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겨울용 타이어는 장착! 겨울철에는 겨울용 타이어는 필수입니다. 겨울철에는 네 바퀴 모두 겨울용 타이어로 장착하는 것이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데요. 여건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축의 2개만이라도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륜 구동인 경우에는 전륜에, 후륜 구동인 경우에는 후륜에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해 주시는 것이 겨울철 안전운전에 도움이 됩니다.
2. 차간거리 유지, 감속 운행! 빙판길이나 눈길에서는 조금만 방심해도 차량이 미끄러지기 쉬운데요.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시속 40km로 주행하는 승용차의 경우 제동거리는 건조한 노면에서보다 2~3배가 길어 지기 때문에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빙판길이나 눈길에서는 속도를 낮추고 차간거리를 충분히 유지해야 합니다.
3. 엔진 브레이크를 잘 활용하자! 눈길에서는 풋 브레이크만 사용하면 스핀 현상 때문에 차체가 겉돌게 되고 핸들이 통제불능 상태로 빠지기 쉽습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부드럽게 밟는 습관을 들이고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해야 합니다. 엔진 브레이크는 속도에 비해 한 단계 낮은 기어를 넣어 주행속도를 낮추는 방법인데요, 내리막길이나 빙판길에서 3~4단으로 달리다 1~2단으로 낮추면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눈길에서 정차할 때는 브레이크를 밟지 말고 3단에서 2단, 2단에서 1단으로 기어를 변속해 엔진 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이 정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4. 앞차의 바퀴자국을 따라 운행! 새로 내린 눈에서는 앞차의 바퀴자국을 따라 운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퀴자국은 차량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다소 막아 주기 때문이죠. 또한 바퀴자국이 없는 길에서는 눈 속에 파묻힌 구덩이나 큰 돌멩이가 있는지 주의해야 합니다.
5. 자동차 무게와 시야 확보! 자동차의 무게가 늘어나면 타이어의 접지력이 높아져 그만큼 눈길에서 덜 미끄러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연비를 조금 포기하더라도 연료를 가득 채우거나 차량에 모래주머니 같이 무거운 물건을 실어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시야확보는 안전운전의 기본사항인데요, 만약 차에 눈이 쌓여 있다면 모두 제거한 후 운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한의 시야만 확보한 채 운전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자칫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은 모두 치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실내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성에가 많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미리 김서림 방지제를 바르거나 에어컨을 켜서 습기를 제거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차량에 성에 제거용 열선이나 히터가 설치된 경우에는 제대로 작동하는지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눈길 운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여유를 갖고 운전하는 것입니다. 급출발, 급가속, 급회전, 급정지 등 급작스런 조작을 할 경우 차량이 눈길이나 빙판에서 미끄러져 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죠. 안전을 위해 여유를 갖고 운전하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1. 겨울용 타이어는 장착! 겨울철에는 겨울용 타이어는 필수입니다. 겨울철에는 네 바퀴 모두 겨울용 타이어로 장착하는 것이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데요. 여건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축의 2개만이라도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륜 구동인 경우에는 전륜에, 후륜 구동인 경우에는 후륜에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해 주시는 것이 겨울철 안전운전에 도움이 됩니다.
2. 차간거리 유지, 감속 운행! 빙판길이나 눈길에서는 조금만 방심해도 차량이 미끄러지기 쉬운데요.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시속 40km로 주행하는 승용차의 경우 제동거리는 건조한 노면에서보다 2~3배가 길어 지기 때문에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빙판길이나 눈길에서는 속도를 낮추고 차간거리를 충분히 유지해야 합니다.
3. 엔진 브레이크를 잘 활용하자! 눈길에서는 풋 브레이크만 사용하면 스핀 현상 때문에 차체가 겉돌게 되고 핸들이 통제불능 상태로 빠지기 쉽습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부드럽게 밟는 습관을 들이고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해야 합니다. 엔진 브레이크는 속도에 비해 한 단계 낮은 기어를 넣어 주행속도를 낮추는 방법인데요, 내리막길이나 빙판길에서 3~4단으로 달리다 1~2단으로 낮추면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눈길에서 정차할 때는 브레이크를 밟지 말고 3단에서 2단, 2단에서 1단으로 기어를 변속해 엔진 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이 정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4. 앞차의 바퀴자국을 따라 운행! 새로 내린 눈에서는 앞차의 바퀴자국을 따라 운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퀴자국은 차량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다소 막아 주기 때문이죠. 또한 바퀴자국이 없는 길에서는 눈 속에 파묻힌 구덩이나 큰 돌멩이가 있는지 주의해야 합니다.
5. 자동차 무게와 시야 확보! 자동차의 무게가 늘어나면 타이어의 접지력이 높아져 그만큼 눈길에서 덜 미끄러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연비를 조금 포기하더라도 연료를 가득 채우거나 차량에 모래주머니 같이 무거운 물건을 실어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시야확보는 안전운전의 기본사항인데요, 만약 차에 눈이 쌓여 있다면 모두 제거한 후 운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한의 시야만 확보한 채 운전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자칫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은 모두 치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실내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성에가 많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미리 김서림 방지제를 바르거나 에어컨을 켜서 습기를 제거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차량에 성에 제거용 열선이나 히터가 설치된 경우에는 제대로 작동하는지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눈길 운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여유를 갖고 운전하는 것입니다. 급출발, 급가속, 급회전, 급정지 등 급작스런 조작을 할 경우 차량이 눈길이나 빙판에서 미끄러져 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죠. 안전을 위해 여유를 갖고 운전하는 습관을 길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