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부산지역 관내 중ㆍ고등학교 학교급식소 13곳에서 한 대기업이 납품한 냉동케이크를 먹은 학생 467명이 집단 식중독 의심 증세를 나타낸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 되는 양상이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11일 현재 2200명이 넘는 학생들이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식중독 피해자가 전국에 걸쳐 1000명이 넘은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4년만이다. 이번 식중독사태는 급식안전에 구멍이 뚫렸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더하다. 식중독 의심 증세에 대해 역학조사에 나선 부산보건환경연구원은 식중독의 원인이 항원형 C의 살모넬라균임에 비롯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살몰넬라 균은 주로 생닭이나 상한 우유, 날달걀 등을 통해 감염되는 질병으로 발열, 설사 등 증세를 보이며, 심할 경우 패혈증 혹은 심장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병이다.
부산 지역 이외에도 경기, 대구ㆍ경북, 전북 등 지역에서도 문제의 케이크를 먹은 유치원, 학교에서도 식중독 의심 환자가 발생해 보건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경기 용인의 한 중학교에서는 지난 3일 급식 때 제공한 이 업체의 케이크를 먹은 학생 30여 명이 복통과 설사를 하는 등 식중독 증세를 호소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식중독 원인된 케이크는 한 식품대기업을 통해 전국 120여 개 학교에 납품됐는데, 울산의 A중학교와 B고등학교에서도 문제의 케이크를 먹은 학생 22명이 식중독의심 증세를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다. 더욱이 문제는 케이크 제조업체가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인증을 받고도 위생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번 식중독 사태는 예견된 일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몇 년 전에 울산을 비롯한 부산지역 학교급식 과정에서 이번처럼 집단 식중독이 발생한 적이 있었다. 당시 원인규명을 위한 역학조사를 벌였는데, 식당 내 불결이 원인이냐 등을 놓고 논란을 벌이다 급식재료로 납품되는 냉동식품의 유통과정에서 위생관리에 허점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신선식품과 채소류 등은 로컬 푸드인 지역친환경농산물을 공급받아 조리에 사용하는 반면 대부분의 가공 냉동식품은 있는 관외 가동공장에서 가공 출하된 뒤 대리점 등 몇 단계를 거쳐 학교급식소로 공급 된다. 이때 공장 출하 시 단 한차례 위생검역을 마치면 다음 보관 장소인 대리점 냉장고로부터 학교급식소로 보내질 때까지 아무런 검역절차가 없는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이 과정에서 변질이나 각종 병원균에 오염될 가능성 높다는 사실이다. 당시 이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고도 유통시스템에 대한 개선 등 대책마련 없이 사건을 덮어버렸다. 결국 이번 같은 사태를 발생시킨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울산시교육청과 보건당국은 이번 식중독 사태를 그저 한 식품회사의 실수정도로 치부해버려선 안 된다. 사태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 잘 파악해 근본적인 처방책 마련에 나서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