여자는 14살도 못 되어 결혼하는 조혼의 풍습이 크게 번졌다.
그 결과 오장육부(五臟六腑)가 튼실하게 발육되지도 못한 상태에서 아이를 낳게 되니, 온갖 이상한 질병이 생겨나고, 낳은 자식을 제대로 다 기르지도 못한 상태에서 요절하는 일이 아주 흔해졌다. 이 모두 부모의 도리를 잘 모른 소치다. 이 도리는 우리의 건강 및 생명에 직결된 아주 중요한 문제다. 그런데도 부모 된 사람들이 자녀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일러주기를 어색해 하고, 교사된 이들도 제자들에게 가르쳐 주기를 민망해 한다. 그러다가 나중에 깨달았을 때는, 후회해도 이미 늦기 십상이다. 이에 특별히 대강의 요점을 말하여 후세 사람들이 모두 환하게 알고 지키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무릇 여자는 나이 14세가 된 뒤에는 생리가 매달 한 번씩 나오는데, 3일이 지나야 멈춘다. 30일에 한 번씩 나오는 것이 정상이고 이십 며칠이나 삼십 며칠마다 나오면 생리불순(生理不順)으로서 대부분 아기를 얻기가 힘들다. 그러면 먼저 약을 복용하여 생리가 정상이 된 다음, 생리혈이 3일간 다 흘러 나와 말끔해지기를 기다렸다가 부부 관계를 가져야 한다.
원료범(袁了凡)은 말했다.
무릇 부인의 생리가 다 끝날 때, 오직 하루, 생명의 기운이 피어오르며 꿈틀거리는 때가 있으니, 이른바 춘의(春意)(여자가 남자를 생각하는 것)가 움직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부인은 수줍고 부끄러워 말을 잘하지 못하므로 남편 되는 사람이 평소에 은밀히 말해 두었다가, 그 때가 되면 부인이 스스로 말하도록 하여 관계를 가지면 한 번에 자식을 얻을 수 있다.
장경악(張景岳)이 말하였다.
상등(上等)인 군자는 정(精)을 몇 달간 잘 보존하여 길렀다가 비로소 한 번 결합한다. 예로부터 ‘성욕이 적으면 아들을 많이 낳는다.’고 한 속담이 그 뜻이다.중등(中等)인 선비는 부인의 생리가 말끔히 끝난 뒤에 결합하는데, 또는 달이 밝고 비바람이 없는 밤도 괜찮다. 평상시에도 여자를 가까이 하지 않으며, 더러는 부부간에 각방을 쓰기도 하고, 한 방에서 자더라도 침대나 이불을 따로 쓴다. 이런 사람은 자식을 낳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체도 건강하게 보양할 수 있다.그러나 하등(下等)의 남자는 때를 가리지 않고 사흘 내지 닷새만에 한 번씩 결합한다. 이런 사람들은 틀림없이 속으로 골병이 들게 된다.
그리고 하등 가운데 더 하등인 자들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매일 하거나, 하루에도 여러 차례 하기도 한다. 이런 망할 운수의 자식들은 틀림없이 정액이 물처럼 묽어져서, 머지않아 갑작스런 질병으로 졸지에 죽을 수도 있다.무릇, 음력 초하루와 보름 전날 밤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또 자정(子正)은 몸 안의 양기(陽氣)가 막 생기기 시작하는 때이므로 이때의 한 차례의 관계는 평상시의 100번에 해당할 정도로 양기의 소모가 심하므로, 역시 해서는 안 된다.
또한 몸에 가벼운 병이라도 있을 때(가벼운 병은 중환으로 악화되고 중병일 경우는 죽을 위험이 매우 높다.), 취중(醉中)이나 포식(飽食)한 뒤, 배를 타거나 길을 걸어 여행한 뒤 이삼일 이내, 강풍(强風), 천둥번개, 심한 추위나 더위, 일식 월식, 신상(神像) 앞이나 시신(屍身) 무덤 주위, 재계(齋戒) 중일 때, 제삿날, 대낮, 달빛이 비추거나 조명(照明)이 밝은 곳에서도 해서는 안 된다. 경신(庚申)일이나 갑자(甲子)일, 자신과 배우자와 자신의 생일, 음력(陰曆)으로 매월 28일도 안 된다.
남녀간에 성교를 했거나 몽정(夢精)을 한 뒤, 3일 내지 5일안에는 찬물이나 찬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되고, 성질이 찬 약을 먹어서도 안 된다. 만약 꼭 약을 먹어야 할 병이 있다면 의사에게 분명히 말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한여름에도 차가운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되며, 싸늘한 날씨에는 비바람을 맞아서는 안 된다. 만약 이를 범하면 틀림없이 궐음병의 증상이 나타난다. 남자는 성기가 위축되고, 여자는 유방이 수축된다. 또 팔 다리가 차가워지고, 배가 아프며, 심하면 산삼과 녹용으로도 구하지 못하고 죽는다.
여자가 생리를 한 뒤에 몸이 허(虛)한 경우에도 이상의 금기를 지켜야 한다. 또 유산(流産)의 경우, 임신한 지 석 달 내지 다섯 달이 지난 경우라면, 흔적이 뚜렷하므로 본인이 알아차릴 수 있지만, 한 달이나 반달 안에는 유산을 해도 본인이 대부분 잘 모르고 지나친다. 심지어 여러 번 임신했다가 매 번 유산하여, 간(肝)의 핏줄이 자주 손상되어, 평생 임신을 못하는 여자도 있는데, 이러한 유산의 대부분은 임신 중에 부부관계를 함부로 하기 때문이다.
세상의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들은, 온갖 방면으로 예방하고 보호해서, 자식들이 16-17세에 이를 때까지, 뿌리가 되는 정기(精氣)를 전혀 손상시키지 않도록 해서, 평생 별다른 질병 없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어머니 뱃 속에 있을 때 일찌감치 임신 중 성교로 손상을 심하게 당해 버리면, 세상에 태어나도 제대로 건강한 사람 구실을 하지 못한다. 아아, 이것이 도대체 누구의 잘못인가?
2 사람의 몸은 금(金)이나 쇠로 만들어진 게 아니고, 기혈(氣血)이 조화롭게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사람은 성욕(性慾)을 스스로 절제하기가 어렵다. 처음엔 별 탈도 없고 괜찮은 것 같지만, 함부로 성행위를 하다보면 날로 손상되어간다. 그리하여 달이 가고 해가 가면, 정력(精力)과 골수(骨髓)가 바닥이 나고, 기혈이 고갈되면, 결국엔 육신이 죽게 된다.
사람의 기혈이 여섯 경락(經絡)으로 이루어진 몸을 도는 데는, 매일 한 경락씩 운행하므로 6일이 걸린다. 그런 까닭에 만약 밖에서의 감촉을 받아 [성행위를 하기는커녕] 성욕이 일어나기만 해도, 가장 가벼운 경우라도, 그 때 운행 중이던 경락의 기혈이 손상되며, 이 손상된 기혈이 다시 원상회복되기 위해서는 그로부터 반드시 6일이 지나 다음 번 운행시기가 돌아와야만 한다. 하물며 사정(射精)을 하게 되면 기혈이 손상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도 세상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전혀 모르고 7일이 못되어 다시 정(精)을 쏟아 버린다. 그러면 경락의 기혈이 회복될 시간도 없이 다시 손상된다. 그 결과 안이 허(虛)한 상태에서 밖에서 사기(邪氣)가 침입하면, 온갖 질병이 다투어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모두 환절기나 날씨 탓으로 돌리거나, 운이 없어서 우연히 병을 얻었다고 핑계를 댄다. 이는 어떤 병도 하루아침에 우연히 발작하는 것이 아니며, 그 원인이 오랜 시간에 걸쳐서 점차로 이루어진 것임을 모르기 때문이다. 요컨대, 주역(周易)의 ‘7일만에 왕래를 반복한다.’는 이치를 삼가 준수하지 않고서 어겨옴으로써 화근이 점차로 축적되었다가 드디어 터진 것일 뿐인 것이다.
이제 성교(性交) 기한의 표준을 정하여 밝히니, 각자 성욕을 절제하여, 자신의 건강과 생명을 보전하는 근본으로 삼았으면 좋겠노라. 20대는 7일을 주기로, 30대는 14일 주기, 40대는 28일 주기, 50대는 45일, 60대가 되면 생식활동이 끝나므로 이때는 성욕 자체를 끊고, 성교를 멈추어, 정혈(精血)과 골수를 견고히 지키고, 깨끗하게 굳게 닫아서 갈무리함을 근본으로 삼아야 하나니, 만에 하나라도 정액(精液)과 기혈을 쏟아서는 안 된다.
이 기준은 봄과 가을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여름과 겨울은 또 사정이 다르다. 이 두 기간에는 성교를 끊는 게 원칙이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면, 20대는 14일 주기, 30대는 28일, 40대는 45일을 주기로 한 번 한다. 50대에 이르면, 혈기가 몹시 쇠약해지므로 여름에는 60일에 한 번 정도 가질 수도 있지만, 겨울철은 굳게 지켜 쏟아 내지 않는 것이 좋다.
겨울은 천지(天地)자연이나 인체의 기운 모두, 굳게 지켜 다가올, 새 생명을 낳을 봄을 준비하는 시기이므로 정기를 지키는 중요성이 여름철보다 10배나 더 중요하다. 이상과 같은 사항들을 지키고 실천하는 사람은, 질병을 물리치고 건강하게 장수할 것이다.
출처 : 불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