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ps vs pps
bps 하고 pps는 말을 풀이 하면 bit per second 와 packet per second 입니다.
그러니까 초당 몇 비트가 통과 했느냐를 구분하는 구분자가 bps 이며,
초당 몇 packet이 통과 했느냐를 구분 하는 구분자가 pps가 되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들이 얘기 하는 대역폭(bandwidth) - 즉 T1, 256k, 512k등 - 은 bps를 의미하는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컴퓨터 용량 단위는 bit로 하지 않고 byte로 합니다. byte가 bit*8 이니까요.
실제 데이터 용량을 계산 하시려면 bps에다가 8을 나누셔야하겠죠.
pps는 초당 패킷이 몇개 통과 하느냐는 얘긴데..
Ethernet 상에서 64byte~1518byte의 패킷 크기를 가진것들이 돌아다닙니다.
그럼 pps라는 단위는 용량으로 표현하기 좀 힘들죠..
대부분 인터넷 상에서 돌아 다니는 패킷의 크기는 64~128byte가 대부분이고
그 중에서도 대부분이 최소 크기인 64byte 입니다.(예: HTTP 트래픽)
그래서 pps랑 용량간의 관계는 정비례 관계는 아니지만
1packet = 64byte 라는 공식으로 계산하시면 얼추 맞습니다.
보통 스위치나 라우터를 제조하는 업체에서 pps 계산시 64byte로 하면
더 높은 pps로 표시되기 때문에 대부분이 64byte로 계산해서 사용합니다.
그러나 사실 2가지로 나눕니다.
최소 바이트의 packet으로 나눈 수 하고
mixed mode라 해서 64byte~1500byte까지 섞어서 보내는 모드로 구분합니다.
결론적으로, pps는 대역폭상에서 초당 얼마의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지
성능에 초점을 맞춘 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bps, BPS, pps, cps
- bps(bit per second)
bps는 초당 몇 bit 의 데이타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48kbps 는초당 2048000 bits 의 데이타 전송을 의미합니다.
- BPS(Byte per second)
BPS는 초당 몇 byte 의 데이타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1byte 는 8bit 이므로 2048kbps는 초당 2048000 / 8 = 256000 bytes 의 데이타 전송을 의미합니다.
- pps(Packet Per Second)
보통 네트워크 장비의 성능을 측정할때 많이 사용하는 단위가 바로 pps 입니다.
의미는 1초에 패킷을 몇개를 보낼수 있냐하는 측정 단위라고 보시면 됩니다.
- cps(character per second)
cps는 초당 몇 character(문자)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character 는 8bits 이므로 2048kbps 는 초당 2048000 / 8 = 256000 문자 전송을 의미합니다.
관련링크 : http://dokydoky.tistory.com/219
첫댓글 신속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