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민 교수님 인터넷 강의로 재배학을 공부하고있는 학생입니다. 인강 듣던 중에 이해가 되지 않는 설명이 있어서 여쭤봐요ㅠㅠ 벼에서 소모도장효과가 크면 재배에 좋지 않지만, 그렇다고해서 소모도장효과가 적은 것이 재배에 좋은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하면서 그 이유로 소모도장효과가 적으면 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하셨습니다. 물공급이 충분해야 소모도장효과가 적을 수록 재배에 유리하다는데 물과 소모도장효과가 무슨 관계가 있나요?ㅠㅠㅜ
첫댓글소모도장효과가 적다는 뜻은 바꿔 말해서 호흡소모량 보다 광합성량이 많다는 뜻이 아닌가요? 쉽게 생각해보면 광합성에는 물을 필요로 하니깐 소모도장효과가 적으면 광합성으로 인해 물이 부족해진다는 뜻이고, 물만 충분히 공급된다면 광합성이 지속되어 재배에 유리하다는 뜻이 아닐까요? 저의 추측입니다만..^^
첫댓글 소모도장효과가 적다는 뜻은 바꿔 말해서 호흡소모량 보다 광합성량이 많다는 뜻이 아닌가요? 쉽게 생각해보면 광합성에는 물을 필요로 하니깐 소모도장효과가 적으면 광합성으로 인해 물이 부족해진다는 뜻이고, 물만 충분히 공급된다면 광합성이 지속되어 재배에 유리하다는 뜻이 아닐까요? 저의 추측입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