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예의 기원:
전쟁 포로, 영아 유기, 자식 매각의 관습등 .
4세기 이래 구매 노예들 증가.
Poetelia Papiria법(326BC)에서 부채 노예제 폐지.
Manlia법: 주인이 노예 해방시 노예가치의 5%에 해당하는 노예 해방세 납부.
*그리스 아테네에서는 해방되는 노예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단지 예외적으로만
피해방민에게 시민권이 주어졌다. 로마의 경우 노예 해방은 더욱 빈번. 또한 노예 해방자에게
시민권이 주어졌음.
2. 노예 공급
A. 노예시장 형성: 헬레니즘 동부. 델로스 섬에서는 하루 일만명의 노예가 이탈리아로 매각되었는
기록이있다. 비용이 많이 드는 양육노예보다는 구매 노예에 의존했다.
" 노예 보충은 노예를 계속 구매하는 데 의존한다. 고대의 노예제 경영은 근대의 석탄 용광로가
석탄을 소바하듯 노예를 소모시킨다." M. Weber
B. 노예의 가격
Petronius페트로니우스에 의하면 재치있는 유태인 한 소년의 가격 300 데나리우스.
Horatius는 저질의 보통 노예의 값은 500드라크마라고 기술
* 450 드라크마= 600 데나리우스
Martialis에 의하면 창녀 600데나리우스. 희랍어 교육 받은 미소년 2000 데나리우스.
따라서 제정 초기 미숙련 성인의 보통가격은 대체로 500-600 데나리우스. 참고로 로마병사의
1년 양식비는 60 데나리우스 정도.
3. 노예의 상태
농장 노예, 가내 노예, 검투사, 광산 노예, 상업 및 수공업자 노예 등
가족이 없고, 재산도 없고 (Cf. peculium), 종교도 겨우 인정. 신분은 세습.
노예의 해방은 vindicta, 호구 조사, 유언 등에 의하여 이루어짐.
법적 견지에서 노예는 물건 혹은 동물. "시민법에 관해서는 노예는 무인격으로 간주된다." -
Ulpianus.
"노예는 아무런 인격도 소유하지 않는다." Instilutes, I, 16.4.
Cf. 플라톤, "노예는 말하는 도구". 아리스토텔레스, "노예는 생명있는(혹은 혼을 가진)
재산이다"
4. 노예들의 처지 개선
(기원 후 2세기 가이우스의 {제도집}에서)
I,52. (옛날에는) 이처럼 노예들은 자기 주인의 권위 아래 있었다. 이 권위는 사실상 만민법에
속하는 것이었다. ... 주인들은 노예들에 대해서 생살 여탈권을 보유했다. 그리고 노예의 것은
모두 주인의 것이었다.
I,53. 그러나 오늘날에는 로마 시민이건 아니면 로마 제국 영내의 그 어느 곳에 사는 사람이건
자기 노예들을 과도하게 또는 아무런 이유없이 학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주인의 지나친
엄격함조차도 이 군주(Antonius Pius)의 법에 의하여 처벌된다. ... 황제의 이러한 조치는 두가지
이유에서 일리가 있는 것이다. 첫째 우리의 권리를 오용해서는 안괴기 때문이다. 둘째,
낭비자에게는 자기 재산 관리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 순수 인도적 차원이라기보다, 노예주 계급의 전반적 이익의 점을 들어 정당화했다는 점이
특징적임. 노예제도는 계속 옹호되고, 계서적 사회구조는 강화. "평등보다 더 불평등한 것은
없다"
소 플리니우스, [서한집], IX,5.
5. 노예의 종류
A. 농장 노예
ㄱ. 대토지 (Latifundia) 의 형성
* 대토지 라티푼디아가 오래전에 이탈리아를 파멸시켰다. Plinius, 18.35.
㉠ 기원: a. 유력자들이 공유지 대규모 점유하고 빈민들의 토지 강압적으로 매입(Appianus)
b. 부자들이 빈자보다 더 높은 임대료 제시하여 공유지 점유(Plutarchos)
㉡ 운영: 흔히 Vilicus라는 감독노예가 농장 노예 통제.
ㄴ.초기 노예의 상태: 고된 작업의 연속. 가혹하고 비인간적인 대우. 기원전 2세기 전반 " 늙은
황소와 출산력이 없는 양 , 낡은 수레, 낡은 농기구, 늙은 노예, 병든 노예 등은 판매하라"
Cato의 충고.
ㄷ. 노예 반란
㉠ 시칠리 노예반란 (BC 134-10) (BC 104-100)
㉡ 스파르타쿠스의 난(BC73-71)
ㄹ. 노예 반란 이후 당근과 채찍 정책 병행.
노예에 낙인 혹은 목걸이 착용시킨다든지 지하 감독 운영.
동시에 노예 처우 개선. Varo는 감독 노예에게 보상이나 특유 재산(peculium) 허용할 것이
없으며, 일반 노예들도 채찍보다 회유책 쓸 것을 조언하고 있음. Columela, "신중한 농장
노예주는 스스로 노예들의 빵맛을 보고 음료를 마셔보고... "
B. 가내 노예: 청소, 요리, 시중, 정원 관리, 회계, 서기, 유모, 가정 교사 등. 가장 좋은 대우. 운이 좋으면
양자로 입양됨.
C. 검투사 : 가혹하였으나 운이 좋으면 인기 최고. 또한 자유인이 될 수도 있었음.
D. 광산 노예 : 가장 가혹한 대우. 처벌 노예들이 많았음. 죽기를 선호하였다는 Diodoros의 증언.
E. 기타 : 수공업자 노예, 상업 노예 등.



로마에서 노예의 역할과 수
"부유한 사람들은 노예를 사들여 노동자로 사용하였다. 자유인은 군대에 불려나갈 염려가 있기
때문이었다. 노예는 병역도 면제되고 자식을 낳을 수 있었기 때문에 노예 소유자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 리비우스 <로마사>
로마인의 생활에서 노예는 꼭 필요한 존재였다. 노예는 가정에서 온갖 가사 노동을 담당하였고 악사, 심지어 아동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역할까지 맡았다. 또한, 농사와 목축, 광업 등 주요 생산부문에도
많은 노예가 사용되었다. 특히, 공화정 말기의 대농장 라티푼디움에서는 많은 노예를 이용하여 포도,
올리브, 밀 등을 생산하였다.
라티푼디움과 광산에서 일하는 노예들은 가사노동에 종사하는 노예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혹독한 대우를 받았다. 채찍질을 당하는 것은 물론이고 도망치는 것을 막기 위해 쇠사슬로 묶은 채
일을 시키기도 하였다.
로마 인들은 도구를 세 가지로 분류하여 원래의 도구는 말 못하는 도구, 가축은 반만 말하는 도구,
노예는 말하는 도구라고 하였다.
노예의 수에 대해서는 연구자가 연구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다. 그러나 대체로 기원전 220년
경에 30~60만 명의 노예가 있었던 것으로 보며,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15%정도였다.
브룬트는 기원전 43~42년경이 되면 전체 인구 750만 명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40% 정도로 늘었다고 밝혔다. 그 이유는 전쟁 포로의 증가, 양육 노예의 증가, 노예 무역의 융성
등이라고 보았다. 노예 무역은 주로 동지중해나 델로스 섬의 노예 시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이곳에서
하루에 일만 명의 노예가 이탈리아로 팔려갔다는 기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