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울대교구 조재형 가브리엘 신부님]
달라스로 오기 전에 저는 미주가톨릭 평화신문에서 일했습니다. 며칠 전에 책을 읽으면서 신문과 민주주의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신문의 기능과 복음서의 기능도 비슷한 점이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오늘은 신문과 방송이 민주주의에 이바지한 점을 생각해 보고, 이것이 복음서가 신앙 공동체를 형성한 과정과 어떻게 닮았는지 함께 나눠보고 싶습니다. 특별히 복음에 대한 확신을 가졌던 바오로 사도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면서, 우리가 오늘날 어떻게 진리를 전하고 살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신문과 방송은 단순한 정보 전달 수단이 아닙니다. 진실을 알리는 도구이자, 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1792년 베트남 전쟁 당시 유명한 사진이 있습니다. 한 베트남 소녀가 옷이 타버린 채 울면서 도망치는 장면입니다. '네이팜탄 소녀' 사진이라고 불립니다. 이 사진이 신문과 방송을 통해 보도되면서, 많은 사람이 베트남 전쟁의 참상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결국 미국 내에서 반전 여론이 높아지면서, 전쟁이 종식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신문과 방송이 진실을 전하면 세상이 변합니다. 부당한 전쟁도 엄출 수 있고, 억울한 사람도 구해낼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진리를 알릴 힘!"입니다.
신문과 방송은 정치와 사회만 바꾸는 것이 아닙니다. 문학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찰수 디킨스의 '올리버 트위스트'가 있습니다. 이 소설이 원래 신문에 연재되던 것이었습니다. 신문 연재 소설은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조금씩 연재되었고, 결국에는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광수의 '무정'과 같은 작품이 신문에 연재되면서 한국 근대 문학이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확석영의 장길산은 1974년부터 연재되었습니다. 조선 후기의 실존했던 의적 장길산을 주인공으로 하여 민중의 저항과 해방을 다룬 역사 소설입니다. 최인호의 상도는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습니다. 조선 후기 거상 임상옥의 생애를 바탕으로 한 소설로, 상인의 도(道)와 성공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신문 연재 소설이 복음서오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복음서도 한 번에 세상에 퍼진 것이 아니라, 조금씩 기록되고, 전해지고, 읽히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신문이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진리를 전하듯, 복음서도 세상에 조금씩 퍼져 나가며 신앙 공동체를 형성했습니다
그렇다면 복음을 통해 진리를 전한 대표적인 인물은 누구일까요? 바로 바오로 사도입니다. 바오로는 처음부터 예수님의 제가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교회를 박해하던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서 예수님을 체함한 후, 완전히 변화되었습니다. 그 후, 그는 어디든 가서 복음을 전하고, 편지를 써서 신앙 공동체를 이끌었습니다. 바오로가 쓴 편지, 즉 로마서, 코린도서, 갈라디아서 같은 서신들은 지금도 우리가 신앙을 배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의 진리를 믿었고, 어떤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았습니다. 감옥에 갇혀서도, 매를 맞고도, 배가 난파되어도 결코 복음을 전하는 일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이 모습을 보면서, 저는 오늘날 언론인들을 떠올리게 됩니다. 정권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협박을 받아도 진실을 보도하려는 기자들처럼, 바오로 사도도 복음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죽는 날까지 진리를 전했던 사람이었습니다.
지금 우리는 너무 많은 정보 속에서 살아가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정보가 진실한 것은 아닙니다. 가짜 뉴스, 조작된 정보, 편향된 보도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오로 사도처럼, 민주주의를 지켜온 언론인들처럼, 진실을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진리를 전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가 내 말 안에 머무르면 참으로 나의 제자가 된다. 그러면 너희가 진리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우리는 진실한 복음을 붙잡고 살아가야 합니다. 그리고 가짜 뉴스가 아니라, 복음의 진리, 사랑과 자비의 가르침을 전해야 합니다. 바오로 사도가 그랬듯, 우리도 복음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말고 행동으로 예수님의 가르침을 실천해야 합니다. 바오로 사도처럼 복음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살면 좋겠습니다.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어, 복음의 진리를 전하며 살면 좋겠습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이를 깨닫고 분별 있는 사람은 이를 알아라. 주님의 길은 올곧아서 의인들은 그 길을 따라 걸어가고 죄인들은 그 길에서 비틀거리리라. 너는 마음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해야 한다.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