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문(孔門) 칠십이현(七十二賢), 칠십칠현(七十七賢)
-《사기(史記)》〈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을 토대로 작성-
(1) 顏回(안회) 字(자) 子淵(자연) : 少孔子三十歲. 공자보다 30세 연하
(2) 閔損(민손) 字(자) 子騫(자건) : 少孔子十五歲. 공자보다 15세 연하
(3) 冉耕(염경) 字(자) 伯牛(백우)
(4) 冉雍(염옹) 字(자) 仲弓(중궁) : 仲弓父, 賤人.
(5) 冉求(염구) 字(자) 子有(자유) : 少孔子二十九歲, 為季氏宰. 공자보다 29세 연하
(6) 仲由(중유) 字(자) 子路(자로) : 卞人也. 少孔子九歲. 공자보다 9세 연하
(7) 宰予(재여) 字(자) 子我(자아) : 利口辯辭.
(8) 端沐賜(단목사) 字(자) 子貢(자공) : 衛人(위인), 少孔子三十一歲. 공자보다 31세 연하
(9) 言偃(언언) 字(자) 子游(자유) : 吳人(오인), 少孔子四十五歲. 공자보다 45세 연하
(10) 卜商(복상) 字(자) 子夏(자하) : 少孔子四十四歲. 공자보다 44세 연하
(11) 顓孫師(전손사) 字(자) 子張(자장) : 陳人(진인), 少孔子四十八歲. 공자보다 48세 연하
(12) 曾參(증삼) 字(자) 子輿(자여) : 南武城人, 少孔子四十六歲. 공자보다 46세 연하
(13) 澹臺滅明(담대멸명) 字(자) 子羽(자우) : 武城人, 少孔子三十九歲. 공자보다 39세 연하
(14) 宓不齊(복부제) 字(자) 子賤(자천) : 少孔子三十歲. 공자보다 30세 연하
(15) 原憲(원헌) 字(자) 子思(자사)
(16) 公冶長(공야장) 字(자) 子長(자장) : 齊人
(17) 南宮括(남궁괄) 字(자) 子容(자용)
(18) 公皙哀(공석애) 字(자) 季次(계차)
(19) 曾蒧(증점) 字(자) 皙(석)
(20) 顏無繇(안무요) 字(자) 路(로) : 路者, 顏回父, 父子嘗各異時事孔子.
(21) 商瞿(상구) 字(자) 子木(자목) : 魯人, 少孔子二十九歲. 공자보다 29세 연하
(22) 高柴(고시) 字(자) 子羔(자고) : 少孔子三十歲. 공자보다 30세 연하
(23) 漆彫開(칠조개) 字(자) 子開(자개)
(24) 公伯繚(공백요) 字(자) 子周(자주)
(25) 司馬耕(사마경) 字(자) 子牛(자우)
(26) 樊須(번수) 字(자) 子遲(자지) : 少孔子三十六歲. 공자보다 36세 연하
(27) 有若(유약) 字(자) 자유(子有) : 책에 자(字) 기록 없음. 少孔子四十三歲. 공자보다 43세 연하
(28) 公西赤(공서적) 字(자) 子華(자화) : 少孔子四十二歲. 공자보다 42세 연하
(29) 巫馬施(무마시) 字(자) 子旗(자기) : 少孔子三十歲. 공자보다 30세 연하
(30) 梁鱣(양전) 字(자) 叔魚(숙어) : 少孔子二十九歲. 공자보다 29세 연하
(31) 顏幸(안행) 字(자) 子柳(자류) : 少孔子四十六歲. 공자보다 46세 연하
(32) 冉孺(염유) 字(자) 子魯(자로) : 少孔子五十歲. 공자보다 50세 연하
(33) 曹卹(조휼) 字(자) 子循(자순) : 少孔子五十歲. 공자보다 50세 연하
(34) 伯虔(백건) 字(자) 子析(자석) : 少孔子五十歲. 공자보다 50세 연하
(35) 公孫龍(공손룡) 字(자) 子石(자석) : 少孔子五十三歲. 공자보다 53세 연하
自子石已右三十五人,顯有年名及受業見于書傳。其四十有二人,無年及不見書傳者紀于左 :
자석(子石)부터 위쪽 35명은 나이와 이름이 드러나 있고 공자에게 수업을 받는 것이 보이고 책에 전해지고 있다.
나머지 자산(子產)부터 아래쪽 42명은 나이가 없거나 책에 보이지 않으며 전해지는 사람의 기록이 어긋나 있다.
(36) 冉季(염계) 字(자) 子產(자산)
(37) 公祖句茲(공조구자) 字(자) 子之(자지)
(38) 秦祖(진조) 字(자) 子南(자남) : 春秋時期魯國人 춘추시기 노국인, 一說秦国人. / 그는 동주(東周) 때 상규(上邽, 今지금의 甘肅省감숙성 天水市천수시 秦州區진주구)에서 출생했다. 그는 육예(六藝)에 정통했다. 《周禮》的古六藝(禮教, 音樂(詩), 射箭, 騎馬車(御), 書法, 數學)和孔子提出春秋後的六藝. 그는 공자(孔子)의 아우(弟)뻘인 제자로, 72현제자(七十二賢弟子)의 한 사람이다. 그의 시호(諡號)는 당(唐) 시기에 소량백(少梁伯)에 봉해졌다. 이후 송(宋) 시기에 견성후(鄄城侯)에 봉해졌다. 진주(秦州) 문묘(文廟)에 진조사당(秦祖祠)이 있다. 사당의 대련(祠聯)에서, “聖績怙行, 眺百二河山, 不礙春風時雨至 ; 儒宗傳學, 數三千弟子, 誰攜關月隴雲來.”라 이른다. / 秦商(진상), 秦冉(진염), 秦祖(진조), 秦非(진비) - 4형제(四兄弟)
(39) 漆雕哆(칠조차) 字(자) 子斂(자렴)
(40) 顏高(안고) 字(자) 子驕(자교)
(41) 漆雕徒父(칠조도보) 字(자) 자문(子文) : 자(字) 기록 없음.
(42) 壤駟赤(양사적) 字(자) 子徒(자도)
(43) 商澤(상택) 字(자) 자수(子秀) : 자(字) 기록 없음.
(44) 石作蜀(석작촉) 字(자) 子明(자명)
(45) 任不齊(임부제) 字(자) 選(선)
(46) 公良孺(공량유) 字(자) 子正(자정)
(47) 后處(후거) 字(자) 子裏(자리)
(48) 秦冉(진염) 字(자) 開(개) : 春秋時期蔡國人 춘추시기 채국인 / 그의 성(姓)은 진(秦)이고, 이름은 염(冉)이며, 자(字)는 개(開)이다. 일설에는 자개(子開)라고도 한다. 그는 동주(東周) 때 채나라(蔡國)에서 출생했다. 그는 공자(孔子)의 아우(弟)뻘인 제자로, 72현제자(七十二賢弟子)의 한 사람이다. 그의 시호(諡號)는, 당(唐) 개원27년(開元二十七年)에 팽어백(彭衙伯)에 봉해졌다. 송(宋) 대중상부2년(大中祥符二年)에 신식후(新息侯)에 봉해졌다. 명(明) 가정9년(嘉靖九年)에 장부경(張孚敬)이 상주하여 제향을 그만두었다. 《사기(史記)》<제자전(弟子傳)>에 이름이 나온다. / 秦商(진상), 秦冉(진염), 秦祖(진조), 秦非(진비) - 4형제(四兄弟)
(49) 公夏首(공하수) 字(자) 乘(승)
(50) 奚容箴(해용잠) 字(자) 子皙(자석)
(51) 公肩定(공견정) 字(자) 子中(자중)
(52) 顏祖(안조) 字(자) 襄(양)
(53) 鄡單(교선) 字(자) 子家(자가)
(54) 句井疆(구정강) 字(자) 자강(子疆) : 자(字) 기록 없음.
(55) 罕父黑(한보흑) 字(자) 子索(자색)
(56) 秦商(진상) 字(자) 子丕(자비) : 春秋時期魯國人 춘추시기 노국인 / 그는 춘추시대(春秋時代) 말기, 기원전 547년, 노나라(魯國)에서 출생했다. 그는 공자(孔子)의 아우(弟)뻘인 제자로 공자의 나이와 4세 밖에 차이가 안 난다. 그는 공자의 제자 중 가장 나이가 많다. 성(姓)은 진(秦)이고, 이름은 상(商), 자(字)는 자강(子疆)이다. 일설에는 자(字)가 자비(子丕)라고 하며, 《공자가어(孔子家語)·제자해(弟子解)》에서는 비자(丕慈), 《좌전(左傳)》에는 비자(丕茲)라고 했다. 진상(秦商)의 아버지 진근보(秦堇父)는 공자(孔子)의 아버지 숙량흘(叔梁紇)과 함께 전쟁터에서 용맹함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는 공자(孔子)의 72현제자(七十二賢弟子)의 한 사람이며, 시호(諡號)는 한(漢) 명제(明帝) 영평15년(永平十五年) 서기 72년에 공묘(孔廟)에서 제향했다. 당(唐) 현종(玄宗) 개원27년(開元二十七年) 서기 739년에 상낙백(上洛伯)에 봉해졌다. 송(宋) 진종(真宗) 대중상부2년(大中祥符二年) 서기 1009년에 풍익후(馮翊侯)에 봉해졌다. 명(明) 세종(世宗) 가경9년(嘉靖九年) 서기 1530년에 선현진자(先賢秦子)로 봉했다. / 秦商(진상), 秦冉(진염), 秦祖(진조), 秦非(진비) - 4형제(四兄弟)
(57) 申黨(신당) 字(자) 周(주)
(58) 顏之仆(안지복) 字(자) 叔(숙)
(59) 榮旂(영기) 字(자) 子祈(자기)
(60) 縣成(현성) 字(자) 子祺(자기)
(61) 左人郢(좌인영) 字(자) 行(행) : 春秋時期魯國人 춘추시기 노국인 / 그는 춘추시대(春秋時代) 말기 노나라(魯國)에서 출생했다. 그는 공자(孔子)의 아우(弟)뻘인 제자로, 72현제자(七十二賢弟子)의 한 사람이며, 동주(東周)의 학자(學者)이다. 그의 성(姓)은 좌(左)이고, 이름은 인영(人郢)이며, 《공자가어(孔子家語)》에서 그의 자(字)는 자행(子行)이나 《사기(史記)》<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에 자(字)는 행(行)이다.
그의 시호(諡號)는 당(唐) 개원27년(開元二十七年)에 임치백(臨淄伯)에 추서되었다. 송(宋) 대중상부2년(大中祥符二年)에 남화후(南華侯)에 봉해졌다. 명(明) 가정9년(嘉靖九年)에 선현좌자(先賢左子)로 봉했다. 청(清) 시기에 또다시 선현좌인자(先賢左人子)로 봉했다. 출전 : 《공자가어(孔子家語)》, 《사기(史記)》<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
(62) 燕伋(연급) 字(자) 思(사)
(63) 鄭國(정국) 字(자) 子徒(자도)
(64) 秦非(진비) 字(자) 子之(자지) : 春秋時期魯國人 춘추시기 노국인 / 그는 춘추시대(春秋時代) 말기 노나라(魯國)에서 출생했다. 그의 성(姓)은 진(秦)이고, 이름은 비(非)이며, 자(字)는 자지(子之)이다. 그는 공자(孔子)의 아우(弟)뻘인 제자로, 72현제자(七十二賢弟子)의 한 사람이다. 그의 시호(諡號)는 한(漢) 명제(明帝) 영평15년(永平十五年) 서기 72년에 공묘(孔廟)에서 제향했다. 당(唐) 현종(玄宗) 개원27년(開元二十七年) 서기 739년에 견양백(汧陽伯)에 봉해졌다. 송(宋) 진종(真宗) 대중상부2년(大中祥符二年) 서기 1009년에 화정후(華亭侯)에 봉해졌다. 명(明) 세종(世宗) 가정9년(嘉靖九年), 1530년에 선현진자(先賢秦子)로 봉했다. / 秦商(진상), 秦冉(진염), 秦祖(진조), 秦非(진비) - 4형제(四兄弟)
(65) 施之常(시지상) 字(자) 子恒(자항)
(66) 顏噲(안쾌) 字(자) 子聲(자성)
(67) 步叔乘(보숙승) 字(자) 子車(자거)
(68) 原亢籍(원항적) 字(자) 적(籍) : 자(字) 기록 없음.
(69) 樂欬(악해) 字(자) 子聲(자성)
(70) 廉絜(염결) 字(자) 庸(용)
(71) 叔仲會(숙중회) 字(자) 子期(자기)
(72) 顏何(안하) 字(자) 冉(염)
(73) 狄黑(적흑) 字(자) 皙(석)
(74) 邦巽(방손) 字(자) 子斂(자렴)
(75) 孔忠(공충) 字(자) 자멸(子蔑) : 자(字) 기록 없음. 공자의 이복 형 맹피의 아들로서 공자의 조카
(76) 公西輿如(공서여여) 字(자) 子上(자상)
(77) 公西葴(공서잠) 字(자) 子上(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