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연일 부친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에 대한 친일 의혹을 반박하는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해방 후에도 김 전 회장이 일본을 두둔하는 발언을 했다는 사료가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1일 노컷뉴스가 공개한 1961년 1월24일 참의회 본회의 회의록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은 일본의 처지를 대변하거나 옹호하는 발언을 자주 했다.
김 전 회장은 “한국 수출품의 8할이 일본으로 간다”며 반일 감정이 거센 상황에서 한일 간 민간 경제 교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일본 대학들이 한국 유학생들이 공납금이 체납되더라도 등교를 허가하고 있다”, “밀항한 경우에도 유학생으로 입증되면 구속시키지 않는다” 등 일본이 재일교포에게 호의를 베풀고 있다는 발언을 했다.
재일교포에 대해서는 “일본에 가 있는 사람들이 (한국에서) 생활을 못해서 일본으로 건너가 있는 사람들”이라고 규정했다.
당시는 일본이 1951년 국권을 회복한 뒤 재일교포의 국적을 박탈하고 강제퇴거를 추진, 한일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시기였다.
우리 정부는 “징집 등 강제로 일본에 끌려 간 특수성을 인정받아야 한다”며 일본 정부를 압박했지만 김 전 회장은 ‘재일 교포가 자발적 이민자’라는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한 것이다.
1959년부터 진행 중이던 재일한인의 북한 송환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가) 일본 국민의 감정을 악화시킨 그 결과로서 이러한 사태가 진전된 것”이라고 말해 이 문제를 ‘한인 탓’으로 돌리기도 했다.
당시 조선일보는 1961년 1월25일자 조간 1면에 김 전 회장에 대해 “김 의원이 신상발언에서 극히 친일적인 언사를 해 야단법석이 일어났다”며 “여러 의원들이 아연실색하다 분노를 터뜨렸다”고 보도했다.
같은 날 ‘경향신문’도 1면에서 “고성과 욕설이 오갔다”며 당시 본회의 기류를 전했다.
김 대표는 부친의 ‘친일’ 논란에 대해 “요새 좌파들에 의해 가지고 아버지가 친일파로 매도당한다”며 “내가 정치를 안 했으면 이런 일 없었을 텐데, 자식 된 도리로서 마음이 많이 아프다”고 말한 바 있다.
지난달 기자들과의 오찬에서도 “친일인명사전에 김용주라는 이름이 3명 있는데, 우리 아버지는 아니다. 우리 아버지는 친일인명사전에 없다”고 반박했으며 100쪽짜리 장문의 해명자료를 배포하기도 했다.
한편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김 전 회장이 해방 후에도 친일 행보를 이어갔다는 보도에 대해 “‘풀텍스트’가 기술됐다기 보다는 먹고 살기 힘들어서 간 것 아니냐는 문장을 갖고 해석을 한 것 같다”며 “전후 문맥을 봐야 하지 않냐고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선친에 대해 여러 면이 있을 수 있지만 지금 이렇게 친일이라고 공격 소재로 삼는 것은 이해가 안 간다”며 “한 사람의 공과 과에 대해 균형있게 잘 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