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胡笳가(호가)
胡;턱밑 살 호. 笳:호드기, 갈대 가.
호인(胡人)들은 갈대잎으로 피리를 만들어 불었는데 이것을 호가라 함. 가(笳)는 이백양(李伯陽)이 서융(西戎)에 들어거서 만든 것이며, 그 소리가 매우 슬프게 들렸으므로 비가(悲歌)라고도 함. -악부(樂府)-
♣ 狐假虎威(호가호위)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리다,
강한 자의 위세를 빌어 약한 자에게 군림함. -전국책,초책-
♣ 互角(호각)
互:서로 호, 角:뿔 각.
쇠불의 양쪽이 서로 길이나 크기가 같다는 데서 나온 말로,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것을 이르는 말.
♣ 互角之勢(호각지세)
소가 서로 불을 맞대고 싸우는 형세라는 뜻으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대등하게 겨루고 있는 모습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전국책-
♣ 虎距龍盤(호거용반) ☞ 용반호거
虎:범 호, 距:떨어질 거, 龍:용 용, 盤:소반 반.
용이 도사리고 범이 웅크리고 앉았다는 뜻으로, 웅장(雄壯)한 산세를 이르는 말.
삼국시대 촉나라의 승상 제갈량이 오나라 황제 손권과 남경의 지세를 운운할 때 이런말을 한 적이 있다.
♣ 虎溪三笑(호계삼소)
虎:범 호, 溪:시내 계, 三:석 삼, 笑:웃을 소,
동양화의 화제(畵題), 혜원법사(蕙遠法師)가 여산의 동림사에 은거, 호계를 건너지 아니하기로 했으나 찾아온 도연명, 육무정을 배웅할 때 무심코 여기를 건너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그린 것. 삼소(三笑)
♣ 虎溪三笑圖(호계삼소도)
虎:범 호, 溪:시내 계, 笑:웃을 소, 圖:그림 도.
유교의 도연명, 불교의 혜원 도교의 육수정이 냇가에서 웃는 그림,
유불도의 진리가 하나라는 것
학문, 예술에 열중한 나머지 갈 길이 멀다는 것을 그만 잊어버리고 만다는 것.
-송진승유가 지은 여산기-
♣ 好官須我爲之(호관수아위지)
好:좋을 호, 官;벼슬 관, 須:모름지기 수, 我:나 아, 爲:할 위, 之:갈 지.
나는 좋은 벼슬을 하여야 함. 즉, 남의 신상(身上)에 관하여는 자기의 개의(介意)할 바가 아니라는 뜻. -송사-
♣ 糊口(호구)
糊:풀 호, 口:입 구.
입에 풀칠을 한다는 뜻으로, 겨우 먹고 삶, 가난한 살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狐裘(호구)
狐:여우 호, 裘:갖옷 구
여우의 겨드랑이 밑에 있는 흰 털로 만든 갖옷.
♣ 狐裘羔袖(호구고수)
裘:갖옷 구, 袖:소매 수.
여우가죽으로 갖옷을 만드는데, 소매만 염소 가죽으로 붙인다는 뜻으로,
대체로 다 좋은데 나쁜 데가 조금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좌전-
♣ 狐裘蒙戎(호구몽융)
狐:여우 호, 裘:갖옷 구. 蒙:어릴 몽, 戎;되 융.
여우 가죽으로 만든 옷이 해져 누더기처럼 너덜너덜 해졌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은 사람이 예우 법도를 잊어버려 나라가 어지러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시경-
♣ 虎口餘生(호구여생)
虎:범 호, 口:입 구, 餘:남을 여, 生:날 생,
호랑이의 아가리에서 살아났다는 뜻으로 위험한 지경에서 벗어난 것을 일컫는 말이다.
-송사 주태전-
♣ 糊口之策(호구지책)
겨우 끼니를 이어가기 위한 방책. -좌전, 노은공-
♣ 虎口讒言(호구참언)
매우 위험(危險)한 참언이라는 뜻으로, 남을 궁지(窮地)에 몰아넣는 고자질이나 헐뜯는 말을 이르는 말.
♣ 浩氣(호기)
호연한 기운(氣運). 하늘과 땅 사이 또는, 사람의 마음에 차 있는 너르고 굳고 맑고 올바른 기운(氣運).
♣ 豪氣萬丈(호기만장)
豪:호걸 호, 氣:기운 기, 萬:일만 만, 丈:어른 장.
호기로운 기세가 몹시 높음.
♣ 好內好外(호내호외)
好:좋을 호, 內:안 내, 外:바깥 외.
호내는 여색(女色)을 좋아하는 것, 호외는 현인(賢人)을 좋아하는 것.
♣ 豪奴悍僕(호노한복)
豪:호걸 호, 奴:종 노, 悍:사나울 한, 僕:종 복.
(상전의 처지에서)고분고분한 데가 없고 몹시 사나운 종.
♣ 護短(호단)
護:보호할 호, 短:짧을 단.
단점이나 약점을 비호하다. 혜강의 여산거원절교서에 "공자는 자하에게서 수레의 덮개를 빌리지 않아 그의 단점을 비호하였다"는 말이 있다. -공자가어 관사편-
♣ 護黨之風(호당지풍)
護;보호할 호, 黨:무리 당, 之:갈 지, 風:바람 풍.
당파들끼리 서로 감싸고 도는 기품.
♣ 糊塗(호도)
糊:풀 호, 塗:진흙 도.
①성정(性情)이 분명하지 못하고 흐리터분함.
②일시적으로 우물우물 덮어버림. -송사-
♣ 虎渡河(호도하)
虎:범 호, 渡:건널 도, 河:물 하.
범은 범이 사는 고을의 군수(郡守)가 인정(仁政)을 베풀면 이에 감동하여 강을 건너 도망하여 해를 끼치지 않는다 함. -후한서-
♣ 虎頭蛇尾(호두사미)
범의 머리에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에는 성(盛)하나 끝이 부진(不振)한 형상(形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虎狼之國(호랑지국)
虎:범 호, 狼:이리 랑, 之:갈 지, 國:나라 국.
범이나 이리와 같이 무력(武力)이 강한 무서운 나라. -사기-
♣ 虎狼之心(호랑지심)
虎:범 호, 狼:이리 랑, 之:갈 지, 心:마음 심.
거칠고 사납고 인자하지 않은 마음.
♣ 呼來斥去(호래척거)
呼:부를 호, 來;올 래, 斥:물리칠 척, 去:갈 거.
사람을 오라고 불렀다가 그 길로 쫓아버림.
♣ 號令生風(호령생풍)
號:부르짖을 호, 令:하여금 령, 生:날 생, 風:바람 풍.
큰 소리로 꾸짖음을 비유한 말.
♣ 號令如山(호령여산)
호령(號令)이 산과 같다는 뜻으로, 호령(號令)은 엄중(嚴重)해 움직일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號令如汗(호령여한)
한번 내린 명령(命令)은 다시 취소(取消)하기 어려움.
♣ 毫釐(호리)
毫:가는 털 호, 釐:다스릴 리.
①자 또는 저울 눈의 호(毫)와 이(釐). ②조금, 아주 조금만큼의 뜻.
♣ 壺裏乾坤(호리건곤)
壺:병 호, 裏:속 리, 乾:하늘 건, 坤:땅 곤.
언제나 술에 취해 있어 세상사(世上事)를 도무지 모르고 지낸다는 말.
♣ 毫釐之失差以千里(호리지실차이천리)
처음에 조금 틀리면 나중에 크게 그르치고 만다는 뜻으로,
시초가 중요하다는 말. -진서-
♣ 毫釐千里(호리천리)
毫:가는 털 호, 釐:다스릴 리. 千:일천 천, 里:마을 리.
티끌 하나의 차이(差異)가 천 리의 차이(差異)라는 뜻으로, 처음에는 조금의 차이(差異)지만 나중에는 대단한 차가 생김을 이르는 말.
♣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북쪽의 말은 북풍이 불 때마다 머리를 들어 북쪽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몹시 고향(故鄕)을 그리워함'의 비유(比喩).
♣ 毫末之利(호말지리)
毫;가는 털 호, 末:끝 말, 之:갈 지, 利:이로울 리.
썩 작은 이익, 털끝만한 이익.
♣ 狐埋之而狐搰之(호매지이호골지)
狐:여우 호, 埋:묻을 매, 而:말이을 이, 搰:팔 골, 之:갈 지.
여우는 의심이 많아서 일단 묻었다가 다시 파본다는 뜻으로, 의심이 지나쳐 성공하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好面譽人者背而毁之(호면자배이훼지)
好;좋을 호, 面:낯 면, 譽:기릴 예, 人:사람 인, 者:사람 자, 背:등 배, 而:말이을 이, 毁:헐 훼,
之:갈 지.
면전(面前)에서 칭찬하는 사람은 뒤에서는 흉봄. -장자-
♣ 好名之人能讓千乘之國(호명지인능양천승지국)
好:좋을 호, 名:이름 명, 能:능할 능, 讓:사양할 양, 乘:탈 승, 國;나라 국.
명예를 좋아하는 사람은 천승의 나라도 양보할 수 있다, -맹자 진심장구 하편-
♣ 毫毛斧柯(호모부가)
수목(樹木)을 어릴 때 베지 않으면 마침내 도끼를 사용하는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는 뜻으로, 화(禍)는 미세할 때에 예방해야 함을
비유한 말. -전국책-
♣ 虎吻(호문)
虎:범 호, 吻:술 문.
호랑이의 입, 전(轉)하여 사람을 해칠 생김새, 위험함을 이르는 말.
♣ 好問卽裕(호문즉유)
모르는 것을 묻기를 좋아하면 흉중(胸中)이 광활하고 여유가 있음을 이르는 말.
♣ 好物不在多(호물부재다)
좋은 물건은 반드시 많아야 할 필요는 없다는 뜻으로,
사물의 가치는 수량에 의해서 좌우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당서-
♣ 虎尾難放(호미난방)
잡고 있는 호랑이 꼬리를 놓기 어렵다는 뜻으로,
위험한 일에 손을 댔다가 계속 잡고 있기도 어렵고 놓아버리기도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虎尾春氷(호미춘빙)
虎:범 호, 尾:꼬리 미, 春:봄 춘, 氷:얼음 빙.
호랑이 꼬리와 봄철의 얼음이라는 뜻으로, 몹시 아슬아슬(위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서경-
♣ 琥珀不取腐芥(호박불취부개)
호박은 송진이 석화(석화)한 것, 부개는 썩은 티글,
곧 호박은 썩은 티끌은 흡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청렴한 사람은 부정이나 불의를 가가이 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 虎變(호변)
虎:범 호, 變:변할 변.
호피무뉘의 변화란 뜻으로, 문장의 아름다움이 찬연하여 볼 만함을 이르는 말.
또는 덕(德)이 날로 새로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역경-
♣ 虎變鼠(호변서)
호랑이가 쥐로 변한다는 뜻으로, 임금도 권세(權勢)를 잃으면 신하(臣下)에게 업신여김을 당(當)함을 이르는 말.
♣ 濠濮間想(호복간상)
濠:해자 호, 濮:깅 이름 복, 間:사이 간, 想:생각할 상.
속세의 번잡함을 피하고 유유히 한적을 즐기는 경지를 말한다.
호, 복은 모두가 강 이름으로 호수(濠水), 복수(濮水)를 가리킨다.
장자(장자)가 호수 가에서 혜자(惠子)와 문답을 하고, 복수 가에서 낚시질을 하고 있는데초(楚)나라의 사신이 와서 장자를 재상으로 초빙하려고 했으나 장자가 사양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세설신어-
♣ 戶封八縣(호봉팔현)
한(漢)나라가 천하(天下)를 통일(統一)하고 여덟 고을 민호(民戶)를 주어 공신(功臣)을 봉(封)함.
♣ 虎父犬子(호부견자)
虎:범 호, 父:아비 부, 犬:개 견, 子:아들 자.
호랑이 아비에 개 새끼라는 뜻으로, 잘난 아버지에 비해 못난 자식을 이르는 말.
♣ 虎負嵎(호부우)
虎;범 호, 負:짐질 부, 嵎:산 굽이.산 모퉁이 우
범이 산모퉁이를 등지고 선다는 뜻으로, 영웅이 한 지방에 할거(割據)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 매우 용맹스런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맹자-
♣ 毫不介意(호불개의)
조금도 개의치 않음, 호는 가는 터럭, 조금, 근소함의 뜻. -후한서-
♣ 呼不給吸(호불급흡)
呼:부를 호, 不:아닐 불, 給:공급할 급, 吸:숨 들이쉴 흡.
숨을 내쉬고는 들이쉬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물의 진행이 너무 빨라서 미쳐 따라갈
수가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狐不二雄(호불이웅)
여우는 수놈 두 마리가 함께 살지 않는다는 뜻으로, 두 영웅(英雄)이 병립할 수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胡思亂想(호사난상)
몹시 뒤섞이고 착잡(錯雜)하여 어수선하게 생각함, 또는 그 생각.
♣ 好事多魔(호사다마)
좋은 일일수록 그것을 방해하는 일도 많이 생김. -비파기-
♣ 好事不如無(호사불여무)
好:좋을 호, 事:일 사, 不:아닐 불, 如:같을 여, 無:없을 무.
좋은 일이 있으면 나쁜 일이 뒤따르니 처음부터 좋은 일이 없는 것이 낫다는 말.
-암처유사-
♣ 好事不出門(호사불출문)
好:좋을 호, 事:일 사, 不:아닐 불, 出:날 출, 門:문 문.
좋은 일은 좀처럼 세상에 알려지지 않는다는 말.
♣ 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好:좋을 호, 事:일 사, 不:아닐 불, 出:날 출, 門:문 문. 惡:악할 악, 行:다닐 행, 千:일천 천,
里:마을 리.
좋은 일은 알려지지 어렵고 나쁜 일은 빨리 유포(流布)된다는 뜻. -손광헌(孫光憲)-
♣ 狐死首丘(호사수구)
여우가 죽을 때는 머리를 제가 살던 굴이 있는 언덕으로 돌린다는 뜻으로,
또 고향을 그리워함을 일컫는 말. -초사-
♣ 虎死留皮(호사유피)
범이 죽으면 가죽을 남기는 것과 같이, 사람도 죽은 뒤에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말.
♣ 虎死留皮人死留名(호사유피인사유명)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동자교-
♣ 狐死兎泣(호사토읍)=호사토비
여우가 죽으니 토끼가 운다는 뜻으로, 친구의 불행을 슬퍼함을 이르는 말. -송사-
♣ 壺山外記(호산외기)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문인(文人)이자 화가(畵家)인 趙熙龍(조희룡)이 엮은 인물(人物) 전기집(傳記集).
♣ 好相見(호상견)
반갑게 서로 만남. -명심보감, 계성편-
♣ 互相入葬(호상입장)
互:서로 호, 相:서로 상, 入:들 입, 葬:장사 장.
①겨레붙이를 한 묘지에 장사함. ②주인없는 산판에 아무나 마음대로 장사지냄.
♣ 好生惡死(호생오사)
好:좋을 호, 生;날 생, 惡:욕설할 오, 死:죽을 사.
생물이 살기 좋아하고 죽기 싫어하는 일.
♣ 好生之德(호생지덕)
好:좋을 호, 德:큰 덕.
생물이 살아 있는 것을 좋아하는 덕.
참으로 훌륭한 정치는 살아있는 사람을 먼저 염려하고 배려하는 데서 나온다는 뜻이
담긴 성구다. -서경 대우모 제4장-
♣ 好生之物(호생지물)
아무렇게나 굴려도 죽지 아니하고 잘 사는 식물(植物).
♣ 狐鼠輩(호서배)
狐:여우 호, 鼠:쥐 서, 輩:무리 배.
여우와 쥐의 무리, 곧 간사하고 못된 무리의 비유.
♣ 狐仙(호선)
狐:여우 호, 仙:신선 선.
중국의 민간신앙에 있어서, 선술(仙術)을 깨달아 신통력을 터득하였다고 하는 여우,
만능의 신 특히 재록신(財祿神)으로서 신앙되어 상가나 주점 등에서 사당을 만들고 신주를 모셔 둔다.
♣ 好船者溺好騎者墮(호선자익호기자타)
배타기를 좋아하는 자는 물에 빠져 죽기 쉽고, 말타기를 좋아하는 자는 말에서
떨어진자는 뜻으로, 무슨 일에나 지나치게 좋아하면 그로 말미암아 화(禍)를
입을 수 있음을 경계하여 이르는 말. -월절서-
♣ 虎嘯(호소)
虎:범 호, 嘯:휘파람 소.
범이 큰 소리로 울부짖음, 곧 영웅이 때를 만나 박차고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북사-
♣ 呼訴無地(호소무지)
원통(寃痛)한 사정(事情)을 호소(呼訴)할 곳이 없음.
♣ 壺飱餌餓(호손이아)
壺:병 호, 飱:저녁밥 손, 餌:먹이 이, 餓:주릴 아.
남을 도와주면 다시 후에 남의 도움을 받게 된다는 말.
호손은 항아리에 담은 음식. 또는 국물을 끼얹은 밥. -전국책-
♣ 猢猻入布垈(호손입포대) = 호손입대
猢:원숭이 호, 猻:원숭이 손, 入:들 입, 布:베 포, 垈;터 대.
원숭이가 포대 안으로 들어가다.
구속, 제약, 제어를 받거나 자유롭지 못한 경우를 비유하는 말이다.
우리 속담"절에 간 색시" 와 뜻이 비슷하다. -구양수 귀천록-
♣ 虎視耽耽(호시탐탐)
虎:범 호, 視:볼 시, 耽:즐길 탐.
①범이 먹이를 노리어 눈을 부릅뜨고 노려 봄, ②(이권, 재물, 영토 따위를) 탐욕스레 먹으려는 야심으로 기회를 노리고 가만히 정세(情勢)를 관망함.
③야심을 품고 날카로운 눈초리로 형세를 노려봄. -역경-
♣ 胡言亂語(호언난어)
①터무니없는 말 ②무슨 뜻인지 이해(理解)할 수 없는 말을 이르는 말.
♣ 豪言壯談(호언장담)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말을 큰소리로 자신(自信) 있게 말함.
♣ 浩然之氣(호연지기)
①도의(道義)에 근거(根據)를 두고 굽히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바르고 큰 마음 ②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정기(精氣) ③공명(公明) 정대(正大)하여 조금도 부끄럼 없는 용기(勇氣) ④잡다(雜多)한 일에서 벗어난 자유(自由)로운 마음. -맹자,공손축 상-
♣ 號曰百萬(호왈백만)
號:부르짖을 호, 曰:가로 왈, 百:일백 백, 萬:일만 만.
말로만 백만이라는 뜻으로 실상보다 과장하여 떠벌임을 이르는 말.
♣ 呼牛呼馬(호우호마)
남이 무엇이라 하든 개의치 않음을 비유,
남이 무어라 하든 내버려 두는 것. -장자, 천도-
♣ 胡越一家(호월일가)
胡:턱밑살 호, 越:넘을 월, 一:한 일, 家:집 가.
호나라와 월나라같이 북과 남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가 한 집안이란 뜻이니,
온 천하가 같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胡越之意(호월지의)
胡:턱밑살 호, 越:넘을 월, 之:갈 지, 意:뜻 의.
호나라는 북쪽에 있는 나라이고, 월나라는 남쪽에 위치하고 있어,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서로 소원(疏遠)하여 알지 못함을 이르는 말. -서언고사-
♣ 狐濡其尾(호유기미)
狐:여우 호, 濡:젖을 유,
여우가 강을 건너려다 꼬리만 적시고 마침내는 건너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마무리를 잘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 처음이 쉬우면 반드시 끝은 어렵다는 말로도 쓰인다. -역경-
♣ 狐濡尾(호유미)
狐:여우 호, 濡:젖을 유, 尾:꼬리 미.
새끼여우가 강을 거의 다 건너가서 꽁지가 물에 젖었다는 뜻으로, 소재(小才)로써 큰 일을 감당(堪當)하기 어렵거나 또는 처음은 쉽고 끝이 어려움을 비유한 말. -역경-
♣ 好爲人師(호위인사)
조금이라도 아는 것이 있으면 우쭐해서 남을 가르치려 한다는 것. -맹자 이루상-
♣ 縞衣綦巾(호의기건)
縞:명주 호, 衣:옷 의, 綦:연두빛 비단 기. 巾:수건 건.
무명옷과 연두빛 두건이라는 뜻으로, 주대(周代)의 천한 여자의 복색, 또는 가난한 살림에 찌든 자기 아내의 변변치 못한 옷차림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시경-
♣ 狐疑未決(호의미결)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 狐擬不決(호의불결)
狐:여우 호, 擬:헤아랄 의,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의심이 많고 과단성이 부족함을 일컫는 말. -술정기-
♣ 縞衣玄裳(호의현상)
縞:명주 호, 衣:옷 의, 玄:검을 현, 裳:아랫도리옷 상.
흰 옷과 검은 치마라는 뜻으로, 두루미의 깨끗하고 아름다움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적벽부-
♣ 虎而冠(호이관)
虎:범 호, 而:말 이을 이, 冠:갓 관.
마음은 범처럼 잔인하고 흉포하면서도 사람의 의관을 하여 꾸밈을 이르는 말로, 사람의 탈을 쓰고 포악한 마음을 가진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기-
♣ 好而知其惡(호이지기악)
好:좋을 호, 而:말이을 이, 知:알 지, 其:그 기, 惡:악할 악.
좋아하면서도 그사람의 옳지 못한 점을 아는 것을 이른 말이다. -대학-
♣ 虎翼(호익)
虎:범 호, 翼:날개 익.
범에 날개까지 더한다는 듯으로, 부자에게 권력까지 더함을 이르는 말.
♣ 好爵自縻(호작자미)
스스로 벼슬을 얻게 되니 찬작(鑽灼)을 극진(極盡)하면 인작(人爵)이 스스로 이르게 됨.
♣ 壺漿(호장)
단지 안에 든 간장이란 뜻으로, 보잘것없이 맛없는 반찬(飯饌)을 이르는 말.
♣ 虎狼之國(호장지국)
虎:범 호, 狼:이리 랑, 國:나라 국.
호랑이와 같이 포악한 나라. 보통 전국시대 때의 강대국이었던 진(秦)나라를 가리킨다.
-사기 굴원열전-
♣ 虎前乞肉(호전걸육)
범에게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어림도 없는(가당치도 않은)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순오지-
♣ 胡蝶夢(호접몽) = 호접지몽. 몽위호접, 장주지몽.
胡:턱 밑살 호, 蝶:나비 접, 夢:꿈 몽.
장자(莊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닌 꿈으로, ①현실(現實)과 꿈의 구별(區別)이 안 되는 것 ②인생(人生)의 덧없음의 비유(比喩).
♣ 胡蝶之夢(호접지몽) = 몽위호접, 장주지몽.
꿈에 나비가 되어 날아다녔다는 이야기, 장주(莊周)가 꾸었다는 꿈에서 유래,
나와 사물은 결국 하나라는 뜻이다.
자연과 내가 한 몸이 된 경지. -장자, 제물론 편-
♣ 壺中之天(호중지천)
술 항아리 속의 천지(天地)라는 뜻으로, ①별세계(別世界) 또는 선경(仙境)을 이르는 말 ②지극(至極)히 협소함을 이르는 말.
♣ 壺中天(호중천)
壺:병 호, 中:가운데 중, 天:하늘 천.
별천지, 선경(仙境), 술을 마시고 속세를 잊는 즐거움, 한나라 때 선인(仙人) 호공(壺公)이 항아리를 집으로 삼고 술을 즐기며 세속을 잊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한서-
♣ 護疾忌醫(호질기의)
護:보호할 호, 疾:병 질, 忌:꺼릴 기, 醫:의원 의.
병에 걸렸으면서도 의사에게 치료받기를 꺼린다는 뜻으로, 스스로 잘못이
있으면서도 남의 충고를 싫어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주자통서-
♣ 虎擲龍拏(호척용나)
범과 용이 맞잡고 천다는 뜻으로, 영웅(英雄)끼리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昊天罔極(호천망극)
넓고 큰 부모의 은혜가 하늘과 같아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 -시경-
♣ 戶樞不蠹流水不腐(호추불두유수불부)
戶:지게 호, 樞:지도리 추, 蠹:좀 두, 腐:썩을 부
문지도리는 좀이 쓸지 않고, 흐르는 물은 썩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기 역할에 충실한 사람은 퇴보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여시춘추-
♣ 皓齒丹脣(호치단순) =단순호치
皓;흴 호, 齒:이 치, 丹:붉을 단, 脣:입술 순.
아름다운 여자의 붉은 입술과 흰 이란 말.
♣ 豪宕不羈(호탕불기)
기개(氣槪)가 굳고 호걸(豪傑)스러워 사소(些少)한 일에 얽매이지 않음.
♣ 虎豹豈受犬羊斯(호표기수견양사)
虎:범 호, 豹:표범 표, 豈:어찌 기, 受:받을 수, 犬;개 견, 羊:양 양, 斯:이 사.
군자(君子)는 소인(小人)의 모욕(侮辱)을 받지 않음을 비유한 말. -고사성어고-
♣ 虎豹之秦(호표지진)
虎:범 호, 豹:표범 표, 之:갈 지, 秦:벼이름 진.
범이나 표범처럼 강포(强暴)한 진(秦)나라. -왕안석(王安石)-
♣ 好學近乎知(호학근호지)
즐겨 학문을 하는 것은 지자(知者)에 한 걸음 다가섬을 이르는 말. -중용-
♣ 好學不倦(호학불권)
학문(學問)을 좋아하여 책읽기에 게으름이 없음.
♣ 浩澣(호한)
浩:클 호, 澣:빨 한.
물이 광대한 것, 사물이 많고 풍부함의 형용, 또 책의 권수가 많은 것, 호(浩)도, 한(澣)도 광대함의 형용.
♣ 好漢識好漢(호한식호한)
好:좋을 호, 漢:한수 한, 識:알 식.
엉웅이라야 영웅을 안다는 말. -수허전-
♣ 戶限爲穿(호한위천)
사람들의 발길이 문턱이 다 닳았다는 뜻으로,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상서고실-
♣ 湖海之士(호해지사)
湖:호수 호, 海:바다 해, 士:선비 사.
장대(壯大)한 기상(氣象)을 가지고 초야(草野)에 묻혀 사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호해는 호수와 바다, 곧 세상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삼국지-
♣ 胡行亂走(호행난주)
胡:오랑캐 호, 行:다닐 행, 亂:어지러울 난, 走:달릴 주.
함부로 날뛰며 이리저리 돌아다니거나 행동함.
♣ 好行小慧(호행소혜)
好:좋을 호, 行:다닐 행, 小:작을 소, 慧:지혜 혜.
얄팍한 옳지 못한 꾀를 쓰기를 좋아한다는 뜻이다. -논어 위령공편-
♣ 虎穴(호혈)
虎:범 호, 穴:구멍 혈.
범이 사는 굴로, 위험한 장소를 비유한 말. -한서-
♣ 虎穴虎子(호혈호자)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의 새끼를 잡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큰 위험(危險)을 각오(覺悟)하지 않으면 큰 수확(收穫)을 얻지 못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浩浩茫茫(호호망망)
浩:클 호, 茫:망망할 망.
바다, 호수 따위가 끝없이 넓고 멀어서 아득함.
♣ 好好先生(호호선생)
好:좋을 호, 先:먼저 선, 生:날 생.
마음씨가 너그럽고 좋은 선생이란 뜻으로, 남의 말에 무조건 옳다고 하는 오늘날의
예스맨을 비유하는 말이다. 꼭 부정적인 뜻으로만 쓰이지는 않는다.
-풍몽룡, 고금담개-
♣ 浩浩如黃河東注(호호여황하동주)
浩:클 호, 如:같을 여, 黃:누를 황, 河;물 하, 東:동녘 동, 注;물댈 주.
넓은 황하(黃河)가 세차게 바다로 흘러간다는 뜻으로, 인재(人才)가 많음을 비유한 말.
-위서-
♣ 浩浩蕩蕩(호호탕탕)
浩:클 호, 蕩;쓸어버릴 탕.
①호수, 바다 다위가 아주 썩 넓어서 끝이 없음, 크고 넓은 바다.
②세차게 내달리는 듯한 기세가 있음.
♣ 毫忽之間(호홀지간)
毫:가는 털 호, 忽:소홀히 할 홀, 之:갈 지, 間:사이 간.
털끝만큼 틀리는 지극히 짧은 동안.
♣ 好畵未見龍(호화미견용)
보지도 않은 용을 그리기를 좋아한다는 말이니 헛되이 이룰 수도 없는
일을 하려고 한다는 말. -송남잡식-
♣ 毫華子弟(호화자제)
毫:가는 털 호, 華:빛날 화, 子:아들 자, 弟:아우 제.
사치스럽고 번화한 집안에서 자라난 자제란 말.
♣ 或可或不可(혹가혹불가)
옳다 하기도 하고 그르다 하기도 하여 어떤 일이 질정(質定)되지 못함.
♣ 鵠不浴而白(혹불욕이백)
鵠:고니 혹(곡), 不:아닐 불, 浴;목욕할 욕, 而;말이을 이, 白:흰 백.
타고난 성품이 좋은 사람은 배우지 않아도 선량하다는 말. -장자-
♣ 惑世誣民(혹세무민)
세상 사람을 미혹하게 하여 속인다는 말.
♣ 或速或遲(혹속혹지)
或:혹시 혹, 速:빠를 속, 遲:더딜 지.
어떤 때에는 빠르기도 하고, 어떤 때에는 더디기도 함.
♣ 或是或非(혹시혹비)
或;혹시 혹, 是:바를 시, 非:아닐 비.
혹은 옳기도 하고 혹은 그르기도 하여 옳고 그른것이 질정(質定)되지 못함.
♣ 惑於後妻(혹어후처)
후처(後妻)에게 홀딱 반함. 후처(後妻)에게 미혹(迷惑)됨.
♣ 或前或後(혹전혹후)
或;혹시 혹, 前:앞 전, 後:뒤 후.
어떤 때에는 앞서고 어떤 때에는 뒤서기도 함.
♣ 或中或不中(혹중혹불중)
或:혹시 혹, 中:가운데 중, 不:아닐 불.
혹은 맞고 혹은 맞지 않는다는 뜻으로,
예언이나 점(占), 과녘 등이 혹은 맞고 혹은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渾金璞玉(혼금박옥)
다듬지 않은 본디 그대로의 금과 옥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좋은 바탕을 이르는 말.
♣ 渾沌(혼돈)
渾:흐릴 혼, 沌:어두울 돈.
사물의 구별이 분명치 않음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아 흐릿한 상태를 형용한 말인데 여기서는 광대한 천지의 한가운데 있는 제왕(帝王)의 이름에 빗대고 있다. 혼돈(混沌)이라고도 쓴다. -장자-
♣ 魂飛魄散(혼비백산)
魂:넋 혼, 飛:날 비, 魄:넋 백, 散:흩을 산.
혼백이 흩어짐, 곧 몹시 놀라 어쩔줄 모르는 형편을 가리키는 말.
♣ 魂飛中天(혼비중천)
혼이 중천에 떴다는 말로, '정신(精神)이 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空中)에 떠돌아 다닌다는 말.
♣ 魂昇魄降(혼승백강)
魂:넋 혼, 昇:오를 승, 魄:넋 백, 降:내릴 강.
죽은 사람의 영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시체는 땅으로 내려 감.
♣ 昏夜哀乞(혼야애걸)
昏;어두울 혼, 夜:밤 야, 哀:슬플 애, 乞:빌 걸.
깊은 밤에 사람 없는 틈을 타서 권세 있는 사람에게 애걸하는 일.
♣ 渾然天成(혼연천성)
渾:흐릴 혼, 然:그러할 연, 天:하늘 천, 成:이룰 성.
처음부터 아주 쉽게 저절로 이루어짐.
♣ 婚姻死喪隣保相助(혼인사상인보상조)
혼인(婚姻)과 상사(喪事)에는 이웃끼리 서로 도와야 함.
♣ 昏定晨省(혼정신성)
저녘에 이부자리를 보고 아침에 자리를 돌아본다 함이니, 아들이 조석으로 부모님께 문안 올리고 효도한다는 뜻. -예가-
♣ 囫圇呑棗(홀륜탄조)
囫:온전할 홀, 圇:완전할 륜.
대추를 씹지도 않고 통으로 삼켜 맛을 모른다는 뜻으로,
자세히 모르는 일을 우물쭈물하여 넘김을 이르는 말,
또 글이나 책의 뜻을 깊이 살피지 않거나 먹어도 소화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忽如過隙(홀여과극)
忽:소홀히 할 홀, 如:같을 여, 過:지날 과, 隙:틈 극.
홀연히 틈을 지나감과 같다는 뜻으로, 세월의 흐름이 매우 빠름의 비유.
♣ 忽顯忽沒(홀현홀몰)
忽:소홀히 할 홀, 顯:나타날 현, 沒:잠길 몰.
문득 나타났다가 문득 없어짐.
♣ 鴻鵠(홍곡)
鴻:큰 기러기 홍, 鵠:고니 곡.
큰 기러기와 고니라는 뜻으로, 포부가 원대하고 큰 임물의 비유.
♣ 鴻鵠一擧千里所恃者六翮耳(홍곡일거천리소시자육핵이)
鴻:큰 기러기 홍, 鵠:고니 곡. 一:한 일, 擧:들 거, 千:일천 천, 里:마을 리, 所;바 소, 恃:믿을 시,
者:사람 자, 六:여섯 육, 翮:깃촉 핵, 耳:귀 이.
홍곡(鴻鵠;기러기와 고니)이 한 번에 천리를 날지만 의지하는 것은 오직 여섯 개의 날개뿐이라는 뜻. -한시외전-
♣ 鴻鵠之壽(홍곡지수)
鴻:큰 기러기 홍, 鵠:고니 곡. 之;갈 지, 壽:목숨 수.
홍곡과 같은 긴 수명.
♣ 鴻鵠之志(홍곡지지)
큰 기러기와 고니의 뜻이라는 뜻으로, 영웅(英雄) 호걸(豪傑)의 뜻이나 원대(遠大)한 포부(抱負)를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사기-
♣ 鴻溝(홍구)
鴻:큰 기러기 홍, 溝:붓도랑 구.
한고조 유방과 초(楚)의 항우가 천하를 둘로 나누었을 때의 경계가 되는 곳의 지명(地名), 전(轉)하여 많이 떨어져 있음을 일컫는 말. -사기-
♣ 鴻溝爲界(홍구위계)
鴻:큰 기러기 홍, 溝:붓도랑 구, 爲;할 위, 界;경계할 계.
홍구를 경계로 삼다. -사기 항우본기-
♣ 紅東白西(홍동백서)
紅:붉을 홍, 東:동녘 동, 白:흰 백, 西:서녘 서.
제사 지낼 때에 제상에 과물을 올려 놓는 차례, 붉은 과실은 동쪽에 흰 과실은 서쪽에 차리는 격식.
♣ 紅燈綠酒(홍등녹주)
紅:붉을 홍, 燈:등잔 등, 綠:푸를 녹, 酒:술 주.
붉은 등과 푸른 술, 곧 화류계를 일컫는 말.
♣ 紅爐上一點雪(홍로상일점설)
벌겋게 단 화로(火爐) 위에 한 점의 눈이 녹는다는 뜻으로, ①도를 깨쳐 마음속이 탁 트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②큰 일에 작은 힘이 아무 도움도 되지 못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紅爐點雪(홍로점설) = 紅爐上一點雪(홍로상일점설)
紅:붉을 홍, 爐:화로 로, 上:위 상, 一:한 일, 點:점찍을 점, 雪:눈 설.
활활타는 뜨거운 불길 위의 한 점의 눈쯤은 금방 녹아 없어져 버린다는 뜻으로,
도를 깨달아 마음속이 탁 트여 맑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 큰 일에 사소한 힘이 아무 보탬이 되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근사록-
♣ 紅粉靑蛾(홍분청아)
紅:붉을 홍, 粉:가루 분, 靑:푸를 청, 蛾:나방 아.
홍(紅)은 연지, 분(粉)은 백분(白粉), 청아(靑蛾)는 청색(靑色)으로 눈썹을 그리는 것, 즉 미녀(美女)를 형용하여 이르는 말.
♣ 紅不甘醬(홍불감장)
①빛깔은 붉으나 맛이 쓴 간장.
②겉으로는 좋아도 속은 신통찮은 것의 비유.
♣ 紅顔美少年(홍안미소년)
紅:붉을 홍, 顔:얼굴 안, 美:아름다울 미, 少:적을 소, 年:해 년.
젊디 젊은 소년, 죽음이 가까워 오는 백두옹(白頭翁)과 대비시켜 흐르는 세월의 무상함을 나타내는 수가 있다. -유희이 대비백두옹-
♣ 紅顔薄命(홍안박명)
紅:붉을 홍, 顔:얼굴 안, 薄:엷을 박, 命:목숨 명.
①얼굴빛이 도홍색(桃紅色)인 여자는 팔자가 사납다는 뜻으로 하는 말.
②썩 예쁜 여자는 팔자가 사납다는 뜻으로 하는 말.
♣ 紅顔白髮(홍안백발)
紅:붉을 홍, 顔:얼굴 안, 白:흰 백, 髮:터럭 발.
나이 들어 머리는 세었으나 얼굴은 붉고 윤기가 든다는 말.
♣ 紅顔婢子(홍안비자)
紅:붉을 홍, 顔:얼굴 안, 婢:계집종 비, 子:아들 자.
나이가 젊고 얼굴이 곱게 생긴 계집종.
♣ 紅厓愛力(홍안애력)
紅:붉을 홍, 雁:기러기 안. 愛:사랑 애, 力:힘 력.
기러기는 바람을 만나면 빨리 떠올라 자기의 힘을 아끼는 것을 이르는 말. 비아(埤雅).
♣ 紅厓愛鳴(홍안애명)
紅:붉을 홍, 雁:기러기 안. 愛:사랑 애, 鳴:울 명.
기러기의 슬피우는 소리, 세궁민(細窮民)의 비참한 경지에 있음을 비유한 말. -시경-
♣ 紅葉之媒(홍엽지매)
紅:붉을 홍, 葉:입 엽, 之:갈 지, 媒:중매 매.
단풍잎이 혼인의 중매 구실을 하는 것, 또 남녀의 기구한 운명을 이르기도 한다.
단풍이 우우(于祐)와 궁녀 한씨(韓氏)와의 혼인을 맺게 해주었다는 고사에서 홍엽을 중신아비의 뜻으로 쓴다.
♣ 弘益人間(홍익인간)
弘;넓을 홍, 益:더할 익, 人:사람 인, 間:사이 간.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하다.
우리의 국조 단군의 개국이념이면서 우리 교육의 지표이기도 한 말이다.
-삼국유사 기이편-
♣ 紅一點(홍일점)
유일하게 핀 한 떨기 붉은 꽃, 유난히 이채를 드러낸다는 뜻으로,
특히 남성 가운데 여성이 혼자 끼어 있을 때 쓴다,
반대의 경우는 청일점(靑一點)이라고 한다. -왕안석 석류시-
♣ 鴻漸(홍점)
큰 기러기가 아래로부터 차차 위로 올라간다는 뜻으로, 차례(次例)를 따라 벼슬이 올라감의 비유(比喩).
♣ 鴻漸之翼(홍점지익)
鴻:큰 기러기 홍, 漸:점점 점, 之:갈 지, 翼:날개 익.
하늘가지 날아갈 수 있는 큰 기러기의 날개, 사람의 유위(有爲)한 재능(才能)의 비유.
-한서-
♣ 鴻爪(홍조)
鴻:큰 기러기 홍, 爪:손톱 조.
①기러기가 눈이나 진흙 위에 남기는 발자국.
②돌아가는 기러기가 다시 돌아올 때의 안표로 눈이나 진흙 위에 남기는 발자국이 이내 자취 없이 사라진다는 뜻에서, 인세(人世)의 여로(旅路)의 자취, 또는 그 자취가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紅塵(홍진)
紅:붉을 홍, 塵:티끌 진.
①바람이 몹시 불어 햇빛에 벌겋게 일어나는 티끌.
②속세의 티끌, 번거롭고 속된 세상.
♣ 紅塵萬丈(홍진만장)
紅:붉을 홍, 塵:티끌 진. 萬:일만 만, 丈:어른 장.
햇빛에 비치어 붉게 된 티끌이 높이 솟아 오름.
♣ 禍家餘生(화가여생)
禍:재앙 화, 家:집 가, 餘:남을 여, 生:날 생.
재화(災禍)를 입은 집안의 자손.
♣ 和羹鹽梅(화갱염매)
和:화할 화, 羹:국 갱, 鹽:소금 염, 梅:매화나무 매.
국은 소금으로 그 맛을 돋운다 함이니
①임금이 훌륭한 재상(宰相)을 얻어 나라를 잘 다스린다는 뜻.
②성실한 부하를 두어 일이 잘 성취(成就)된다는 듯. -서경-
♣ 火耕水耨(화경수누)
火;불 화, 耕:밭갈 경, 水:물 수, 耨:김맬 누.
옛날의 경운법(耕耘法)의 하나로, 나무와 풀을 태우고 물을 대어 김매는 것을 대신한 것.
♣ 華菅茅束(화관모속)
솔새를 물에 적셔 거적을 짤 때는 띠로 묶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부(夫婦)는 서로 떨어져서는 안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和光同塵(화광동진)
和:화할 화, 光:빛 광, 同:한가지 동, 塵:티글 진.
화광은 빛을 부드럽게 한다는 뜻이고 동진은 세상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의 지덕(智德)의 빛을 감추고 밖에 드러내지 않음.
불교에서 부처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자기 본색을 감추고 인간계에 섞여 몸을 나타내는 일. 자신의 뛰어난 덕성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른다는 뜻이다.
-노자 제4장 제56장-
♣ 火光衝天(화광충천)
火:불 화, 光:빛 광, 衝:찌를 충, 天:하늘 천.
불이 일어나서 그 형세가 하늘을 찌를듯이 몹시 사나움.
♣ 禍起蕭墻(화기소장)
禍:재앙 화, 起:일어날 기, 蕭:맑은대쑥 소, 墻:담장 장.
재앙도 조용한 담 안에서 일어난다는 뜻으로,
내분이나 내란이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논어-
♣ 和氣靄靄(화기애애)
和:화할 화, 氣:기운 기, 靄:아지랑이 애.
여럿이 모인 자리에 온화한 기색이 차서 넘쳐 흐르는 모양.
♣ 和氣致祥(화기치상)
和:화할 화, 氣:기운 기, 致:이를 치, 祥:상서러울 상.
음(陰)과 양(陽)이 서로 화합하면 그 기운이 엉켜서 상서(祥瑞)를 나타낸다는 말. -한서-
♣ 花落訟庭閒(화락송정한)
花:꽃 화, 落:떨어질 락, 訟:송사할 송, 庭:뜰 정, 閒:한가할 한.
꽃잎이 떨어질 정도로 소송의 마당은 한가하구나.
정치가 잘 이루어져서 법정에 서서 싸우는 사람이 없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잠삼 초지건위시 한 구절-
♣ 畵龍類狗(화룡유구)
畵:그림 화, 龍:용 룡, 類:무리 유, 狗:개 구.
큰 일을 하려다가 그 일을 이루지 못할 때는 모든 것이 실패로 돌아가 한가지의 작은
일도 이룰 수가 없음을 비유한 말. -후한서-
♣ 畵龍點睛(화룡점청)
畵:그림 화, 龍:용 룡, 點:점찍을 점, 晴:갤 청.
용(龍)을 그린 뒤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넣었더니 그 용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옛일에서 어떤 일을 하는 데 가장 긴요한 부분을 긑내어
완성시킴을 이르는 말. -수형기-
♣ 花無十日紅(화무십일홍)
花:꽃 화, 無::없을 무, 十:열 십, 日:날 일, 紅:붉을 홍.
열흘 붉은 꽃이 없다는 뜻으로, 한번 성한 것은 얼마 못가서 반드시 쇠하여 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化民成俗(화민성속)
化:될 화. 民:백성 민, 成;이룰 성, 俗:풍속 속.
백성을 선도(善導), 교화(敎化)하여 좋은 풍속을 이룩함을 이름. -예기-
♣ 和盤托出(화반탁출)
和;화할 화, 盤;소반 반, 托:맡길 탁, 出:날 출.
음식물을 소반에 차려서 들고 나온다는 뜻으로 일체(一切) 남기지 않고 드러냄을 이름, 본디 속어(俗語)로 문장의 평어(平語)에도 쓰임. -서호가화(西湖佳話)-
♣ 花發多風雨(화발다풍우)
花:꽃 화, 發:쏠 발, 多:많을 다, 風:바람 풍, 雨:비 우.
꽃이 필 무렵에는, 흔히 바람이 불거나 비가 오거나 하기 쉬워서 꽃도 덧없이 지고 만다는 것. 사물에는 자칫 방해하는 것이 나타나기 쉬워 뜻대로 안되는 것을 말함.
-우무릉시. 전주-
♣ 畵餠(화병)
畵:그림 화, 餠:떡 병.
그림 속에 있는 떡은 보기만 할 뿐 먹을 수는 없다는 뜻으로, 실제로 이용할 수 없어 만족을 채울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삼국지-
♣ 畵餠充饑(화병충기)
畵:그림 화, 餠:떡 병, 充;가득할 충, 饑:주릴 기.
그림 속의 떡으로 요기를 한다는 뜻이지만 허황된 수작으로 자신을 위안한다는 말이다.
화병충기와 다른 하나의 성구 망매지갈(望梅之渴:매실을 생각하면서 갈증을 푼다는 뜻)은 그 함의가 비슷할 뿐 아니라 문자상으로도 아주 대조적인데 더욱 공교로운 것은 후자는 조조의 말에서 나왔다는 바로 그 점이다. -삼국지 위지 노육전-
♣ 禍福同門(화복동문)
禍:재앙 화, 福:복 복, 同:한가지 동, 門:문 문.
화나 복이나 모듀 자신이 불러온다는 말.
♣ 禍福無門(화복무문)
禍:재앙 화, 福:복 복, 無:없을 무, 問:물을 문,
화복은 문이 없다는 뜻으로, 화나 복은 운명적으로 오는 것이 아니고, 모두 자신이 불러온다는 말, 사람이 선한 일을 하거나 악한 일을 함에 따라서 각기 받는다는 말. -좌전-
♣ 禍福無門唯人所招(화복무문유인소초)
禍:재앙 화, 福:복 복, 無:없을 무, 問:물을 문, 唯:오직 유, 人;사람 인, 所:바 소, 招:부를 초.
본인의 처신 여하에 따라서 행도 불행도 초래하게 된다는 것. -춘추좌씨전-
♣ 禍福相貫(화복상관)
화와 복은 서로 통하여 화가 있는 곳에 복이 있고, 복이 있는 곳에 화가 있다는 뜻. -전국책-
♣ 禍福如糾纏(화복여규전)
禍:재앙 화, 福:복 복, 如:같을 여, 糾:꼴 규, 纏:얽힐 전.
노끈을 꼬는 것을 규(糾)라 하고 세 겹노를 전(纏)이라이름, 화(禍)와 복(福)은 두 줄의 노끈을 규합(糾合)한 것과 같다는 말임. -한서-
♣ 禍不可倖免(화불가행면)이요, 福不可再求(복불가재구)니라.
화는 요행으로 면할 수가 없다. 복은 두 번 다시 구할 수가 없다. -명심보감 순명편-
♣ 禍不單行(화불단행)
禍:재앙 화, 不:아닐 불, 單:홑 단, 行:다닐 행.
화(禍)는 혼자서 다니지 않는다 함이니 사람의 재앙은 언제나 겹쳐서 닥친다는 뜻.
♣ 禍不妄至(화불망지)
禍:재앙 화, 不:아닐 불, 妄:망령 망, 至;이를 지.
화(禍)가 도래(到來)함은 모두 그 원인이 있다는 말. -사기-
♣ 花不損蜜得成(하불손밀득성)
花:꽃 화, 不:아닐 불, 損:덜 손, 蜜;꿀 밀, 得:믿을 득, 成;이룰 성.
벌은 꽃을 상하지 않고 꿀을 만들어 냄을 이름. -금사(金史)-
♣ 畵蛇添足(화사첨족)
畵:그림 화, 蛇:뱀 사, 添:더할 첨, 足:발 족.
뱀을 그리는데 실물에도 없는 발을 그려넣어서 원모양과 다르게 되었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군일을 하다가 도리어 실패함의 비유. -전국책 제책-
♣ 禍生不德(화생부덕)
화난(禍亂)을 겪는 것은 모두 본인의 덕이 없는 탓으로 생기는 현상이란 말. -최기-
♣ 禍生自纖纖(화생자섬섬)
禍:재앙 화, 生:날 생, 自:스스로 자, 纖:가늘 섬.
화환(禍患)은 사소한 일로부터 생긴다는 말. -순자(荀子)-
♣ 華胥之國(화서지국)
華:빛날 화, 胥:서로 서, 之:갈 지, 國:나라 국.
지극히 잘 다스려진 나라를 이르는 말.
♣ 華胥之夢(화서지몽)
화서 나라의 꿈을 꾼다. 무심코 꾼 꿈에서 인생의 진리를 깨달음. -열자 황제편-
[고사]옛날 중국 황제(黃帝)가 꿈에 화서국(華胥國)에 가서 그 태평함을 보았다는 옛이야기에서 나온 말.
♣ 和氏璧(화씨벽)
和:화할 화, 璧:둥근옥 벽.
화씨가 발견한 구슬, 15성과 바꿀만큼 값있는 구슬로 중국에서 제일가는 구슬이었음.
-한비자 화씨편-
♣ 火燼(화신)
火:불 화, 燼:깜부기 불 신.
불탄 자취.
♣ 華實相稱(화실상칭)
華:빛날 화, 實;열매 실, 相:서로 상, 稱:저울대 칭.
화려함과 성실성이 서로 일치하다,
곧 선비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면모를 일컫는 말,
지식인이라면 문장도 화려해야 하고 행동도 신실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전인적인 인간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남사-
♣ 花樣不同(화양부동)
花:꽃 화, 樣:모양 양, 不:아닐 부, 同:한가지 동.
꽃 모양이 같지 않다는 뜻으로, 문장이 다른 사람과 같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태평광기-
♣ 花言巧語(화언교어)
巧:공교로울 교,
듣기 좋은 말로 사람을 속인다는 뜻으로, 감언이설과 같은 말이다.
화언과 교어는 같은 말이다. -시경-
♣ 華如桃李(화여도리)
華:빛날 화, 如:같을 여, 桃:복숭아나무 도, 李:오얏나무 리.
얼굴의 아름다움이 마치 복숭아나 오얏의 꽃과 같다는 말. -시경-
♣ 禍與福鄰(화여복린)
禍:재앙 화, 與:줄 여, 福:복 복, 鄰:이웃 린.
화복(禍福)은 언제나 함께 따른다는 말. -순자-
♣ 火炎崑岡玉石俱焚(화염곤강옥석구분)
火:불 화, 炎:불꽃 염, 崑;산이름 곤, 岡:언덕 강, 玉:구슬 옥, 石:돌 석, 俱:함께 구, 焚:불사를 분.
불이 곤산(崑山)에 붙으면 옥석(玉石)의 미악(美惡)을 가리지 않고 사름, 즉 관리(官吏)가 지나치게 편안하여 사람의 선악을 가리지 않고 주는 죄를 비유한 말. -서경-
♣ 華屋山丘(화옥산구)
華:빛날 화, 屋:집 옥, 山:뫼 산, 丘:언덕 구.
화려했던 집이 산과 구릉으로 변하다. 상전벽해와 같은 말이다.
달리 인간의 수명은 유한해서 죽음과 함께 부귀공명도 사라진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진서 사안전-
♣ 火旺之節(화왕지절)
火;불 화, 旺:성할 왕, 節:마디 절.
오행(五行)에서 화기(火氣)가 왕성한 절기라는 뜻으로, 여름을 일컫는 말.
♣ 化外之氓(하외지맹) = 화외지민
化:될 화, 外:바깥 외 之:갈 지, 氓:백성 맹.
♣ 化外之民(화외지민)
化:될 화, 外:바깥 외 之:갈 지, 民:백성 민.
교화가 미치지 못하는 지방의 백성.
♣ 花容月態(화용월태)
花:꽃 화, 容:얼굴 용, 月:달 월, 態:태도 태.
꽃다운 얼굴과 달 같은 자태라는 뜻으로 미인의 모습을 일컫는 말.
♣ 火牛計(화우계) = 화우지계(火牛之計)
計:셈할 계.
쇠꼬리에 불을붙여 밤중에 적진으로 돌진시켜 제나라를 구한 기묘한 전법.
전국시대 말기 제나라 전단(田單)이 쓴 전법에 화우계란 것이 있었다.
-사기 전단열전-
♣ 和而不同(화이부동)
타인과 화합은 하되 부화뇌동(附和雷同)하지 않는 군자의 태도. -논어, 자로편-
♣ 華而不實(화이부실)
華:빛날 화, 而:말이을 이, 實:열매 실.
겉은 화려하면서도 실속은 없다.
우리 속담 "빛 좋은 개살구"와 뜻이 같다. -논형 서해편-
♣ 和而不壯(화이부장)
和:화할 화,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부, 壯:장할 장.
온화(溫和)하나 웅장(雄壯)하지 못함을 이름. -조비(曹丕)의 논문(論文)-
♣ 禍因惡積(화인악적)
재앙(災殃)은 악(惡)을 쌓음에 인(因)한 것이므로, 재앙(災殃)을 받는 이는 평소(平素)에 악(惡)을 쌓았기 때문임.
♣ 禍自微而生(화자미이생)
禍:재앙 화, 自:스스로 자, 微:작을 미, 而:말이을 이, 生:날 생.
화는 사소한 일로부터 생겨 마침내 몹시 큰 결과로 나타낸다는 말. -태공금궤-
♣ 花田衝火(화전충화)
衝:찌를 충,
꽃밭에 불을 놓는다는 뜻으로,
젊은이의 앞길을 막거나 그르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순오지-
♣ 華亭鶴唳(화정학려)
華:빛날 화, 亭:정자 정, 鶴:학 학, 唳:울 려.
진(晉)나라의 육기(陸機)가 죽음에 임하여 지난날 화정(華亭)에서 학의 울음소리를 들으며 즐기던 일을 생각하고 탄식한 말.
♣ 花朝月夕(화조월석)
①꽃이 피는 아침과 달 뜨는 저녁(봄날 아침과 가을 저녁의 경치가 좋은 시절)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②음력 2월15일은 화조, 8월15일은 석월이라고 한다.
♣ 花鳥風月(화조풍월)
花:꽃 화, 鳥:새 조, 風:바람 풍, 月:달 월.
①꽃과 새나 바람과 달을 이르는 말, 천지간의 아름다운 경치. ②풍류(風流)
♣ 禍從口生(화종구생) = 구시화지문
禍:재앙 화, 從:좇을 종, 口:입 구, 生:날 생.
화는 입으로 부터 나온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라는 뜻. -석씨요람-
♣ 禍從口出(화종구출)
입을 조심하라는 경계의 말,
말을 많이 하지 않도록 삼가야 한다는 것. -부자-
♣ 花中君子(화중군자)
花:꽃 화, 中:가운데 중, 君:임금 군, 子:아들 자.
꽃 중의 군자라는 뜻으로, 연꽃을 달리 이르는 말.
♣ 花中神仙(화중신선)
꽃중의 신선이라는 뜻으로, 깨끗하고 고상한 해당화를 말함. -군방보-
♣ 畵中有詩(화중유시)
畵:그림 화, 中:가운데 중, 有:있을 유, 詩:시 시.
그림속의 시적(詩的) 정취(情趣)가 있는 것. -동파자림(東坡志林)-
♣ 畵中之餠(화중지병) = 화병
畵:그림 화, 中:가운데 중, 之:갈 지, 餠:떡 병.
그림 속의 떡이라 함이니, 실제로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을 이름.
♣ 花中花(화중화)
花:꽃 화, 中:가운데 중.
①꽃 중의 꽃, 꽃 가운데서 가장 아름다운 꽃. ②뛰어나게 어여쁜 여자를 이르는 말.
♣ 花之君子(화지군자) = 화중군자
花:꽃 화, 君:임금 군.
꽃 중의 군자, 연꽃을 뜻하는 말이다. -주돈이 애련설-
♣ 畵脂鏤氷(화지누빙)
畵;그림 화, 脂:기름 지, 鏤:새길 루, 氷:얼음 빙.
기름 위에 그림을 그리고, 얼음에 조각을 한다는 뜻으로,
수고만 하고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염철론-
♣ 花燭(화촉)
花:꽃 화, 燭:촛불 촉.
①화초. ②빛깔들인 밀초, 호화로운 등화(燈火). ③혼례의 의식(儀式), 축연(祝宴)등에서의 석상(席上)의 등화, 뜻이 바뀌어 혼례(婚禮)를 이르는 말.
♣ 禍出於口(화출어구)病入於口(병입어구)
화는 입에서 나오고, 병은 입으로 들어 간다.
♣ 華表鶴歸(화표학귀)
華:빛날 화, 表:겉 표, 鶴:학 학, 歸:돌아올 귀.
옛날에 정령위(丁令威)가 죽어서 학이 되어 날아 갔다는 말에서 나온 성구다.
화표는 묘 앞에 세우는 문으로 망주석(望柱石)따위를 말한다. -수신후기-
♣ 和風甘雨(화풍감우)
和:화할 화, 風:바람 풍, 甘:달 감, 雨:비 우.
화창한 바람과 알맞은 비, 화풍과 감우.
♣ 和風暖陽(화풍난양)
和:화할 화, 風:바람 풍, 暖:따뜻할 난, 陽:볕 양.
화창한 바람과 따스한 햇볕.
♣ 化被萬方(화피만방)
化:될 화, 被:이불 피, 萬:일만 만, 方:모 방.
교화(敎化)가 널리 만방(萬方)에 미침)
♣ 化被草木(화피초목)
덕화(德化)가 사람이나 짐승 뿐만 아니라 초목(草木)에까지도 미침을 말함.
♣ 花下曬褌(화하쇄곤)
꽃나무 밑에서 잠방이를 말린다는 뜻으로, 살풍경하고 조금의 멋도 없음을 이르는 말.
♣ 禍兮福之所倚(화혜복지소의)
禍:재앙 화, 兮:어조사 혜, 倚:의지할 의.
화와 복은 서로 의지하고 있다는 뜻으로,
화와 복은 돌고 돌아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 -노자-
♣ 畵虎不成(화호불성)
畵:그림 화, 虎:범 호, 不:아닐 불, 成:이룰 성.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 -후한서-
♣ 畵虎類狗(화호유구) = 화호불성반류구(畵虎不成反類狗)
畵:그림 화, 虎:범 호, 類:무리 류, 狗:개 구.
범을 그리려다가 잘못 그리면 개와 같이 된다 함이니,
①호걸의 풍을 배우려다가 이루지 못하면 경박한 자가 됨을 비유한 말.
②남을 본받아 배워서 보람이 없음을 비유한 말. -후한서 마한전-
♣ 花紅柳錄(화홍유록)
꽃은 붉고 버들은 푸르다는 뜻으로, 인공(人工)을 가(加)하지 않은 자연(自然) 그대로를 이르는 말.
♣ 攫金者不見人(확금자불견인)
攫;붙잡을 확,
돈을 움켜쥐려는 자에게는 돈 외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물욕에 눈이 멀면 의리나 염치를 모름을 이르는 말. -열자-
♣ 擴而充之(확이충지)
擴;넓힐 확, 而:말이을 이, 充:가득할 충, 之:갈 지.
확장하여 충실하게 함. 확장하여 충족함.
♣ 涸轍鮒漁(확철부어)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속에 있는 붕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이르는 말.
♣ 確呼不拔(확호불발)
確:굳을 확, 呼:부를 호, 不:아닐 불, 拔:뺄 발.
몹시든든하고 굳세어서 흔들리지 아니함.
♣ 廓揮乾斷(확휘건단)
廓:클 확, 揮:휘두를 휘, 乾:하늘 건, 斷:끊을 단.
(임금이) 무슨 일을 결단성있게 함.
♣ 環顧一世(환고일세)
環:고리 환, 顧:돌아볼 고, 一:한 일, 世:대 세.
세상에 쓸만한 사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 紈絝子弟(환고자제)
紈:흰비단 환, 絝:바지 고, 子:아들 자, 弟:아우 제.
귀족(貴族)의 자제(子弟). 환고는 귀족의 자제가 입는 옷. -한서-
♣ 換骨奪胎(환골탈태)
①용모가 환하게 뜨이고 아름다워져서 전혀 딴사람처럼 됨.
②뼈대를 바꿔 끼고 태(胎)를 빼앗는다는 뜻으로, 형용이 좋은 방향으로 달라짐,
③시문(詩文)을 모방하여 지었으나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됨.
-혜홍, 냉제 야화-
♣ 鰥寡孤獨(환과고독)
늙어서 아내가 없는 사람을 환, 남편이 없는 사람을 과,
어릴 때 부모가 없는 사람을 고, 노령에 자식이 없는 사람을 독이라 함,
다 곤궁한 자임. -맹자-
♣ 紈袴子弟(환과자제) = 기환자제
紈:흰비단 환, 袴:바지고, 사타구니 과, 子:아들 자, 弟:아우 제.
지위가 높고 귀한 집안의 자제.
♣ 患及身後愼不及(환급신후신불급)
患:근심 환, 及:미칠 급, 身:몸 신, 後:뒤 후, 愼:삼갈 신, 不:아닐 불.
화가 몸에 미친 후 몸을 삼간들 쓸데가 없음, 화는 미연에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뜻.
-준남자-
♣ 患難相救(환난상구) = 환난상고(患難相顧)
患:근심 환, 難:어려울 난, 相:서로 상, 救:구원할 구.
환난이 생겼을 때 서로 구하여 줌.
♣ 患難相死(환난상사)
환난이 있을 때 서로 목숨을 내놓고 구제하는 것. -예기-
♣ 丸泥封關谷(환니봉관곡)
丸:알 환, 泥:진흙 니, 封:봉할 봉, 關:빗장 관, 谷:골 곡.
한 덩어리의 흙으로 함곡관(函谷關)을 봉쇄한다는 뜻으로,
소수의 병력으로 요충지를 굳게 지킴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후한서-
♣ 患得患失(환득환실)
患:근심 환, 得:얻을 득, 失:잃을 실.
이익이나 지위를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으려고 근심하고, 얻은 후에는 그것을 잃지
않으려고 걱정함. 이래저래 근심 걱정이 끊일 사이 없음. -논어-
♣ 歡樂極兮哀情多(환락극혜애정다)
歡:기뻐할 환, 樂:풍류 락, 極:다할 극, 兮:어조사 혜, 哀:슬플 애, 情:뜻 정, 多:많을 다.
기쁨과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오히려 비애가 일어난다.
-고분진보 후집 권1에 실린 한무제 유방의 추풍사-
♣ 換夫易祖(환부역조)
換:바굴 환, 夫:사내 부, 易:바꿀 역, 祖:조상 조.
아비와 할아비를 바꾼다는 뜻으로, 지체가 좋지 못한 사람이 부정한 수단으로 자손이 없는 양반집을 이어서 자기 아비 할아비를 바꾸는 것.
♣ 患生於多慾禍由於爲惡(환생어다욕화유어위악)
근심은 욕심이 많은데서 생기고 화는 악한 일을 하는 데서 연유한다.
♣ 患生于所忽(환생우소홀)
患:근심 환, 生:날 생, 于:어조사 우, 所:바 소, 忽:소홀히 할 홀.
소홀히 보는 데서 부터 환난(患難)은 일어남. -설원(說苑)-
♣ 歡如平昔(환여평석)
원망(怨望)과 한을 생각지 않고 옛 정을 회복(回復)함.
♣ 渙然氷釋(환연빙석)
渙:흩어질 환, 然:그러할 연, 氷:얼음 빙, 釋:해석할 석.
얼음이 녹아 시원스럽게 풀린다는 뜻으로,
늘 지니고 있던 의문이 분명히 알게 됨을 이르는 말.
♣ 圜鑿方枘(환조방예)
圜:두를 환. 鑿:구멍 조, 枘:장부 예,
둥근 구멍에 모진 자루를 넣는다 함이니 ,
두 개의 일이 서로 맞지 않음을 비유한 말. =방예원조. -군사-
♣ 歡天喜地(환천희지)
歡:기뻐할 환, 天:하늘 천, 喜:기쁠 희, 地:땅 지.
하늘이 즐기고 땅이 기뻐한다는 뜻으로, 몹시 기뻐하고 즐김을 이르는 말.
♣ 換奪(환탈)
얼굴이 전보다 훨씬 아름다워지고 환하게 틔어서 딴 사람처럼 됨. 남이 지은 글의 뜻을 본떠서 지었으나, 더욱 아름답고 새로운 글이 됨. 환골탈태(換骨奪胎).
♣ 歡呼雀躍(환호작약)
歡:기뻐할 환, 呼:부를 호, 雀:참새 작, 躍:뛸 약.
기뻐서 소리치며 날뜀.
♣ 活狗子勝於死政丞(활구자승어사정승)
活:살 활, 狗:개 구, 子:아들 자, 勝:이길 승, 於:어조사 어, 死:죽을 사, 政:정사 정, 丞:도울 승.
산 개가 죽은 정승보다 낫다.
♣ 豁達大度(활달대도)
豁:뚫린 골 활, 達:통할 달, 大:큰 대, 度:법도 도.
활달한 도량.
♣ 活剝生呑(활박생탄)
活:살 활, 剝:벗길 박, 生:날 생, 呑:삼킬 탄.
산 채로 가죽을 벗겨 통째로 삼킴,
남의 문장이나 시가(詩歌)를 그대로 도용(盜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대동신어-
♣ 活殺自在(활살자재)
活:살 활, 殺:죽일 살, 自:스스로 자, 在:있을 재.
살리고 죽임을 마늠대로 함.
♣ 豁然開朗(활연개랑)
豁:뚫린 골 활, 然:그러할 연, 開:열 개, 朗:밝을 랑.
앞이 밝게 확 트인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사색 등으로 갑자기 어떤 도리를
깨닫게 되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도연명 도화원기-
♣ 豁然貫通(활연관통)
豁:뚫린 골 활, 然:그러할 연, 貫:꿸 관, 通:통할 통.
환하게 통하여 도(道)를 깨달음.
♣ 活人劍(활인검)
사람을 살상하는데 쓰이는 도검(刀劍)도,
방법에 따라서는 사람을 살리는 도검이 될 수도 있다는 말.
♣ 活人積德(활인적덕)
活:살 활, 人:사람 인, 積:쌓을 적, 德:큰 덕.
사람의 목숨을 구원하여 음덕(陰德)을 쌓음.
♣ 活人之方(활인지방)
사람을 구원(救援)하여 돕는 방법(方法). 사람을 살려 줄 방안(方案).
♣ 活人之佛洞洞有之(활인지불동동유지)
活:살 활, 人:사람 인, 之:갈 지, 佛:부처 불, 洞:마을 동, 有:있을 유,
사람 살 곳은 골골이 있다.
♣ 黃絹幼婦(황견유부)
黃:누를 황, 絹:비단 견, 幼:어릴 유, 婦;아내 부.
절묘(絶妙)를 뜻하는 은어(隱語). -세설신어 첩오편-
♣ 惶恐無地(황공무지)
惶:두려워할 황, 恐:두려울 공, 無:없을 무, 地:땅 지.
몸가짐이나 몸둘 바를 모르게 매우 황공함.
♣ 惶恐再拜(황공재배)
惶:두려워할 황, 恐:두려울 공, 再:두 번 재, 拜:절 배.
①황공하여 다시 절함. ②주로 편지 끝에 써서 상대편에게 경의를 표하는 말.
♣ 黃口小兒(황구소아)
黃:누를 황, 口:입 구, 小:작을 소, 兒:아이 아.
참새 새끼의 주둥이가 황색(黃色)이므로 어린아이를 이름. -북사-
♣ 黃口乳臭(황구유취)
黃:누를 황, 口:입 구, 乳:젖 유, 臭:냄새 취.
어려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남을 어리고 하잘것없다고 욕하는 말.
♣ 黃口添丁(황구첨정)
조선(朝鮮) 말(末) 때, 젖먹이를 군적(軍籍)에 올려 군포(軍布)를 징수(徵收)하던 일.
♣ 黃券赤軸(황권적축)
누른 종이와 붉은 책갑이라는 뜻으로, '불경(佛經)'을 이르는 말.
♣ 黃金百滿籝不如敎子(황금백만영불여교자)
돈이 아무리 많아도 자식 교육시키는 것만 같지 못하다. -명심보감 훈자편-
♣ 黃金用盡還疎索(황금용진환소색)
黃:누를 황, 盡:다할 진, 還:돌아올 환, 疎:트일 소, 索:찾을 색.
황금을 다 쓰고 나면 다시 사이는 소원해진다. 세상의 인간 관계가 결국 금전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고적 한단소년행-
♣ 黃金千兩(황금천양)未爲貴(미위귀)得人一語(득인일어)勝千金(승천금)
황금 천냥이 귀한 것이 아니라,
남에게 한마디 좋은 말을 듣는 것이 천금보다 낫다. -명심보감 성심편-
♣ 荒唐客(황당객)
荒:거칠 황, 唐:당나라 당, 客:손 객.
언행이 황당한 사람.
♣ 荒唐無稽(황당무계)
荒:거칠 황, 唐:당나라 당, 稽:상고할 계.
황당은 언행이 거칠고 줏대가 없어서 취할 것이 없다는 말이고,
무계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는 뜻이다.
즉 하는 일이 너무나 어처구니 없어서 달리 그런 경우를 찾을 수 없다는 말이다.
-장자 천하편-
♣ 荒唐船(황당선)
荒:거칠 황, 唐:당나라 당, 船:배 선.
바다 위에 출몰(出沒)하는 타국의 배.
♣ 荒唐之說(황당지설) = 황당지언(荒唐之言)
荒:거칠 황, 唐:당나라 당, 之:갈 지, 說:말씀 설.
허황(허황)한 말, 터무니없는 말. -장자-
♣ 黃梁夢(황량몽) = 한단지몽(邯鄲之夢)
黃:누를 황, 梁:대들보 양, 夢:꿈 몽.
세상의 부귀 영화가 허황한 것임을 이르는 말, 또 바뀌어 다만 꿈의 뜻으로도 쓰임.
[고사]침중기(枕中記)에 나오는 옛일에서 중국 당(唐)나라 때 노생(盧生)이 한단(邯鄲) 땅 주막에서 도사(道士) 여옹(呂翁)에게서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 영화를 누리며 80살까지 잘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좁쌀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 함.
♣ 黃粱一炊(황량일취)
메조죽을 쑤는 짧은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귀(富貴)와 공명(功名)의 덧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부귀(富貴) 공명(功名)이 꿈처럼 덧없음의 비유(比喩), 또 바뀌어, 다만 꿈의 뜻으로도 쓰임.
♣ 黃粱一炊之夢(황량일취지몽)
노생이 잠들기 전(前)에 짓던 기장밥이 꿈에서 깨어보니 아직 익지 않은 짧은 시간(時間)이었음.
♣ 黃粱之夢(황량지몽)
덧없는 꿈이나 한때의 헛된 부귀(富貴) 영화(榮華)를 이르는 말.
♣ 荒亡之行(황망지행)
노는데에 빠져 생활을 돌보지 않는 행위.
주색 등의 환락에 빠져 나라나 몸을 망치는 행위. -맹자 양혜왕-
♣ 黃霧四塞(황무사색)
黃:누를 황, 霧:안개 무, 四:넉 사, 塞:막을 색.
누런 빛의 안개가 천지 사방에 가득 차 있는 것, 옛날에는 이것을 천하가 어지러워질 징조라고 하였음. -한서-
♣ 黃蜂(황봉)
꿀을 따다 모으는 벌의 한 가지. 어두운 갈색(褐色)의 작은 몸에 잔털이 많이 나고, 투명(透明)한 날개가 달렸음.
♣ 黃紗燈籠(황사등롱) = 황사롱
黃:누를 황, 紗:모래 사, 燈:등잔 등, 籠:대그릇 롱.
①누른 운문사(雲紋紗)의 바탕에 붉은 운문사로 위아래에 등을 달아 씌운 등롱, 임금의 나들이에 썼음.
②조선조 품등(品等)의 하나, 누른 운문사로 의를 한 등롱, 당하관(堂下官)이 밤에 들리고 다님.
♣ 滉洋自恣(황양자자)
滉:물 깊고 넓을 황, 洋:큰 바다 양, 自:스스로 자, 恣:방자할 자.
물이 넓고 깊은 것처럼 학식과 재능이 깊고 넓어서 응용하는 것이 자유자재임을
이르는 말.
♣ 黃壤之客(황양지객)
죽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
♣ 恍然如隔世(황연여격세)
恍:황홀 황, 然:그러할 연, 如:같을 여, 隔:막을 격, 世:대 세.
황홀(恍惚)하여 별세계(別世界)에 있는 것과 같은 심경(心境)임을 이름.
-오선록(吳船錄)-
♣ 黃屋左纛(황옥좌독)
黃:누를 황, 屋:집 옥, 左:왼 좌, 纛:독 독.
황색 비단으로 만든 수레의 덮게와 수레 왼편에 꽂는 기(旗)라는 말로, 천자(天子)의 수레를 이름. -사기-
♣ 荒淫無道(황음무도)
주색(주색)에 빠져 사람으로서 마땅히 할 도리를 돌아보지 아니함.
♣ 黃雀風(황작풍)
黃:누를 황, 雀:참새 작, 風:바람 풍.
음력 5월경에 부는 바람, 훈풍(熏風).
♣ 黃中內潤(황중내윤)
재덕(才德)을 깊이 감추고 겉으로 나타나지 않음. -역경-
♣ 皇天后土(황천후토)
皇;임금 황, 天:하늘 천, 后:임금 후, 土:흙 토.
천지신기(天地神祇)를 이름. 황(皇)과 후(后)는 경어(敬語). -좌전-
♣ 荒誕無稽(황탄무계)
荒:거칠 황, 誕:태어날 탄, 無:없을 무, 稽:상고할 계.
언행이 허황하여 믿을 수가 없음. 荒唐無稽(황당무계)
♣ 黃袍加身(황포가신)
黃:누를 황, 袍:핫옷 포, 加:더할 가, 身:몸 신.
천자(天子)가 되는 것, 수(隋)나라 때부터 천자는 항상 노란 곤룡포를 입고 사서인(士庶人)은 이를 금하였음, 당(唐)나라 때와 송(宋)나라도 이에 따랐음. -송사-
♣ 黃河千年一淸(황하천년일청)
黃:누를 황, 河:물 하, 千:일천 천, 年:해 년, 一:한 일, 淸:맑을 청.
황하가 천 년에 한 번쯤 맑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함이니,
①성인(聖人)의 탄생이 이처럼 어렵다는 말. ②이루어지기 힘든 일을 비유하는 말.
♣ 黃河千里一曲(황하천리일곡)
黃:누를 황, 河:물 하, 千:일천 천, 里:마을 리, 一:한 일, 曲:굽을 곡,
황하는 중국 제2의 긴 강으로, 물이 항상 탁하여 황하(黃河)라 하며, 천리마다 한 번씩 굽어 흐른다 함. -수경주(水經注)-
♣ 恍惚難測(황홀난측)
恍:황홀 황, 惚:황홀할 홀, 難:어려울 난, 測:잴 측.
황홀하여 헤아리기 어려움.
♣ 惶惶怯怯(황황겁겁)
惶:두려워할 황, 怯:겁낼 겁.
몹시 두렵고 겁이 남.
♣ 遑遑罔措(황황망조)
遑:허둥거릴 황, 罔:그물 망, 措:둘 조.
황황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갈팡질팡함.
♣ 會見汝在荊棘(회견여재형극)
會:모을 회, 見:볼 견, 汝:너 여, 在:있을 재, 荊:광대싸리 형, 棘;가시나무 극.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가 동(銅)으로 낙타(駱駝)를 주조(鑄造)하여 장안(長安) 궁성(宮城) 서액문(西掖門) 밖에 둔 것을 위(魏)나라의 명제(明帝)가 이를 낙양(洛陽)으로 옮겨 궁문(宮門)앞에 두었는데 천하(天下)가 소란(騷亂)하면 궁전(宮殿)이 폐괴(廢壞)하고 가시덤불이 가득하여 낙타의 동상만이 독존(獨存)할 것이므로 이름. -진서-
♣ 會稽之恥(회계지치)
會:모을 회, 稽:상고할 계, 恥:부끄러울 치.
중국 춘추시대에 월왕 구천(勾踐)이 오왕 부차(夫差)와 회계산에서 싸우다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은 고사에서, 전쟁에 패한 치욕, 뼈에 사무쳐서
잊을 수 없는 치욕을 이르는 말. -서기-
♣ 廻狂瀾於旣倒(회광란어기도)
廻:돌 회, 狂:미칠 광, 瀾:물결 란, 於:어조사 어, 旣:이미 기, 倒:넘어질 도.
성난 파도가 밀려오는 것을 받아서 반대 방향으로 떠밀어 보낸다는 뜻으로서, 사도(邪道)를 정도(正道)로 돌아오게 하는 것을 이름.
♣ 廻光返照(회광반조)
廻:돌 회, 光:빛 광, 返:돌이킬 반, 照:비출 조.
빛을 돌이켜 거꾸로 비춘다. 불가에서 쓰는 말로 언어나 문자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을 회고반성(回顧反省)해서 곧바로 자기 심성의 신령한 성품을 비쳐보는 것을 일컫는다. 回光返照로도 쓴다. -임제록-
♣ 繪農之閣(회농지각)
繪:그림 회, 農:농사 농, 之:갈 지, 閣:누각 각.
주(周)나라의 세종(世宗)이 농업을 장려하기 위하여 농사짓고 누에치는 모양을 누각(樓閣)에 그려 놓은 고사. -고사성어고-
♣ 回祿(회록)
回;돌아올 회, 祿:녹 록,
①화재(火災). ②화재를 맡은 신(神).
♣ 回祿之災(회록지재)
回;돌아올 회, 祿:녹 록, 災:재앙 재.
회록의 재앙, 즉 화재를 말한다. 회록은 전설상의 불의 신 이름이다.
♣ 賄賂公行(회뢰공행)
賄:뇌물 회, 賂:뇌물 줄 뢰,
도의심이 마비되어서 부정한 금품의 수수(授受)가 세상에서 공공연히 진행됨을
이르는 말. -남사-
♣ 廻文錦字詩(회문금자시)
廻;돌 회, 文;글월 문, 字:글자 자, 詩;시 시.
전진(前秦)의 두도(竇滔)의 아내가 회문(會文)의 시를 지어 비단속에 짜넣어서 먼 곳에 있는 남편에게 보낸 것, 회문이란 순역종횡(順逆縱橫) 어디로 읽어도 뜻을 이루는 시를 이름. -시아소명록(侍兒小名錄)-
♣ 廻文織錦(회문직금)
비단으로 회문(回文)을 짜 넣다라는 뜻으로, 구성(構成)이 절묘(絶妙)한 훌륭한 문학작품(文學作品)을 비유함.
♣ 懷壁有罪(회벽유죄)
懷:품을 회, 壁:바람벽 벽, 罪:허물 죄.
보옥을 가진 죄라는 뜻으로, 분수에 맞지않는 보옥(寶玉)을 가지고 있으면
재앙을 부를 수도 있다. 즉, 뛰어난 재능을 가졌기 때문에 시기의 대상이 됨을
이르는 말. -좌전-
♣ 回賓作主(회빈작주)
남의 의견이나 주장하는 사람을 재쳐놓고 제 마음대로 일을 처리하거나
방자하게 구는 일을 두고 하는 말.
♣ 繪事後素(회사후소)
繪:그림 회, 事:일 사, 後:뒤 후. 素:휠 소.
그림은 먼저 바탕을 손질한 후에 채색을 함, 또는 그림을 그리는 데는 흰색을 제일 나중에 칠하여 다른 색을 한층 더 선명하게 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좋은 바탕이 있은 뒤에 문식(文飾)을 더 해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回雪袖(회설수)
回;돌아올 회, 雪:눈 설, 袖:소매 수.
춤추는 모양의 묘절(妙絶)함을 이름. -조식(曹植)의 부(賦)-
♣ 灰身滅智(회신멸지)
'몸과 마음이 함께 아주 없어짐'의 뜻으로, 소승(小乘) 불교(佛敎)의 최종(最終) 목적(目的)인 '무여 열반(涅槃)의 경지(境地)'를 일컫는 말.
♣ 會心之處不必在遠(회심지처불필재원)
자기 마음에 적합한 바는 반드시 먼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님. -세설-
♣ 懷玉有罪(회옥유죄)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誨人不倦(회인불권)
誨:가르칠 회, 人:사람 인, 不:아닐 불, 倦:게으를 권.
사람을 조금도 권태를 느끼지 않고 성심성의로 교회(敎誨)함. -논어-
♣ 誨人者不能繪其情(회인자불능회기전)
誨:가르칠 회, 人:사람 인, 者:사람 자, 不:아닐 불, 能:능할 능, 繪;그림 회, 其:그 기, 情:뜻 정.
사람의 심정을 그림으로 그릴 수 없다는 말. -학림옥로(鶴林玉露)-
♣ 膾炙(회자)
膾:회 회, 炙:고기 구울 자,
고기를 회친 것과 고기를 구운 것이라 함이니, 누구나 맛있다 하는 것이므로 글구가 널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림을 뜻함. -맹자-
♣ 懷刺不適(회자부적)
懷:품을 회, 刺:찌를 자, 適:맞을 적.
명함을 품고 다녔지만 아무도 만나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존경할 만한 사람을 만나지 못했거나 만날 수 없는 경우를 가리키는 말이다. -후한서-
♣ 膾炙人口(회자인구)
膾:회 회, 炙:고기 구울 자, 人:사람 인, 口:입 구.
누구나 다 칭찬해서 마지않다.
칭찬이 자자하다 널리 사람들에게 이야기 되다. -맹자 진심장구 하편-
♣ 會者定離(회자정리)
만나면 언젠가는 헤어지게 되어 있다는 뜻으로, 인생(人生)의 무상(無常)함을 인간(人間)의 힘으로는 어찌 할 수 없는 이별(離別)의 아쉬움을 일컫는 말. -유교경-
♣ 回天之力(회천지력)
回:돌아올 회, 天:하늘 천, 之:갈 지, 力:힘 력.
하늘을 돌리는 힘이란 뜻으로, 임금의 마음을 정도(正道)로 돌이키게 하는 힘,
또 국가의 쇠운(衰運)이나 시세(時勢)를 일변시키는 힘. -당서-
♣ 懷寵尸位(회총시위)
懷:품을 회, 寵:사랑할 총, 尸:주검 시, 位:벼슬 위.
임금의 총애를 믿고 물러가야 할 때에 물러가지 않고 벼슬자리만 헛되이 차지함.
-효경-
♣ 回避不得(회피부득)
일을 하지 앟으려고 피하려 하나 피할 수가 없음. =요피부득
♣ 劃地爲牢(획지위뢰)
劃:새길 획. 地:땅 지, 爲:할 위, 牢;옥소리 뢰.
적당한 경계로 범위를 삼더라도 이를 어기지 않고 잘 지킨다는 뜻으로, 태평한 시대나 그런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행동을 비유하는 말. -무왕벌주평화 권 중에-
♣ 橫來之厄(횡래지액)
橫;가로 횡, 來:올 래, 之;갈 지, 厄:재앙 액.
뜻밖에 당하게 되는 재액.
♣ 橫羅之厄(횡라지액)
橫;가로 횡, 羅:그물 라, 之;갈 지, 厄:재앙 액.
뜻밖에 걸린 재액.
♣ 橫步行好去京(횡보행호거경)
橫:가로 횡, 步:걸음 보,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뜻으로,
수단과 방법은 어떻든 간에 목적만 달성하면 됨을 이르는 말. -청장관 전-
♣ 橫說竪說(횡설수설)
조리가 없이 되는 대로 말을 이러쿵 저러쿵 지껄임. -사원-
-횡수설거, 횡수설화.
♣ 橫草之功(횡초지공)
싸움터의 풀을 가로 쓰러뜨린 공이란 뜻으로 전쟁터에 나아가 크게 세운
공로를 이르는 말. -한서-
♣ 橫行天下(횡행천하)
제 멋대로 방자하게 행동하는 것. -사기, 백이열전-
♣ 孝當竭力(효당갈력)
부모(父母)를 섬길 때에는 마땅히 힘을 다하여야 함.
♣ 孝立卽忠遂(효립즉충수)
효와 충은 일치되는 것이므로 효도를 다하면 충의(忠義)도 자연 행하게 된다는 말.
-문중자-
♣ 梟木(효목)
'효수(梟首)를 매다는 나무'라는 뜻으로 '옥문(獄門)을 이름.
♣ 孝百行之源也(효백행지원야)
효는 모든 행실의 근원이다. -효경-
◆ 效顰(효빈) = 서시빈목
效:본받을 효, 顰:찡그릴 빈.
월(越)의 서시(西施)가 불쾌(不快)하여 찡그렸더니, 어떤 추녀(醜女)가 그걸 보고 미인(美人)은 찡그린다고 여겨 자기(自己)도 찡그렸다는 옛일에서, ①자기(自己) 분수(分數)를 모르고 남의 흉내를 냄을 이르는 말 ②남의 결점(缺點)을 장점(長點)인 줄 알고 본뜸.
♣ 孝衰於妻子(효쇠어처자)
衰:쇠할 쇠
사람은 처자를 가지면 부모를 섬기는 효심이 쇠해지기 쉬움을 경계하여 이르는 말.
-설원-
♣ 嚆矢(효시)
사물의 처음을 말함이니 옛날 군진(軍陳)에서는 제일 처음에 울리는 화살을
쏘아 전쟁을 시작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 -장자-
♣ 梟示(효시)
많은 사람들을 깨우치게 하는 뜻으로, 죄인(罪人)의 목을 베어 나무 위에 매달아 뭇사람에게 보임.
♣ 孝子不匱(효자불궤)
匱:다할, 상자 궤,
효자의 효성은 지극하여 다함이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면 이에 감화되어 잇달아 효자가 나옴을 이르는 말.
-시경-
♣ 孝子不如惡妻(효자불여악처)
孝:효도 효, 子;아들 자, 不:아닐 불, 如;같을 여, 惡:악할 악, 妻:아내 처.
아무리 효자라도 자식보다는 마누라가 낫다는 말.
♣ 孝子愛日(효자애일)
孝:효도 효, 子:아들 자, 愛:사랑 애, 日:날 일.
효자(孝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로,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父母)에게 효성(孝誠)을 다하여 섬기고자 하는 마음'을 이름. 일(日)은 태양과 시간의 두 가지 뜻이 있다.
겨울 해에 비유하는 것은 엄동(嚴冬)에 햇빛을 아끼기 때문이며, 반대로 한 여름의 햇빛을 싫어하는 데서 여름 해를 외일(畏日)이라고 하여 무서운 것에 비유한다. -논어-
♣ 孝子從治命不從亂命(효자종치명부종난명)
孝:효도 효, 子:아들 자, 從:좇을 종, 治:다스릴 치. 命:목숨 명, 不;아닐 부, 亂:어지러울 난,
효자는 부모가 정신이 온전할 때의 명령을 따르지, 어지러울 때 내린 명령을 따르지는
않는다는 뜻으로, 결초보은과 연관된 이야기에서 유래한 성어다.
-동주열국지 제55회-
♣ 孝子之高(효자지고)
어버이를 존경하는 이상으로 큰 것이 없다. -맹자-
♣ 孝子之門(효자지문)
효자(孝子)가 난 가문(家門).
♣ 孝悌者爲仁之本(효제자위인지본)
孝;효도 효, 悌:공경할 제. 者:사람 자, 爲;할 위, 仁;어질 인, 之;갈 지, 本;근본 본.
효제는 인도(仁道)를 행하는 근본이라는 뜻, 효(孝)는 부모를 잘 섬기는 것, 제(悌)는 형을 잘 섬기는 것을 이름. -논어-
♣ 孝悌忠信(효제충신)
어버이에 대한 효도(孝道), 형제끼리의 우애(友愛), 임금에 대한 충성(忠誠)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孝鳥(효조)
'앙갚음할 줄 아는 새'라는 뜻으로, '까마귀'를 달리 일컫는 말.
♣ 斅學半(효학반)
斅:가르칠 효, 學:배울 학, 半:반 반.
남을 가르치는 일이 자기 학업의 반을 차지한다는 뜻으로, 학업의 반은 남을 가르치는
동안에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즉 학생을 가르치다 보면 자신도 많은 공부가 됨을
말한다. 학학반이나 교학반과 같은 뜻이다. -서경 열명하편-
♣ 後見之木高斫其根(후견지목고작기근)
後;뒤 후, 見:볼 견, 之:갈 지, 木:나무 목, 高;높을 고, 斫쪼갤 작, 其:그 기, 根:뿌리 근.
뒤에 볼 나무는 그루를 높게 잘라라.
♣ 後顧之憂(후고지우)
뒤에 남는 걱정, 마음에 걸리는 일을 말한다. -위서, 이충전-
♣ 後起之秀(후기지수).
후배 중의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厚德君子(후덕군자)
厚:두터울 후, 德:큰 덕, 君:임금 군, 子:아들 자.
덕행(德行)이 두텁고 점짆은 사람.
♣ 後來佳器(후래가기)
後:뒤 후, 來:올 래, 佳:아름다울 가, 器:그릇 기.
나중에는 반드시 훌륭하게 될 인물. -제서-
♣ 後來居上(후래거상)
뒤에 온 것이 위에 있다는 뜻으로,
나중에 발탁된 사람이 윗자리에 앉음을 이르는 말. -사기-
♣ 後來三杯(후래삼배)
後:뒤 후, 來:올 래, 三:석 삼, 杯:잔 배.
남이 술을 먹고 있는 자리에 나중에 나타나면 그에게 반드시 술 석 잔을 먹이고 놀게 한다는 뜻.
♣ 後來先杯(후래선배)
後:뒤 후, 來:올 래, 先:먼저 선, 杯:잔 배.
술자리에서 뒤늦게 온 사람에게 술을 먼저 권할 때에 쓰는 말.
♣ 厚貌深情(후모심정)
외모를 꾸미고 본심은 깊이 간직하여 나타내지 않음. -장자-
♣ 朽木難雕(후목난조)
朽:썩을 후, 難:어려울 난, 雕:독수리 조.
썩은 나무는 새기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전도가 암담하거나 가르칠 가치가 없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논어-
♣ 朽木糞墻(후목분장)
朽:썩을 후, 糞:똥 분, 墻:담장 장.
썩은 나무에 조각(彫刻)하거나 썩은 벽에 고쳐 칠해도 소용(所用)이 없다는 뜻으로, ①지기(志氣)가 썩은 사람은 가르칠 수 없음 ②탁하고 게을러 쓸모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논어 공야장 편-
♣ 侯門如海(후문여해)
侯:제후 후, 如:같을 여.
벼슬아치나 부잣집 대문이 바다 같다는 뜻으로,
단속이 엄해 마음대로 출입할 수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 -범려 운계우의-
♣ 厚味寔腊毒(후미식석독)
厚:두터울 후, 味:맛 미, 寔:이 식, 腊:포 석, 毒:독 독.
맛이 좋은 음식은 독이 스며들기 쉽다는 말로 중록(重祿)은 화(禍)를 받음이 바름을 이름.
♣ 後生可畏(후생가외)
젊은 후학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후진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氣力)이 좋아, 학문(學問)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人物)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논어, 자한편-
♣ 後生角高(후생각고)
뒤에 난 뿔이 우뚝하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뛰어날 때 이르는 말.
♣ 後生大事(후생대사)
내세(來世)에서의 안락(安樂)을 가장 소중(所重)히 여겨 믿는 마음으로 선행(善行)을 쌓음을 이르는 말.
♣ 喉舌之官(후설지관)
喉:목구멍 후, 舌:혀 설, 之:갈 지, 官:벼슬 관.
임금의 명령을 아래로 전달한다는 뜻으로, 즉 재상(宰相)을 이름. -시경-
♣ 喉舌之臣(후설지신)
喉:목구멍 후, 舌:혀 설, 之:갈 지, 臣:신하 신.
왕명출납(王命出納)과 정부의 중대한 언론을 맡았다는 뜻으로, 승지(承旨)의 직임(職任)을 이르는 말.
♣ 後時之嘆(후시지탄) = 만시지탄
後:뒤 후, 時:때 시, 之:갈 지, 嘆:탄식할 탄.
기회를 놓쳐 안타깝다는 뜻.
♣ 厚顔無恥(후안무치)
厚:두터울 후, 顔:얼굴 안, 恥:부끄러울 치,
얼굴 가죽이 두꺼워 자신의 부끄러움은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뻔뻔스러워서 부끄러워할 줄을 모름. (반=순정가련(順情可憐)
♣ 後五百年(후오백년)
불멸(佛滅) 후(後) 2,500년 동안을 불교(佛敎)의 성쇠(盛衰)에 따라 다섯으로 나눈 것의 마지막 500년. 이때는 불교(佛敎)가 쇠퇴(衰頹)하여 비구(比丘)들은 계율(戒律)을 지키지 않고, 싸움을 일삼았다고 함.
♣ 後凋之節(후조지절)
가난을 참고 견디며, 굳게 지조를 지키는 것,
역경에 있어서 비로소 지조가 높은 사람을 알 수 있다는 것. -논어, 자한-
♣ 厚酒肥肉甘口而疾形(후주비육비육감구이질형)
厚:두터울 후, 酒:술 주, 肥:살찔 비, 肉:고기 육, 甘:달 감, 口:입 구, 而:말이을 이, 疾:병 질,
形:형상 형.
좋은 술과 맛있는 고기는 먹을 때는 맛있고 좋지만 위장을 상하고 나중에는 신체를 해침을 이름. -한비자-
♣ 後悔莫及(후회막급)
아무리 후회(後悔)하여도 다시 어찌할 수가 없음. 일이 잘못된 뒤라 아무리 뉘우쳐도 어찌할 수 없음.
♣ 薰猶(훈유)
향내 나는 풀과 못된 냄새 나는 풀이라는 뜻으로. '착한 사람과 못된 사람'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 薰以香自燒(훈이향자소)
재주있는 자는 그 재주 때문에 스스로 몸을 망침을 비유한 말. -한서-
♣ 熏煮(훈자)
지지고 삶는다는 뜻으로, 날씨가 몹시 더움의 비유(比喩).
♣ 葷酒山門(훈주삼문)
葷:훈채 훈, 酒:술 주.
비린내 나는 것을 먹고 술기운을 띤 자는 절의 경내를 들어와서는 안된다고 하는 것. 선종(禪宗)의 사문(寺門) 등에 있는 계단석이라는 석비에 새겨져 있는 문구
[불허훈주입산문(不許葷酒入山門) 즉 훈주산문에 들어옴을 허락하지 않는다].
라고 하는 것. 훈은 파나 부추따위의 맛을 내고 힘이 나는 야채, 술과 함께
불가(佛家)에서는 식음하지 않는 것.
♣ 壎篪相和(훈지상화)
塤:질나팔 훈, 篪:저 이름 지, 相:서로 상, 和:화할 화.
형은 질나팔을 불고 아우는 이에 화답하여 저를 분다는 뜻으로, 형제가 서로 화목한 것을 비유하는 말, 훈지(塤篪)또는 훈지(塤竾)로도 쓴다. -시경 소아 하인사-
♣ 焄蒿悽愴(훈호처창)
향기(香氣)가 서려 올라 사람의 기분(氣分)을 오싹하게 한다는 뜻으로, 귀신(鬼神)의 분위기(雰圍氣)가 서림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 萱堂(훤당)
①남의 어머님의 경칭(敬稱). 자당(慈堂) ②편지(便紙) 등(等)에서,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暄暄囂囂(훤훤효효)
수많은 사람이 저마다 떠들어서 시끄러운 모양을 이르는 말.
♣ 毁家黜送(훼가출송) =훼가출동
毁:헐 훼, 家:집 가, 黜:물리칠 출, 送:보낼 송.
한 고을이나 한 동네에서 풍속을 어지럽힌 사람을 사회적 제재로서 그 집을 헐어 없애고 동네 밖으로 내쫓음.
♣ 毁譽褒貶(훼예포폄)
毁:헐 훼, 譽:기릴 예, 褒:기릴 포, 貶:떨어뜨릴 폄.
칭찬, 비방, 시비(是非), 선악을 평정(平定)함. 훼는 구멍을 파서 부수는 것, 또는 욕하다의 뜻도 있다. 폄은 떨어뜨리다, 비방하다의 뜻.
♣ 毁瓦畵墁(훼와획만)
毁:헐 훼, 瓦:기와 와, 畵:그을 획, 墁:흙손 만.
기와를 헐고 흙손질한 벽에 금을 긋는다는 뜻으로, 남의 집에 해를 끼침을 이르는 말.
♣ 喙長三尺(훼장삼척)
허물이 드러나서 감출래야 감출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 毁劃(훼획)
기와를 헐고 흙 손질한 벽에 금을 긋는다는 뜻으로, '남의 집에 해를 끼침'을 이르는 말.
♣ 諱莫如深(휘막여심)
諱:꺼릴 휘, 莫:없을 막, 如:같을 여, 深:깊을 심.
남이 알까 깊이 감춘다는 뜻이다. -곡량전 장공23년 조-
♣ 諱伴出粮(휘반출량)
諱:꺼릴 휘, 伴:짝 반, 出:날 출, 粮:양식 량.
동무 몰래 양식 내기.
♣ 諱之秘之(휘지비지)
諱:꺼릴 휘, 之:갈 지, 秘:숨길 비.
남을 꺼리어 우물쭈물 얼버무려 넘김.
♣ 諱疾忌醫(휘질기의)
병을 숨기고 의원에게 보이기를 꺼린다는 뜻으로, 자신의 결점을 감추고 남의 충고를 듣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 麾下(휘하)
麾:대장기 휘.
휘는 옛날 군대에서 대장이 가진 깃발이다. 이것으로 군사를 지휘했기 때문에 대장에 직속된 사람을 휘하라고 한 것이다.
♣ 輝煌燦爛(휘황찬란)
①광채(光彩)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임 ②행동(行動)이 온당(穩當)하지 못하고 못된 꾀가 많아서 야단스럽기만 하고 믿을 수 없음.
♣ 鵂鶹計數(휴류계수)
鵂:수리부엉이 휴, 鶹:올빼미 류, 計:셈할 계, 數:셀 수.
부엉이 셈치기.
♣ 攜手(휴수)
손을 마주 잡는다는 뜻으로, 함께 감을 이르는 말. 데리고 감.
♣ 携手同歸(휴수동귀)
携:틀 휴, 手:손 수, 同:한가지 동, 歸:돌아올 귀.
서로 행동을 같이 함.
♣ 虧盈而益謙(휴영이익겸)
천도(天道)는 넉넉한 사람에게서는 덜고 겸손한 사람에게는 이익을 줌. -역경-
♣ 休戚相關(휴척상관)
休:쉴 휴, 戚:겨레 척, 相:서로 상, 關:빗장 관.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다. 생사고락을 같이 한다는 뜻이다. -국어 주어-
♣ 鷸蚌之爭(휼방지쟁)=휼방상쟁(鷸蚌相爭)=어부지리
鷸:도요새 휼, 蚌:조가비,방합 방. 爭:다툴 쟁.
황새(도요새)와 조개(조가비)가 서로 싸우다가 어부에게 잡힘을 뜻함이니,
서로 이(利)를 다투지만 결국 다른 사람이 이를 보게됨을 비유하는 말.
-전국책 연책-
♣ 譎而不正(휼이부정)
譎:속일 휼,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부, 正:바를 정.
하는 일이 올바르지 못함. -논어-
♣ 凶惡無道(흉악무도)
성질(性質)이 거칠고 사나우며 도의심(道義心)이 없음.
♣ 胸有成竹(흉유성죽)
胸:가슴 흉,
가슴 속에 대나무가 이루어져 있다는 뜻으로, 어떤 문제에 봉착했을 때 마음 속에 성숙된 주장이나 해결 방법이 진작 있음을 일컫는 말.
대나무를 그리려면 먼저 마음속에 하나의 성죽(成竹)을 두고 뿌리에서 부터 지엽(枝葉)에 이르기까지 구상한 다음에 붓을 드는 것을 이름. -소식(蘇軾)의 부(賦)-
♣ 凶終隙末(흉종극말)
우정(友情)을 끝까지 잘 지켜 나가지 못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胸中無墨(흉중무묵)
胸:가슴 흉, 中:가운데 중, 無:없을 무, 墨:먹 묵.
배우지 못한 사람. -오씨임하우담(吳氏林下偶譚)-
♣ 胸中生塵(흉중생진)
胸:가슴 흉, 中:가운데 중, 生:날 생, 塵:티끌 진.
가슴에 먼지가 생긴다는 뜻으로, 사람을 잊지않고 생각은 오래 하면서 만나지 못함.
-노동(盧同)-
♣ 胸中有成竹(흉중유성죽)
대나무를 그리려면 마음속에 이미 완성(完成)된 대나무가 있다는 뜻으로, 일을 처리(處理)함에 있어서 마음속에 이미 성산(成算)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胸中麟甲(흉중인갑)
胸:가슴 흉, 中:가운데 중, 麟:기린 인, 甲:갑옷 갑.
남과 다툴 마음을 품음을 이름, 안갑은 갑주(甲胄). -삼국촉지-
♣ 胸中正眸子瞭(흉중정모자료)
마음에 부정(不正)이 없으면 눈동자가 청명(淸明)하다는 말. -맹자-
♣ 凶蟲反凶(흉충반흉)
가뜩이나 보기 싫은 것이 더 미운 짓을 하고 못되게 굴 때 이르는 말.
♣ 黑狗逐彘(흑구축체)
黑:검을 흑, 狗:개 구, 逐:쫓을 축, 彘:돼지 체,
검정 개 돼지 편이라는 뜻.
♣ 黑頭宰相(흑두재상)
머리가 검은 재상(宰相)이라는 뜻으로, 젊은 재상(宰相)을 이르는 말.
♣ 黑猫白猫(흑묘백묘)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뜻으로, 1970년대 말(末)부터 덩샤오핑(鄧小平)이 취(取)한 중국(中國)의 경제(經濟) 정책(政策).
♣ 黑白論理(흑백논리)
모든 문제(問題)를 흑이 아니면 백, 선이 아니면 악이라는 방식(方式)의 두 가지로만 구분(區分)하려는 논리(論理). 두 가지 극단(極端) 이외(以外)의 것을 인정(認定)하려 하지 않는 편협(偏狹)한 사고(思考) 논리(論理)임.
♣ 黑白分明(흑백분명)
시비 선악이 분명한 것. -한서, 설선전-
♣ 黑白不分(흑백불분)
①검은 것과 흰 것이 뒤섞여 나눌 수 없음 ②옳고 그른 것이 분명(分明)하지 아니함.
♣ 黑白顚倒(흑백전도)
黑:검을 흑, 白:흰 백, 顚:이마 전, 倒:넘어질 도.
흑백이 뒤집혔다. -초원의 시구-
♣ 黑色宣傳(흑색선전)
터무니없이 또는 출처(出處)를 밝히지 않고 비밀리(秘密裡)에 하는 선전(宣傳).
♣ 黑牛生白犢(흑우생백독)
黑:검을 흑, 犢:송아지 독.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는다 함이니 길(吉)한 것도 반드시 길한 것이 아니고 흉(凶)한 것도 반드시 흉한 것만이 아님을 이르는 말. -열자. 설부-
♣ 黑衣宰相(흑의재상)
黑:검을 흑, 衣:옷 의, 宰:재상 재, 相:서로 상.
승려의 신분으로 천하의 정치에 참여하는 사람의 비유, 흑의는 승려의 복장에서 그
신분을 나타낸다. -자치통감-
♣ 黑冊公事(흑책공사)
벼슬아치들이 정목을 제 멋대로 고치고 지우고 하여 협잡(挾雜)을 일삼던 일의 일컬음. 고려(高麗) 충숙왕(忠肅王) 때 정방정치(政治) 과정(過程)에서 나온 말.
♣ 黑風白雨(흑풍백우)
黑:검을 흙, 風:바람 풍, 白:흰 백, 雨:비 우.
흑풍이 몹시 부는 가운데 쏟아지는 소낙비.
흑풍:리하의 호가에서,
풍우:소식의 유월이십칠일 망호루취서 5수중 제1수에서 따옴.
♣ 欣求淨土(흔구정토)
欣:기쁠 흔, 求:구할 구, 淨:깨끗할 정, 土:흙 토.
극락(極樂) 정토(淨土)에 다시 태어나기를 간절(懇切)히 원(願)함.
♣ 釁端(흔단)
흔(釁)은 틈, 곧 불화(不和)의 뜻으로, 서로 사이가 벌어지는 시초(始初)나 단서(端緖). 불화(不和)의 단서(端緖). 싸움의 시초(始初).
♣ 掀動一世(흔동일세)
그 명성(名聲)이 널리 세상(世上)에 알려짐.
♣ 欣奏累遣(흔주누견)
기쁨은 아뢰고 더러움은 보냄.
♣ 掀天動地(흔천동지)
하늘을 치켜들고 땅을 움직인다는 뜻으로, ①큰 소리로 온 세상(世上)을 뒤흔듦 ②천지(天地)를 뒤흔들 만하게 큰 세력(勢力)을 떨침을 이르는 말.
♣ 欣喜雀躍(흔희작약)
欣:기쁠 흔, 喜:기쁠 희, 雀:참새 작, 躍:뛸 약.
참새가 깡충깡충 뛰듯이 덩실거리며 대단히 기뻐하는 것, 흔은 즐거워 하다, 기뻐하다의 뜻, 광희난무(狂喜亂舞)와 같은 뜻이지만 이렇게 표현하는 편이 품위가 있다.
♣ 欣欣樂樂(흔흔낙락)
欣:기쁠 흔, 樂:즐거울 낙(락)
매우 기뻐하며 즐거워함.
♣ 欣欣向榮(흔흔향영)
초목이 뭇성하게 자란다는 뜻으로,
사업이나 일이 날로 발전하고 융성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도연명의 시 귀거래사-
♣ 欽崇之禮(흠숭지례) = 欽崇(흠숭)
천주(天主)에게만 드리는 흠모와 공경(恭敬).
♣ 欽恤之典(흠휼지전)
죄수(罪囚)를 신중(愼重)히 심의(審議)하라는 뜻의 은전.
♣ 興高采烈(흥고채열)
興:일어날 흥, 高:높을 고, 采:캘 채, 烈:세찰 열.
기뻐서 어쩔 줄 모르다. 신바람나다. -유협 문심조룡-
♣ 興國强兵(흥국강병)
나라를 일으키고 군사(軍士)를 강(强)하게 함.
♣ 興亡盛衰(흥망성쇠)
興:일어날 흥, 亡:망할 망, 盛:성할 성, 衰:쇠할 쇠.
흥하고 망하고 성하고 쇠함.
♣ 興亡治亂(흥망치란)
興:일어날 흥, 亡:망할 망, 治:다스릴 치, 亂:어지러울 란.
나라가 흥하고 망하는 것과 잘 다스리는 세상과 어지러운 세상.
♣ 興味索然(흥미삭연)
흥미(興味)를 잃어 가는 모양(模樣)을 이르는 말.
♣ 興味津津(흥미진진)
흥미(興味)가 넘칠 만큼 많다는 뜻.
♣ 興訛做訕(흥와주산)
있는 말, 없는 말을 보태어 함부로 남을 비방(誹謗)함.
♣ 興一利不若除一害(흥일리불약제일해)
興:일어날 흥, 利:이로울 리, 不:아닐 불, 若:같을 약, 害:해칠 해.
하나의 이익을 일으키는 것이 하나의 폐단을 없애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말.
-원사야율초재전-
♣ 興盡悲來(흥진비래)
즐거운 일이 지나가면 슬픈 일이 닥쳐 온다는 뜻으로 세상이 돌고 돌아
순환됨을 이르는 말.
♣ 喜懼之心(희구지심)
한편으로는 기버면서 한편으로는 두려운 마음.
♣ 喜怒(희노)는 在心(재심)하고 言出於口(언출어구)하나니
不可不愼(불가불신)이니라.
기뻐하고 노여워하는 것은 마음속에 있고 말은 입밖으로 나가는 것이니
삼가하지 아니할 수 없느니라. -명심보감. 정기편-
♣ 稀代未聞(희대미문)
稀:드물 희, 代:대신할 대, 未:아닐 미, 聞:들을 문.
썩 드물어 좀처럼 듣지 못함.
♣ 喜動顔色(희동안색)
喜:기블 희, 動:움직일 동, 顔:얼굴 안, 色:빛 색.
기쁜 빛이 얼굴에 드러남.
♣ 喜怒哀樂(희로애락)
기쁨과 노여움, 슬픔과 즐거움이라는 뜻,
곧 사람의 여러 가지 감정을 이르는 말. -중용-
♣ 喜悲哀樂(희비애락)
喜:기쁠 희, 悲:슬플 비, 哀:슬플 애, 樂:즐거울 락.
기쁨과 슬픔과 애처로움과 즐거움.
♣ 喜無量心(희무량심)
사무량심(四無量心)의 하나.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苦痛)을 여의고 기쁨을 느끼게 하려는 마음.
♣ 喜不自勝(희부자승)
매우 기뻐서 어찌할 바를 모름.
♣ 喜悲哀歡(희비애환)
기쁨과 슬픔과 애처로움과 즐거움.
♣ 喜色滿面(희색만면)
기쁜 빛이 얼굴에 가득함.
♣ 犧牲(희생)
犧:희생 희, 牲:희생 생.
원래는 천지나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제물로 쓰는 살아 있는 소를 일컫는 말이었다.
색이 순수한 것을 희라고 하며 길함을 얻지 못해 죽이는 것을 생이라고 하였다.
오늘날에는 다소 뜻이 바뀌어 남을 위해 자신의 목숨이나 재물 또는 권리를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주례 지관목인-
♣ 稀世之才(희세지재)
稀:드물 희, 世:대 세, 之:갈 지, 才:재주 재.
세상에 드문 재주.
♣ 喜壽(희수)
희(喜)자를 칠로도 썼기 때문에 희수(喜壽)는 七 + 七세 즉, 77세를 일컬음.
♣ 喜出望外(희출망외)
喜:기쁠 희, 出:날 출, 望:바랄 망, 外:바깥 외.
기대(期待)하지 않았던 기쁜 일이 생김.
♣ 羲皇上人(희황상인)
羲:숨 희, 皇:임금 황, 上:위 상, 人:사람 인.
복희씨(伏羲씨) 이전 태고(太古)때의 사람이란 뜻으로 세상일을 잊고 안일(安逸)하게 지내는 사람을 이름. -진서-
♣ 羲皇世界(희황세계)
'아득한 옛적의, 백성(百姓)이 평안하고 한가한 세상(世上)' 이라는 뜻.
♣ 曦暉朗耀(희휘낭요)
태양빛(太陽-)과 달빛은 온 세상(世上)을 비추어 만물(萬物)에 혜택(惠澤)을 주고 있음.
♣ 喜喜樂樂(희희낙락)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 熙熙皥皥(희희호호)
熙:빛날 희, 皥:밝을 호.
백성의 생활이 몹시 즐겁고 화평함.
자료출처-http://cafe.daum.net/pal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