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역사학자들이 검증한
성경 속 인물들, 누가 있을까?
고고학 역사학자들이 검증한
성경 속 인물들, 누가 있을까?
©Getty Images
과학적 연구를 통해 성경의 많은 내용이 사실로
확인되었지만, 성경 속 인물들은 어떨까?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실존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여러 고고학적 발견이
그들이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비문, 유물, 역사적 문서 등 다양한 자료들이
성경 속 인물들이 실제로 살았을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는데…. 여러 역사적,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발견된
증거와 그 신빙성을 직접 확인해 보자!
다윗 왕
©Getty Images
이스라엘에서 1993년에야 비로소 다윗 왕의
실존을 입증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텔 단 비문’이라
불리는 석재 조각에는 ‘다윗 왕조’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솔로몬 왕
©Getty Images
솔로몬 왕의 실존을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유물도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하솔, 므깃도, 게셀 등 고대 이스라엘 도시에서
그의 존재를 입증하는 흔적이 확인되었다.
2014년에는 공식적인 점토 인장 여섯 개가
발굴되었으며, 이는 성경에 등장하는 솔로몬 왕과
그의 아버지 다윗 왕이 실존했음을 시사한다.
히스기야 왕
©Getty Images
히스기야 왕의 실존을 증명하는 유물도 여러 차례 발견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1830년대에 발견된 '테일러 프리즘'에는
아시리아 왕 산헤립이 기원전 701년 예루살렘 공성전에서
패배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1880년에는
예루살렘 실로암 터널에서 그의 비문이 발견되었다.
폰티우스 필라투스
©Getty Images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히도록 명령한
로마 총독이 실존했다는 증거도 존재한다.
1961년, 고대 로마 시대 유대 도시였던
가이사리아 마리티마에서 ‘본디오 빌라도,
유대 총독이라는 라틴어 비문이 새겨진
‘빌라도 석판’이 발견되었다.
유대 왕 헤롯
©Getty Images
유대 왕 헤롯은 이스라엘 곳곳에 그의 유산을 남겼다.
1800년대, 베들레헴 근처의 헤로디움 요새에서
그의 무덤이 발견되었으며, 그는 예루살렘의 제2성전과
안토니아 요새 건축을 주도한 인물이기도 하다.
키루스 대왕
©Getty Images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창시자인 키루스 대왕이
실존했다는 증거도 남아 있다. 1879년, 고고학자들은
바빌론 유적에서 기원전 539년경 제작된 점토 원통을
발견했으며, 이 원통에는 키루스 왕과 그의 통치를
찬양하는 내용이 새겨져 있었다.
느부갓네살 2세
©Getty Images
바빌로니아 연대기는
기원전 590년경 제작된 점토판 시리즈로,
바빌로니아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 중에는 기원전 586년 느부갓네살 2세가
예루살렘을 함락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파라오 셰송크(시샥 1세)
©Public Domain
성경 열왕기상(1 Kings 14:25–26)에 등장하는
예루살렘을 공격한 이집트 파라오의 실존을
입증하는 증거 역시 존재한다.
이 내용은 이집트 카르낙 신전 내부
비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다 마카베오
©Public Domain
성경 속 유대 지도자였던 유다 마카베오의 실존도
고고학적으로 뒷받침된다. 유다 마카비가
기원전 166~160년 사이에 시리아 군대를 격파한
내용을 언급하는 동전과 도자기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가야파(가야바)
©Public Domain
예수의 재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대제사장
가야파의 실존을 입증하는 유물도 존재한다.
1990년, ‘요셉, 가야바의 아들’이라고 새겨진
석회암 뼈함(오수아리)이 발견되었다.
세르기우스 파울루스
©Getty Images
로마 키프로스 총독이었던 인물도
성경의 기록과 일치하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지중해 키프로스 섬의 파포스에서 발굴된
비문이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기록과 일치한다.
아합 왕
©Getty Images
1868년, 요르단에서 발견된 현무암 석판인 ‘메사 비문’은
성경 열왕기상에 기록된 모압 왕 메사의 승리에 대한
언급을 담고 있다. 또한, 사마리아에서 발굴된
상아 궁전 유적은 이스라엘 왕 아합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또 다른 증거다.
여호야킴 왕
©Public Domain
유다 왕의 실존을 입증하는 고고학적 발견도 있다.
바빌로니아 연대기 점토판뿐만 아니라,
여호야킴 왕의 이름이 새겨진 인장들이 그 증거다.
히람(두로 왕)
©Getty Images
페니키아 왕 히람 1세의 실존을 증명하는 증거는
1855년 레바논 시돈에서 발견되었다.
에쉬문아자르 2세의 석관에 새겨진 페니키아어
비문에는 ‘두로의 왕 히람’이 언급되어 있다
헤로데 안티파스(헤롯 안디바)
©Getty Images
갈릴리와 페레아 지역에서 발견된 동전에는
‘헤로데 안티파스’의 이름이 새겨져 있어,
그가 해당 지역의 통치자였음을 증명하고 있다.
요시야 왕
©Getty Images
기원전 7세기경 제작된 도장이
예루살렘 다윗성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이 도장에는 ‘나단멜렉’이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었으며,
이는 성경 열왕기하 23장 11절에 등장하는요시야 왕의
관리 중 한 명으로 언급된 사람을 찾을 수 있다.
시드기야 왕
©Public Domain
바빌로니아 연대기는 시드기야 왕이
느부갓네살의 군대에 맞서 예루살렘을
지키려 했던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바빌론의 시파르에서 발굴된
점토판에는 바빌론으로 끌려간 유배자들 가운데
시드기야 왕의 자녀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기록이 남아 있다.
산헤립
©Getty Images
아시리아 왕 산헤립의 실존을 입증하는
대표적인 유물은 ‘테일러 프리즘’이다.
이 초기 설형문자 유물에는 그가 기원전 701년에
예루살렘을 포위했던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아하즈 왕
©Getty Images
‘쿠르크 비문’에는 아하즈 왕이
아시리아 왕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조공을 바친 내용이 적혀 있다. 또한,
왕실 인장에서도 아하즈 왕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성경 열왕기하 16장과
역대하 28장에 기록된 내용과 일치한다.
느헤미야
©Getty Images
총독 느헤미야의 실존을 입증하는 증거는
‘엘레판티네 파피루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대 예루살렘의 거리 아래에서
고고학자들이 느헤미야가 재건한
성벽의 흔적을 발견하기도 했다.
베드로 (시므온 배드로)
©Getty Images
예수의 제자 베드로의 실존을 뒷받침하는 증거도 존재한다.
초기 기독교 문서뿐만 아니라,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 아래
무덤에서 발견된 1세기경 낙서에는 "베드로가 여기 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이는 그곳이
그의 안식처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야고보, 세베대의 아들
©Getty Images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서기 62년 예수의 형제 야고보가 처형당한 사건을 기록했다.
이는 기독교 외부의 역사 기록에서 야고보의 실존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다.
사도 요한
©Getty Images
사도 요한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2세기 신학자
이레네우스의 《이단 반박》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저스틴 마터의 《트리포와의 대화》에서도
"그리스도의 사도 요한"이 에베소에
살았다고 언급되어 있다.
사도 안드레
©Getty Images
역사가 유세비우스의 《교회사》에는
사도 안드레의 선교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그의 유해는 그리스 파트라스의
성 안드레아 대성당에 안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노페와 니케아에서 발견된 초기 기독교 상징물들도
안드레의 활동을 뒷받침하는 증거다.
사도 토마
©Getty Images
사도 토마는 인도에서 선교 활동을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무덤은 인도 첸나이의 산토메 대성당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십자가, 동전, 기타 고고학적 유물들이
그의 전설을 뒷받침한다.
사도 빌립
©Getty Images
예수의 제자 빌립은 아시아 소아시아
지역에서 복음을 전파했다.
터키 파묵칼레(고대 히에라폴리스)에서 발견된
‘성 필립 순교 성당’은 그가 순교한 장소로 추정된다.
사도 바르톨로메오
©Getty Images
사도 바르톨로메오의 유해는 아르메니아 바스푸라칸의
성 바르톨로메오 수도원에 안치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인도 콘칸 해안에서 발견된 기독교 상징물들은
그의 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도 마태
©Getty Images
사도 마태의 복음서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필사본은
에티오피아 군다 군데 수도원에 보관된
‘GG 00039’라는 문서에서 확인된다. 또한,
페르시아에서 발견된 기독교 유물들은 마태가
그 지역을 여행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키르기스스탄의 호수에서 발견된 도자기 항아리도
그의 전설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야고보
©Public Domain
서기 62년,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리스도라 불린 예수의 형제 야고보"가
처형당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나사렛 예수
©Getty Images
예수의 실존을 시사하는 고고학적 증거도 다수 존재한다.
나사렛에서 예수 시대의 주택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본디오 빌라도의 실존을 입증하는 ‘빌라도 석판’ 또한
중요한 단서가 된다. 또한, 로마의 십자가형 처형 방식이
성경에 묘사된 방식과 일치한다는 점도
예수의 실존을 뒷받침하는 요소 중 하나다.
나사렛 예수
©Getty Images
또 다른 역사적 증거로는 로마 총독 플리니우스가
황제 트라야누스에게 보낸 편지가 있다.
그는 이 편지에서 초기 기독교인들이 “그리스도를
신처럼 찬양하는 찬송가를 불렀다”고 기록했다.
출처
(History Collection)
(National Geographic)
(Biblical Archeologic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