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지식을 찾아서 - 청화스님 법문 - “염불은 법의 실상, 생명의 실상, 우주 생명의 실상 관찰하는 것”
제주불교신문 승인 2023.01.11 12:06 댓글
글씨키우기
부처님의 청정무비한 무량공덕이
산에 들어가 있으면 산신인 것이고
물에 들어가 있으면 용왕(龍王)인 것이고
지구에 들어있으면 지장보살이요
또 별에 들어 있으면 치성광여래
염불이라 할 때의 염(念)이란, 사람 사람마다 마음에 나타나는 생각을 염이라 하고 불(佛)은 사람 사람마다 갖추고 있는 깨달은 근본 성품을 말합니다. 염불 공부란 우리 눈앞에 좋다 나쁘다 시비분별하는 여러 가지 생각이 우리 본각(本覺)의 참 성품을 각오(覺悟)하는 것이요 이것이 곧 참다운 염불인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부처와 내가 본래 하나임을 재확인하는 공부입니다. 생각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이고 부처도 우리가 본래 가지고 있는 본각진성(本覺眞性)인데 생각 생각에 부처를 여의지 않고서 염(念)하는 것이 참다운 상근인(上根人)의 염불인 것입니다.
이러한 염불은 부처와 더불어서 둘이 아니고, 부처를 떠나지 않는 것입니다. 부처와 둘이 아니기 때문에 부처를 떠날 수가 없겠지요. 그러나 우리 중생들은 업장 때문에 자꾸만 떠나버리니까 우리가 떠나지 않기 위해서, 내가 부처임을 재확인하기 위해서 염불을 하는 것입니다. 또는 미운 사람이나 고운 사람이나 다 부처란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염불하는 것입니다. 미운 사람도 부처요 좋아하는 사람도 부처라고 깨달으면 미워도 미운 사람에 집착하지 않고 좋아도 좋아하는 사람에 걸리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자기한테나 남한테나 이런 도리를 역설하고 가르쳐야 하는 것입니다.
염불(念佛)하는 방법은 칭명염불(稱名念佛), 관상염불(觀像念佛), 관상염불(觀想念佛), 실상염불(實相念佛)이 있는데, 불(佛)의 법신(法身)이 비유비공(非有非空)한 중도실상(中道實相)의 묘심(妙心)임을 관조(觀照)하는 것입니다.
염불에도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보통 염불이라고 하면 부처의 이름, 명호를 외우는 칭명염불(稱名念佛)이 있고 또는 부처의 상호 곧 32상(三十二相) 80종호(八十種好)를 갖춘 원만덕상을 관찰하는 관상염불(觀像念佛)이 있습니다. 우리는 좋은 그림을 보면 기분이 좋듯이 부처님의 상호만 보아도 우리 마음에 우러러 숭앙이 되고 한결 안심이 되고 아늑한 평온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또 관상염불(觀想念佛)이 있습니다. 음은 똑같습니다만 앞의 것은 상(像)을 관찰하는 것이고 뒤의 것은 상상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자비공덕(慈悲功德)이라든가 훤히 빛나는 지혜광명(智慧光明) 등 부처님의 공덕을 상상하는 염불입니다.
그 다음은 실상염불(實相念佛)입니다. 이것은 현상적인 가유(假有)나 허무에 집착하는 무(無)를 다 떠나서 중도실상(中道實相)의 진여불성(眞如佛性)의 자리 이른바 법신(法身) 자리를 생각하는 염불인 것입니다. 따라서 진여 불성자리를 생각하는 실상염불이 참다운 본질적인 염불입니다. 이른바 법의 실상, 내 인간 생명의 실상, 우주 생명의 실상, 이것을 우리가 관찰하는 것입니다. 관찰은 분명히 뚫어지게 안 보이니까 볼 수는 없겠지요. 그래서 생각만 해도 관(觀)이라는 뜻이 다 포함되는 것입니다. 부처의 법신(法身)은 있지도 않고 또는 공(空)하지도 않은 중도 실상의 생명의 광명을 관조하는 염불이 곧 실상염불입니다.
부처님 법은 무장무애(無障無碍)하고 평등일미(平等一味)이기 때문입니다. 부처라는 평등일미 자리에는 높고 낮은 우열이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어느 명호(名號)나 다 좋은 것입니다.
많은 부처와 보살 명호는 이른바 생신(生身) 보살이 아니라 법신(法身)보살 명호로, 모두가 다 부처 공덕을 상징한 것입니다. 무장무애한 무량공덕을 자비로운 쪽으로는 관세음(觀世音)보살이고 지혜로운 쪽으로는 문수(文殊)보살, 대세지(大勢至)보살이고 또는 원력(願力)쪽으로는 보현(普賢)보살이고 또는 죽어서 가는 영가를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쪽에서는 지장(地藏)보살, 인로왕(引路王)보살이고 또는 병고를 다스리고 구제하는 쪽에서는 약사여래(藥師如來), 약왕(藥王)보살입니다. 또는 법신 부처님이 하늘에 있는 달이나 별이나 그런 광명체로 화현(化現)하는 쪽에서는 이른바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요, 일광(日光)보살, 월광(月光)보살이고 또 북두칠성 등 28수(宿) 그런 쪽에서 본다고 생각할 때는 칠성(七星)입니다. 예경할 때에 보십시오. 산신(山神)을 외울 때도 처음에 만덕고승(萬德高僧) 성개한적(性皆閑寂)이라는 말을 합니다. 역시 부처님 가르침 따라 성중(聖衆)을 먼저 내놓고서 나중에 산신이 나와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청정무비한 무량공덕이 산에 들어가 있으면 산신인 것이고 물에 들어가 있으면 용왕(龍王)인 것이고 우리 지구에 들어있으면 지장보살이요 또 별에 들어 있으면 치성광여래인 것입니다. 그렇게 생각해야 올바른 해석이 되겠지요. 따라서 어떠한 때에 중생의 근기 따라서 산신 불공을 하더라도 우리 중생이 볼 때 산인 것이지 바로 본다면 부처님 화신(化身)인 것입니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 할 때도 산은 그냥 산이 아니요, 물도 그냥 마시는 물로만 볼 것이 아니라 바로 불성(佛性)의 산으로, 불성의 물로 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 뜻으로 해서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란 말이 나왔습니다. 경을 보면 다 그런 도리인 것입니다.
따라서 그와 같이 본다면 지장보살을 부르나 또는 무엇을 외우나 간에 '부처님의 화신으로, 부처님의 공덕으로 우리 중생을 다스리는, 자비로 구제하는 공덕 명호이구나' 이렇게 생각하며 우리 마음이 부처님한테 이르러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한다면 지장보살이나 무엇을 염해도 공부에 조금도 손해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본사 아미타불이라, 모두를 포괄적으로 법·보ㆍ화(法報化) 삼신(三身)을 말할 때는 아미타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사 아미타불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보통 염불할 때는 아미타불을 많이 하는 셈입니다만 어떤 명호를 부른다 하더라도 아미타불을 하는 것이나 다 똑같은 공덕이라고 생각해야 하는 것입니다.
염불삼매(念佛三昧)는 일념( 一念)으로 불(佛)의 상호(相好)를 관(觀)하거나 또는 일심(一心)으로 법신(法身)의 실상(實相)을 관(觀)하거나 혹은 일심(一心)으로 불명(佛名)을 칭(稱)하는 행법(行法)을 인행(因行)의 염불삼매(念佛三昧)라 한다. 인행(因行)의 염불삼매(念佛三昧)가 성숙(成熱)되면 마음이 선정(禪定)에 들어가고 혹은 시방불(十方佛)이 현전(現前)하며 혹은 법신(法身)의 실상(實相)에 계합(契合)되는데 이를 과성(果成)의 염불삼매(念佛三昧)라 합니다.
이제 염불삼매(念佛三昧)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염불삼매에는 인(因)과(果)의 두 경계가 있습니다. 일심으로 부처님의 상호를 관하는 관상(觀像)염불을 하거나 또는 일심으로 법신의 실상을 관하는 실상염불(實相念佛)을 하거나 혹은 일심으로 부처의 명호를 외우는 행법을 인행(因行)의 염불삼매라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불명(佛名)을 외운다 하더라도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꼭 법신자리를 믿어야 참다운 염불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이른바 닦아갈 때 염불인 것입니다.
또 우리가 견성하기 전에, 인행의 염불삼매가 성숙되면 마음이 선정에 들어가서 혹은 시방불(十方佛)이 현전(現前)하며 혹은 법신의 실상 이른바 진여불성에 계합되는데 이것을 과성(果成)의 염불삼매라 합니다. 따라서 염불로도 견성(見性)하고 천수경으로도 견성하고 마음에서 업장만 녹아지면 다 견성합니다.
/정리 임관표 기자
저작권자 © 제주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주불교신문
제주불교신문
다른기사 보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밴드
URL복사
기사공유하기
댓글 0
댓글입력
인기기사
1
포교사단 제주지역단, 총무원장상 및 주요 표창 수상
...
2024-09-03
2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사단, 제20회 팔재계수계 정기연수 및 제29회 신규 포교사 수계 대법회 성료
3 “쪽빛 물처럼 우리 마음에도 푸른 물이 들었어요”
4 “우릴 미워했던 사람들도 누군가의 꽃이었을 거야”
5 절물 약수암 제7회 산사음악회, 다양한 부대행사 펼쳐
최신뉴스
종합“21살에 스러져간 푸른 넋의 원통함을 달래야 할 것”
종합‘관음사 암자에서 또 다른 여승 희생 증언나왔다’
종합“거지들의 벗, 청빈으로 살다 가신 참 수행자”
종합‘동행.매력 2024 태고종 영산재’ 성료
종합약천사, 9월부터 선명상 프로그램 상시 운영
로그인 회원가입 신문사소개 PC버전
Copyright ©제주불교신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