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속성장 중인 중국 팝업스토어시장
ㅇ 팝업스토어는 창의적 경영과 공간이 더해져 만들어진 새로운 마케팅 방법임. 기존의 일반 매장보다 외관, 인테리어에 더 많은 공을 들이고 다수의 흥미 요소들을 배치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음. 또한 제한된 시간 동안만 운영되기에 소비 욕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
ㅇ 2017년 중국에는 丧茶(차 음료를 판매하는 팝업스토어)에서부터 샤넬 카페까지 다양한 팝업스토어가 등장했음. 2018년 중국 팝업스토어의 수량은 2015년 대비 3배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2020년에는 총 3000개 매장이 운영될 것으로 예측됨.
중국 팝업스토어 수량 및 추이
(단위: 개)

자료원: RET(컨설팅 업체)
□ 팝업스토어의 인기 비결
ㅇ 알리바바의 연도 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10년간 중국의 온라인시장 성장 속도는 하락하고 있으며 모객비용 역시 매우 높아짐. 반면 팝업스토어는 새로운 트렌드와 토픽을 주제로 마케팅을 진행하며 SNS를 통한 뛰어난 홍보효과도 거둘 수 있어 점점 더 많은 기업의 이목을 끌고 있음.
알리바바 거래액 및 성장률
(단위: 억 위안, %)

자료원: Euromonitor
ㅇ 컨설팅 업체 RET가 중국 1390개 팝업스토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성공한 팝업스토어가 가지는 모객효과는 2개의 영화관 혹은 6개의 프랜차이즈 음식점과 비슷함.
팝업스토어 포지셔닝 맵

자료원: RET
□ 방치된 쇼핑센터
ㅇ CBBE의 '글로벌 쇼핑센터 발전 보고서(全球购物中心发展报告)'에 의하면 2016년 신규 오픈한 쇼핑몰 총 면적 1250만㎡ 중 중국이 575만㎡를 차지함. 또한 쇼핑센터가 가장 번창한 10대 도시 중 중국 도시가 8개임. 현재 중국의 쇼핑센터는 4000개가 넘으며 매년 600~700개가 신규 오픈하고 있음. 2020년에는 1만 개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됨.
ㅇ 소비자의 취향이 빠르게 변화하고 산업의 경쟁이 가속화되며 쇼핑센터와 팝업스토어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장기적인 협력 파트너가 돼가고 있음. 또한 베이징, 상하이, 톈진, 청두 등과 같이 쇼핑센터 유휴율(사용되지 않고 방치됨)이 높은 도시에서 팝업스토어가 효과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음.
중국 도시 쇼핑센터 유휴율

자료원: 잉상왕(赢商网)
□ 팝업스토어 성공 사례
ㅇ 상차(丧茶) – 구매 욕구를 일으키는 '부정적 에너지'
- 2017년 4월 28일 4일만 운영하는 팝업스토어 '상차'가 상하이에서 열렸음. 상차에서는 '끊임없는 야근 희망 없는 급여 녹차(加班不止加薪无望绿茶)', '재벌에게 시집간 전 여자친구 카푸치노(前女友嫁了富二代卡布奇诺)', '가격이 떨어져도 못사는 집 주스(房价再低也买不起果汁)' 등과 같이 부정적인 이름의 음료를 판매했음.
- 상차는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마케팅으로 팝업스토어가 내세운 '상실'이라는 감성은 도시를 살아가는 평범한 직장인들의 공감을 일으켰으며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음.
상차

자료원: 봉황왕(凤凰网)
· (참고) KOTRA 우한 무역관 작성, '中, 상문화 소비: 현실 중압감 속에 피어난 블랙유머(클릭 시 이동)'
ㅇ 심야식당(深夜の食堂) – 힐링 식당
- 중국인들의 엄청난 기대 속 방영된 중국 '심야식당' 리메이크작은 다수 매체로부터 상당한 혹평을 받았음. 이런 상황 속 2017년 7월 중국의 가장 큰 배달 애플리케이션 어라마(饿了吗)는 3일간 베이징과 상하이에 편안한 감성을 제공하는 심야식당 팝업스토어를 열었음.
- 어라마(饿了吗)의 심야식당 팝업스토어는 원작의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그대로 재연했고 다수의 배우들이 깜짝 등장해 식사 중인 손님들과 대화를 나눴음. 원작 속 식당 주인을 모티브로 한 배우들의 동작, 말투는 원작의 따뜻한 감성을 손님들에게 고스란히 전했고, 잊지 못할 추억을 제공했음.
어라마(饿了吗)의 심야식당 팝업스토어

자료원: 소호왕(搜狐网)
ㅇ 한도의사(韩都衣舍) – 물건을 판매하지 않는 팝업스토어
- 2018년 4월 말 중국 다수 지역에서 UFO를 목격했다는 제보가 나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던 시기, 5월 3일 항저우에 한도의사(한국식 스파 브랜드)가 기획한 UFO 형태의 거대한 우주 체험 팝업스토어(300평)가 열렸음.
- 신비로운 감성의 팝업스토어는 젊은이들의 흥미를 자극했음. 팝업스토어는 UFO 내부를 체험하는 듯한 느낌을 선사했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음. 결과적으로 UFO 팝업스토어는 젊은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올릴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