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사시란 소아 연령층의 약 2%를 차지하는 흔한 질환으로 정상적인 시기능의 발육뿐만 아니라 사시에 의한 약시를 예방하기 위해 조기진단 및 치료가 강조되는 질환입니다.
사시의 원인 아직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유전, 해부학적이상, 근육운동이상, 신경지배이상 및 감각이상 등이 단일 혹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시의 종류
편성 사시 한쪽눈의 시선이 항상 편위되어 있는 사시
간헐성 사시 한쪽 눈을 가렸을 때만 나타나는 잠복사시 혹은 사위, 평상시에는 두눈이 바르게 정렬되어 있지만 멍하게 있거나 어떤 자극을 받을 때 눈이 돌아가는 간헐성 사시
내 사시 안구의 편위방향에 따라 내측으로 편위된 경우
외 사시 외측으로 편위된 경우
상(하) 시 상(하)측으로 각각 편위된 경우
단안 사시 사시의 방향이 항상 일정한 눈에만 나타나는 사시
교대성 사시 양안이 교대로 편위되는 사시
가성 사시 두 눈의 정렬이 정상으로 되어 있으나 겉으로 보기에 사시인것 처럼 보이는 사시
진성 사시 실제로 사시
사시의 치료 사시환자나 보호자 입장에서는 자주눈이 돌아가 미용상의 문제를 호소하나 안과의사의 입장에서는 양안 시기능의 개선과 약시의 조기발견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즉 사시를 치료없이 방치할 경우 사시인 눈은 시력이 저하되어 약시가 되거나 물체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이 없어지므로 사시는 조기진단 및 치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사시의 검사는 먼저 문진으로 가족력, 사시의 발생연령, 발생상황 및 사시의 상태를 알아봄으로써 사시 수술후 시력결과 및 양안 시기능에 대한 예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사시 치료의 목적은 약시를 방지하여 양안 시 기능을 증진시키고 마지막으로 안구의 위치를 정상으로 교정해주어 외관상으로 양안이 똑바르게 해줌을 목적으로 합니다.
사시가 아닌 사시 가끔 외래에 부모님들이 눈이 안으로 몰려있다고 데려오는 아이들 중 가성내사시가 많습니다. 대개 주위 사람들이 얘 눈이 좀 이상하다 라는 이야기를 듣고 혹은 사진을 찍었는데 눈이 안으로 몰려 있는것 같아서, 또 눈을 좌우측으로 돌려볼 때 특히 안으로 더 몰려 보인다고 말하는 수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제 외래에서 보면 눈은 정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는 눈과 눈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 눈이 안으로 모인것 처럼 보일 수 있고, 윗 눈꺼풀이 눈의 안쪽을 덮는 몽고 주름이 있을 때 등이며, 특별한 치료는 필요없고 나이가 들면서 콧등이 좁아지고 몽고주름이 줄어들면서 가성사시는 호전됩니다.
이때 간단하게 손전등을 비춰보면 빛 반사가 양안의 동공 중심에 있게되고 만약 진짜 사시가 있다면 양안의 빛 반사가 동공 중심에 일치하지 않을 것이며 이 검사는 집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