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봄봄과학
 
 
 
카페 게시글
┌─질문속의지혜_1_ 화학 물의 비열이 액체일때 제일 큰 이유가 밀도와 관계 있나요?
크리스XOXO 추천 0 조회 137 16.04.26 00:00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04.26 00:15

    첫댓글 고체상태보다 더 가까워지고 더 유동적이여서 더 인력이 커지고 더 에너지 저장 능력이 커서...

  • 16.04.26 00:15

    아 그런 의미에선 밀도와도 관련있습니다.

  • 16.04.26 08:43

    분자사이의 거리는 얼음일때가 물일때보다 더 가깝습니다. 얼음의 부피가 더큰 이유는 육각구조를 가지면서 빈 공간이 늘어나기때문이죠. 빈 공간까지 포함하는 평균거리는 물분자가 더 가까울진 몰라도 인접한 분자사이의 거리는 얼음일때가 더 가깝죠. 비열은 어떤물질 1g을 1도C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인데 얼음의 경우 수소결합은 깨지지않고 분자의 진동을 높이는데 에너지가 소모되어 온도가 잘 올라갑니다. 그에 반해 물은 이미 진동이 큰 상태라 더 큰 진동이 되려면 수소결합을 끊어야되는데 이에 사용되는 에너지가 커서 실제 온도를 높이는데 에너지가 덜 사용되어 얼음보다 비열이 크다고 알고있습니다.

  • 16.04.26 11:27

    답은 수소결합이 원인입니다. 화학2 수소결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6.04.26 15:00

    일반적으로 액체의 비열이 고체보다 큽니다.
    이유를 가장 간단히 설명하면
    1.액체상태는 병진,회전,진동 모드를 다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열을 가하면 이 세모드의 변화에 쓰이고 난 나머지가 알ㅉ 에너지가 됩니다.
    2.그러나 고체의 경우 진동모드만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므로 액체에 비해 모드를 바꾸고 남는 알짜 에너지가 큽니다.
    즉,같은 질량의 액체에 비해 알짜에너지가 많이 남으니 온도가 더 높아지겠지요. 그러므로 비열이 작습니다.
    3.결론적으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물질의 비열은 액체가 고체보다 큽니다^^

  • 16.04.26 23:20

    일반적으로
    비열은 고체 < 액체이죠
    위의 명품관 선생님의 설명이 맞죠
    다른 물질에 비해
    물은 고체인 얼음에 비해
    비열이 많이 증가합니다
    그것은 수소 결합에 기인 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