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속 자신을 보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이 바라보는 나의 모습, 혹은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기대한다고 생각되는
그 모습을 내 모습의 일부분으로 흡수하여 자아상을 형성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다른 사람이 나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인정해 주면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지만,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고 느껴지면 내 자아상도 부정적이 된다.
한마디로 타인의 의견에 반응하면서 ‘사회적 자아’가 형성된다는 개념이다.
미국의 사회학자 찰스 쿨리 (Charles H. Cooley)가 제시한 개념, 자아는 처음부터 사회적이다
자아는 개인적이었다가 나중에 사회적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타인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성장
하는 것이다. 이때, 타인의 평가는 거울과 같다.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바라볼지 그려 보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외모, 태도, 행위, 성격 등을 파악하게 된다.
찰스 쿨리
이러한 거울 자아는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다른 사람의 눈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이
다.
두 번째는 자신의 모습에 대해 다른 사람이 어떤 판단을 내릴 것인지에 대한 상상이다.
세 번째는 타인의 평가
에 수치심이나 굴욕감을 느끼는 자기감정인데, 이러한 느낌을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를 지각할 수 있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조지 미드(George H. Mead)의 자아 이론(Self theory)
조지 미드는 개인의 자아를 형성하는 데 ‘역할’에 대한 모방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아동의 자아발달 과
정을 크게 3단계로 설명했다.
조지 미드
1
1단계 역할준비 단계 : 자신이 하는 행동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어른들의 행동을 모방한다.
예를 들어, 담배를 피운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모른 채 연필을 입에 물고 연기를 뿜는 입모양을 흉내 내기도
한다.
2
2단계 역할놀이 단계 : 놀이를 통해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한다.
아이들은 타인의 역할을 하면서 행동을
모방하고 학습하게 된다.
소꿉놀이를 하면서 엄마와 아기의 역할을 동시에 해보기도 하고, 의사나 환자의 역할을 흉내 내면서 점차 사
회적 존재로 발달한다.
3
3단계 역할게임 단계 : 단순한 역할놀이 수준을 넘어서 복잡한 역할게임으로 발전한다.
자기 팀의 역할을 이
해하고 잘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대 팀의 능력까지 염두에 두고 어떻게 행동할까 고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스스로를 점차 독자적인 행위자로 인정하게 되는데, 이를 사회적 자아 혹은 일
반화된 타인(generalized other)이라고 한다.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바라보듯이 스스로를 관찰할 수 있게 되
어 자아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게 된다.
거울 자아 이론의 사례
SNS(Social Network Services)의 자신의 글에 대해 방문한 사람들이 올린 댓글이나 피드백을 보고 점점 그들의
기대에 부합하려는 방향으로 행동하게 된다.
때문에 피드백이 다양해짐에 따라 원래 자신이 올리려고 했던 글의 방향과 달리 글을 올리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정체성이 혼란스러워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는 타인의 기대가 나의 자아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첫댓글 사람은 본디,
거울 속 자신을 보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이 바라보는 나의 모습,
혹은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기대한다고 생각되는 그 모습을
내 모습의 일부분으로 흡수하여 자아상을 형성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