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물치 효능
부종 및 만성신장염 개선
가물치를 먹으면 이뇨작용을 활발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부종 개선에 도움이 되며, 만성신장염을 앓는 분들의 부종을 없애주고 보신용으로 가물치국을 끓여 먹으면 좋다. 특히, 만성신장염이 있는 분이라면 가물치에 파뿌리를 넣고서 곰탕을 끓여 먹으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치질 치료
치질치료에도 가물치의 효능이 있는데 가물치의 내장을 불에 구워 항문에 발라주면 치질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모유촉진 및 혈허증
임산부가 출산 후에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가물치를 푹 고아서 즙을 먹이면 젖이 잘 나온다고 해서 산후 몸조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산모의 혈을 보하고, 여성의 혈허증에도 좋아 가물치를 푹 고아서 곰국으로 만들어 먹으면 좋다.
급성 인후염 개선
급성 인후염이 있는 분이라면 가물치 쓸개를 통증이 있는 부위에 조금씩 발라주면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피로회복 및 체력향상
가물치에는 철분과 단백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피로를 효율적으로 제거해주고 체력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성분․효능> 가물치의 고기에는 단백질이 약 20%, 지방 1.4%, 기타 칼슘,인, 철 비타민 B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성질은 차고 달다. 가물치에는 철이 많이 들어 있고 양질의 단백질이 함량도 높고 소화성도 좋아서 특히 임산부나 성장기의 청소년에게 아주 좋은 식품이다. 가물치는 한방적으로 기와 혈을 크게 보하고 심기, 심음, 비위를 보하는 작용이 있다. 특히 산모의 보혈 등 여성의 혈허증에 좋다. 가물치는 보 탓育막 먹을 경우 푹고아서 곰국을 만들어 먹으면 좋고, 가물치 회를 먹기도 한다. 가물치회는 껍질을 벗긴 후 막걸리에 빨아낸 다음 초고추장과 함께 먹으면 가물치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가물치의 별미를 즐길 수 있다. 그러나 디스토마에 주의해야 한다. 또 가물치는 이뇨작용이 있어서 부종이나 심낭염등에 사용된다. 복수가 있을 경우 가물치의 내장을 꺼내고 배에 마늘을 채워 넣은 후 진흙 이긴 것으로 잘 싸서 불에 구워 먹는다(본초봉원록). 부종이나 만성 신장염에는 가물치에 파를 통째 넣고 국을 끓여 먹는다. 동의보감에서도 치질과 급성 인후염에 대한 가물치의 효능이 언급되고 있다. 치질에 가물치의 회를 먹거나 국을 끓여서 자주 먹도록 권하고 있고, 가물치의 쓸개를 급성 인후염의 아픈 부위에 조금씩 찍어 바르면 즉시로 효과를 본다고 쓰여 있는데 가물치의 쓸개는 다른 종류의 쓸개와는 달리 쓰지 않고 단맛을 가지고 있다. 어떤 민간요법에서는 가물치의 내장을 구어서 항문에 바르면 치질이 낫는다고 한다. 주요 적응증은 보혈, 강장약, 보신약, 이뇨약, 심장성 및 콩팥(신장)성부종, 복수, 배뇨장애, 치질, 급성인후염 등이다.
가물치와 궁합이 잘 맞는 식품
궁합이 잘맞는 식품으로는 회향, 마늘, 미나리, 도라지, 황기, 당귀, 생강, 동아, 파뿌리, 구기자, 백봉령, 진피, 호박, 작약, 산수유 등이 있다. 그러나 가물치의 체내(體內) 또는 입안에는 악구충(鄂口蟲)이라는 기생충이 있으므로 회로 먹는 것은 좋지 않으며, 악구충에 감염되면 까닭없이 피곤함을 많이 느끼게 된다. 가물치처방
1. 여성의 혈허에는 가물치를 구어서 가루내어 먹는다.
2. 하초가 허할 때는 회향(회향풀열매)과 함께 고아서 먹는다.
3. 복수(배에 물이 차는 증상)에는 내장을 꺼내고 마늘을 넣고 진흙으로 싸서 구워 먹는다.
4. 간경변증으로 배에 물이 차고 붓는 데는 가물치(여어) 뱃속에 미나리(마늘도 좋다) 한줌을 넣고 끓여서 먹는다. 이약은 강한 이뇨작용, 부은 것을 내리는 작용이 있다.
5. 출산 후 몸이 부을 때는 가물치국을 끓여 먹는다. 산후 부종에는 가물치에 도라지 두줌 정도를 넣고 국을 끓여 먹는다.
6. 산후 조리에는 가물치와 황기 각 40g, 당귀 8g, 생강 4쪽을 푹 고아 식후 2번(1마리당 4~5일) 3마리 정도 먹는다.
7. 가물치 쓸개는 단맛이 나는데 인두염에는 쓸개즙을 내어 목구멍 언저리에 떨어뜨린다.
8. 만성 신장염에는 동아와 파뿌리를 넣어 곰국을 끓여 먹는다.
9. 치질에는 가물치 내장을 구워서 항문에 바른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동의보감, 본초강목, 규합총서
메기와 가물치 요리
메기 매운탕

| 
| | ⓒ 양산시민신문 |
재료
메기 1마리(800G), 감자 200g, 배추 100g, 미나리 80g, 들깻잎 60g, 쑥갓 80g, 대파 80g, 마늘 2쪽, 생강 1쪽, 된장 2큰술, 고추장 1큰술, 고춧가루 1큰술, 국간장 2큰술, 수제비 반죽 100g, 소금, 후추 약간
만들기
1. 메기는 배를 갈라 내장을 빼내고 몇 토막을 내고 굵은 소금을 넣어 박박 문질러 물에 씻으면 끈적끈적한 진액이 제거된다.
2. 감자는 껍질을 벗겨 널찍하고 두툼하게 잘라놓고 배추, 미나리, 대파도 적당히 잘라놓고 들깻잎과 쑥갓은 손으로 적당히 잘라놓는다.
3. 다진마늘, 다진생강과 함께 양념을 전부 혼합해 양념장을 만들어 놓고 찌개 냄비에 손질한 메기, 감자, 배추, 대파를 넣고 물을 적당히 부어 불에 올려 끓여준다.
4. 메기와 야채가 어느 정도 익으면 준비된 양념장을 넣어 다시 끓여주고, 거기에 준비한 수제비 반죽을 떼어넣어 수제비가 익으면 미나리와 쑥갓을 넣어 간을 봐가며 소금과 후추로 마무리한다.
가물치곰국

| 
| | ⓒ 양산시민신문 |
재료
가물치 2kg, 찹쌀 450g, 생삼 두 뿌리, 대추 10알, 미나리줄기 100g, 파 60g, 다진마늘 5쪽, 생강 1쪽, 깨소금 1큰술, 소금 2큰술, 후추가루 약간
만들기
1. 가물치는 손질해 통째로 솥에 넣어 충분한 물을 붓 고 3시간 정도 푹 곤다.
2. 찹쌀은 깨끗이 씻어 30분 정도 물에 불린다.
3. 미나리는 다듬어 5cm 길이로 썰고 대파는 어슷썰어 놓는다.
4. 생강은 얇게 편으로 썰고 대추와 인삼은 깨끗이 손질해 놓는다.
5. 1을 체에 받쳐 찌꺼기를 건져내고 국물에 찹쌀, 생강, 대추, 인삼을 넣어 끓인다.
6. 찹쌀이 어느정도 익으면 미나리, 대파, 다진마늘, 깨소금 등을 넣어 한소끔 더 끓인 후 소금과 후추로 간하고 마무리 한다.
참고 : 탕을 먹고 나서 계피를 넣어 만든 수정과를 마시면 뒷맛이 개운해진다. |
첫댓글 유익한 정보에 감사합니다
한번쯤 경험해보고싶은 장르입니다
민물낚시 장르중에 가장, 파워풀하고 영악한 가물이의 영특함에 놀라움을 금치 못 할 것입니다.
[벙개] 가물이 사냥 함께해요. 방에 올려 놓았습니다.
장어보다 손맛이 더죽여줄거 같으네요!
가깝다면 배워보고 싶어요
방갑습니다.
장어도 큰 손맛을 보여주지만 거물치의 손 맛은 그야말로 장쾌하고 파워풀합니다.
그 매력에 빠져보시지요.
ㅎ ~
그 놀라움은 상상을 초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