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 [시사앤피플] 이민영 기자 = 최근 급속히 확산되는 디카시(Dica-poem)를 보면서 오늘은 오정순 수필가·디카시 시인(76)을 지상 초대석에 모셨다. 오 시인은 올해 초부터 본지 ‘기고‘난에 디카시(디카포엠)를 기고하면서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디카시 저변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 28일 오 시인은 한 유튜브 방송(디카시)에서 디카시를 올려 조회수 2,500회 이상을 보이면서 시단의 눈길을 끌고 있다. 이 방송은 이날 2천5백회 기념방송을 내 보냈다. 디카시는 최근 우리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새로운 문예 장르(디카사진·영상+짧은 시)로 알려지고 있다. 오 시인은 2021년 경남 고성 국제한글디카시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해 디카시단에 정식 등단했으며, 디카시집 [무죄]를 발간하는 등 최근 디카시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그는 1993년 ’현대수필‘로 등단해 세종우수도서 선정위원(2017),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 <칭찬의 힘 >수록 등 왕성한 창작 활동을 하면서 15권 이상의 저서·수필집을 발간한 중견 작가이다. 디카시는 창시자로 알려진 이상옥 시인이 2004년부터 경남 고성을 중심으로 디카시 운동을 펼치기 시작해 디카시가 디지털시대의 문화트랜드와 함께 사진(영상)과 시문학의 융합적 표현으로 새로운 문예운동으로 번져 시문학의 한 장르로 인정받고 있으며 2018년 개정 중·고등 작문 교과서에 수록되기도 했다. 문단 일각에선 디카시를 디지털 문화가 만들어낸 새로운 문학쟝르로 호평을 받으면서 뉴미디어와 시가 융합해 새로운 시문학시대가 정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시문학은 문자로만 꾸며졌다면 최근 트랜드는 이를 벗어나 사진(영상)과 문자가 5줄 이내의 짧은 시어와 융합해 시각과 감성을 하나로 묶어내 온·오프라인으로 빠르게 펴져 창작인구를 급속히 확산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본지 지난 달 21일자 오정순 시인의 <우듬지에 서다>를 보면 이러한 경향과 매력을 극명하게 볼 수 있다. 이 시를 감상하면서 디카시를 이해해 본다. 그 자리를 자랑삼지는 말게나 빌린 키로 산다는 건 잠깐이라네 오 시인은 제목에서부터 호기심과 신선함을 주기 위해 나무의 꼭대기를 ’우듬지‘라는 단어를 끄집어 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일반인들이 자주 쓰지 않는 ’우듬지‘라는 시어를 통해 독자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그 꼭대기 위에 아슬 아슬하게 서는 인간의 허무(한 개의 나무 가지)을 유추해 내고 있다. 또한 우듬지에 ’서다‘에서 하필 ’서다‘의 표현을 써서 독자로 하여금 미묘한 감흥을 일으키게 한 것은 아닐까. 제목에서 이 또한 신의 한 수를 보는 것 같다. 우듬지에 ’오르다‘ 할 수도 있고, 우듬지에 ’앉다‘ 고 할 수도 있다. 여기를 보면 우듬지에 ’서다‘에서 종결형인 ’섰다‘가 아닌 것도 기막힌 또 한 수가 보인다. 즉, 종결된 모습은 경색돼 보이지만 ’서다‘는 서 있는 모습이 아슬 아슬하고 현재 진행하는 느앙스를 갖게 하는 것으로 시어의 조탁이 일품이다. 사람의 명예욕이나 재물욕은 한이 없다. 그 끝이 어디인지 모르지만 꼭대기 위에 도달했으면 그만이지 그보다 더 위까지 오르려는 인간상을 꼬집는 것 같다. 남에게 빌린 키로 살아가는 허상과 세월의 허무를 드러내는 내는 대목에서 인생은 ’잠깐이라네‘라는 짧은 구절로 시의 흐름을 반전시킴과 동시 극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오 시인은 [시작노트]에서 “세상에는 온전히 제 힘으로 서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직장의 명함, 부모의 배경, 동창의 우정에 기대어 키를 세우고 살아가기도 한다”며 아마도 ’빌린 키로 산다는 건‘의 의미를 진지하게 표현해 주고 있다. ’그 자리를 자랑삼지는 말게나‘는 신은 당신이 그 자리에 있기까지 그대의 모든 배경을 속속들이 다 알고 있거늘 사람들이 그 진실을 알게 될 수도 있으니 자랑하지 말라고 한 것은 아닐까 싶다. 오 시인이 말한 바와 같이 “순간순간 날아드는 칭찬이나 박수에 우쭐거리다가 배경을 잃어버리고 나면 흐물흐물 정체성 마저 잃어버려 곤두박질”칠 수도 있다는 표현은 실감이 난다. 마지막 연을 읽으면서 오 시인이 말한 “허공에 키를 세우고 바람에 시달린다. 자기 앞을 가로막는 아무것도 없는 세상에 한번 뻗어 보고 싶었던 모양이나, 홀로 설 수 없는 자신의 능력을 모르는 허세가 되고 만다”는 것은 ’빌린 키로 산다는 건 잠깐이라네‘로 함축돼 세월의 무상이나 인생 허무 등의 의미를 내포해 사유의 폭을 넓게 하고 있는 듯 싶다. 어쩌면 자기 스스로 키를 세우지 못한 인간들에게 쏘아붙이는 말일 수도 있고, 그의 연륜과 경험이 담긴 표현일 수도 있다. 오 시인은 좋은 환경에서 성장해 구김 없이 지내온 70대 중후반의 시인으로서 온갖 경험을 다 했을 뿐 아니라 가진 자와 없는 자의 대비되는 삶을 모두 섭렵해 온 인생의 선배로서 관조하고 있다. 디카시 독자 박 모씨(57)는 “그의 관조와 사유의 힘은 시 작품에 고스라니 녹여져 있다”며 “ 독자로 하여금 자연인으로서, 시인으로서 시나브로 매력을 느끼게 한다”고 호평했다. |
|
첫댓글 카이로스 149쪽에도 있는
해설을 통해 다시보니 명품입니다.
2500회 기록 기념
축하드립니다 👍
지난 3월 기사인데
어제 낭독을 하여 올려보았습니다
광고도 된 것 같기도 하고요
선생님
이 시는 제가 가슴에 담고 살 시입니다
곳곳에서 남의 힘 빌려 커 보려다 추락하는 걸 보거든요
바닥에서부터 다져 차근차근 자기 실력으로 올라가야 뭐든 탄탄합니다.
글이든 기술이든 조직의 성장이든 그렇다고 봅니다
허세는 말짱 꽝입니다
@오정순 넵 선생님
밑줄 쫙 그어 가슴에 새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무리 좋은 디카시를 써도 독자가 없으면 의미가 없을 텐데요.
오정순 시인님이 연재하고 있는 쪽 수필도 기대가 큽니다...
어느 수필 잡지건 청탁 원고 모두
디카시가 있는 수필로 보냅니다
둘이 합하니 효과가 좋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샘께선, 넘~ 멋지시다.
되어가는대로
바람 부는대로 펼칩니다
와우! 축하드립니다. 선생님
너무 멋져요.
지난 3월기사인데
디카시 낭독한 작품을 해설했기에 올렸습니다
선생님 축하드립니다
우듬지에 서다 다시한번
새기며 읽어봅니다
분수껏 재량껏
넘치면 삼이웃 기웃거리며 살면서
추락하지 않으면 좋겠다 싶어요
선생님, 축하드립니다 빌린 키라는 말이 가슴에 꽂힙니다 디카시와 수필이 함께 하니 더욱 멋집니다^^
우리는 된대로 살아봅시다.
빌리지 말고요
낭독하시던 모습이 떠오르네요.
축하드리고요. 말씀도 새기겠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글인데 남도 좋다고 하니
마치 확인받은 것처럼 좋군요
곳곳에 남의 신발 신은 사람 많지요.
제대로 걷지도 못하고 벗겨지고요.
우린 그러지 맙시다
평가절하 되었다고 아깝다는 말 듣고 삽시다.
덕분에 디카시 나르샤~~
지금막 보니 3천3백 조회
나왔습니다 제가
게으르름을 피우지만
멈출수
없는 이유입니다 ^^
어머 안보고 있어도
제 홀로 가고 있군요
언제 오천 찍어볼까요
은근 재미나요
팔망미인이신
오~시인님의 관록과 중후함을 담아갑니다
그 지칠줄 모르는 뜨거운 열정에 힘찬 박수를 보냅니다
언젠가는 육신의 한계에 갇힐 거예요
가능한 지금 누리려고 뭐든 즐겁게 합니다.
평생하던 봉사를 놓고나니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허전하여 나에게 봉사하는 겁니다
선생님의 저력을 볼 수 있는 글입니다. 늘 건강하시어 여기 디카시를 튼튼히, 따뜻하게 지켜주셔용♡
그 땅에서 큰 나무는
열매도 그 땅에 떨어뜨립니다
디카시는 이런 거다
작품으로 보여주시는 선생님
참 멋지세요!^^♡
멋지긴요
내게 하고 사는 말인 걸요
선생님 축하드립니다.
언제 읽어도 감동의 디카시입니다^^
오늘 아침 신달자 선생님이그러셨어요
한 계단 한 계단 자기가 오르지 않으면
자기인생 안 된다고요.
우리도 우직하게 헛물켜지 말고
따복따복 한계단씩 걸어올라갑시다.
@오정순 네네 선생님 명심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