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성대 님이 학창 시절을 회상했다. 돈이 없어 학교를 중퇴했던 어려웠던 시절을. 이에 더 나아가 사이버카페생활에서도 돈이 없으면 뒤쳐진다는 글을 이었다. 맞는 말이다. 그런데 카페생활뿐이랴. 돈은 삶의 윤활유인 것을.. 그런데 그게 얼마나 있어야 만족할까?
연휴를 맞아 영화 한 편 보았다. 아키 감독의 <사랑은 낙엽을 타고>
안사와 할로파 두 남녀의 사랑 이야기인데 시대적 장소적 배경은 우크라이나 전쟁이다. 인적자원도, 물자도, 여가시설도 모두 궁핍한 환경... 그래도 살아가야 한다. 사랑도 해야 하고..
안사는 식료품매장에서 일을 하는 여성이다. 상품을 정리하던 중 빵 하나를 주머니에 집어넣는데 유효기간이 지난 거다. 어차피 버릴 것, 집에 가져가서 먹으려는 심사일 거다.
이걸 감시하는 직원도 있다. 안사는 그 감시망에 걸리고 마는데 그래서 이 직장 저 직장을 찾아 떠도는 외로운 여자다. 라디오를 켜면 우크라 전쟁으로 몇 명이 사망했다는 뉴스가 나온다. 그러나 다이얼을 다른 곳으로 돌리면 슈베르트의 세레나데도 나온다. 삶이란 골라서 선택하면 된다는 은유인 셈이다.
홀라파는 건설현장에서 일을 하는 남성이다. 친구와 노래방에도 가보지만 돈이 없어 노래도 못 부른다. 하지만 술병을 안주머니에 숨기고 수시로 마시는 알콜중독자다. 사람은 그렇게 남다른 즐거움은 있는 법이다.
두 사람은 사랑도 해야겠지. 어쩌다 만나 연정이 싹트는데 안사가 홀라파에게 전화번호를 적어 쥐어주지만 홀라파는 그걸 챙긴다는 게 바람에 날아가버린다. 인연은 안개같이 나타났다가 바람같이 사라진다는 은유인 셈이다.
얼마 뒤에 안사는 홀라파의 친구로부터 홀라파의 소식을 듣는다. 차에 치어 혼수상태가 되어 병원에 입원 중이라고...
낙엽이 우수수 바람에 날리는 화면이 뜬다. 그들의 사랑은 낙엽을 타고 가는 것이던가~~~? 종말은 아껴둔다.ㅎ
나는 이 영화로부터 많은 위안을 받고 나왔다. 비록 경제적으로 신체적으로 풍족하진 않지만 우크라이나와 같은 상황은 아닌 고로.
첫댓글 괜찮은 영화 같은데요
자세한 줄거리 결말 은유까지 포함된 스포일러가 한편 영화를 본듯 합니다
선택할수 있는 삶
바람같이 사라지는 인연 ~ 그럴것도 같습니다
한 편의 짧은 수필같은 영화데요.
좋은 영화를 보셨군요.
저는 제목을 보고
대중가요인줄 알았습니다.ㅋ
라떼는
거의 다 가난했고
어려운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그것이 가난인지조차 모르고
그저 행복한 추억만 많이 쌓으며 살았습니다.
부자든 빈자든 상대적이어서
남과 비교하지 않으면
나름 만족하며 살만하기도 하지요.
열악한 전쟁통에서
삶은 고달퍼도 사랑의 감정선은 흐르고
그 사랑에서 삶에 대한 에너지와
희망도 얻을 것 같아요.
젊은 청춘들의 이야기지만
우리도 마음은 청춘이니 백배 공감할듯요.
석촌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네에 위안을 많이 주데요.
엇갈린 두 연인에 대한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사노라면, 사랑만 엇갈린 것이 아니고
엇갈리고도 모두 살아가고 있지요.
사랑은 빗물을 타고
사랑은 기차를 타고 했으면
이쁜 사랑으로 이루어질런지요.
무엇을 타던,
사랑을 한 사람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그런 가상적인 것에 위안을 받기도 하고...ㅎ
네에 예술이란게 모두 가상이지요.
나 태평성대의 글을 거론해 주셔서 고맙습니당
사랑은 낙엽을 타고 라는 영화?
가난하지만 사랑하는 남녀의 이야기 인거 같은데 해피엔드 이기를 바랍니당
충성 우하하하하하
ㅎㅎ
전쟁이 배경인 사랑 이야기를 하시니
'애수' 영화가 생각납니다.
비비안 리와 로버트 테일러,
워털루 다리까지...
우러 전쟁에 하루에도 수많은 젊은이들이
죽어가고 있는데...
독재자의 야욕에 희생되는 그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그런영화가 있었지요.
그영화는 영상미가 있었는데
이영화는 한없이 쓸쓸하데요.
전쟁이 펼쳐놓은 궁핍과 쓸쓸함.
그중에서도 구원은 결국 사랑이라는~
처음 들어보는 제목인데
볼만한 영화 같습니다.
사랑은 낙엽을 타고
제목이 약간 신파조?이나
원 제목이 그런지 궁금하네요.
올 한 해 더욱 건강하세요.
그게 원제가 Fallen Leaves, 낙엽입니다.
인연은 안개같이 나타났다가 바람처럼
사라진다는 은유라는 글이 넘 마음에
와닿습니다.
Fallen Leaves라는 영화 한번
보고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글 감사드리며
잘 읽었습니다.
네에 한 번 보세요.
사랑은 낙엽을 타고
사랑은 빗물을 타고
사랑은 또 눈발이 되고
그렇게 시작하고 끝나고...
어떤 상황에서도
사랑은 멈추지 않지요.
어쩜 극한상황에서
더 절실한 것 같습니다.
사랑이 절실하지않은
환경과 나이가 감사한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지금이 지극히 안정된 상황으로 읽혀지네요.
그렇다면 다행이겠네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에너지이고 인격도 높혀주는 수단이죠?
네에 그건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나
다 마찬가지일겁니다.
중국에서도 여유있는 사람들이 외국에 관광 가니까요.
@석촌 제가 원하는 것은 인간이 대접받는 사회입니다
@푸른비3 그래야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