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 기쁘다 구주 오셨네 115
I. Watts 작사 · G.F.HandeI 작곡; 《통일 찬송가, 1983》115장
1. 기쁘다 구주 오셨네 만백성 맞으라 온 교회
여 다 일어나 다 찬양하여라 다 찬양 하여
다 찬야하여라
라 다 찬양 찬양 하여라
찬양하여라 다
2. 구세주 탄생 했으니 다 찬양하여라 이 세상
의 만물들아 다 화답하여라 다 화답바하여
다 찬양하여라 다
라 다 화답 화답 하여라
찬양하여라 다
3. 온 세상 죄를 사하려 주 예수 오셨네 죄와 슬
픔 몰아내고 다 구원하시네 다 구원하시
다 찬양하여라 다
네 다 구원 구원 하시네
찬양하여라 다
4. 은혜와 진리 되신 주 다 주관하시니 만국 백
성 구 주 앞에 다 경배하여라 다 경배하여
다 찬양하여라 다
라 다 경배 경배 하여라 아멘
찬양하여라 다
이 찬송은 일찍이 《찬양가, 1894》53장에 채택되었는데, 현재 가사는 《찬송가, 1908》67장 번역으로 계속 불리는 것이다. 두 가사를 1절만 비교해 보자.
《찬양가, 1894》53장 《찬송가, 1908》67장
깃부다 구쥬 왕 되니 셰상 님금 왓네 깃브다 구쥬 오셧네 만빅셩 마즈라
모든 사람 예비하고 만물 찬양하세 온 교회 찬숑부르니 그 소리 높도다
만물 찬양하세 만물 찬양하세 그 소리 높도다 그 소리 높도다
만물 만물 찬양하세 그 소리 소리 높도다
《찬양가, 1894》53장 가사가 원어에는 더 충실한데 번역이 서툴다.
이 찬송은 아이자크 왓츠(1674 ~ 1748)목사가 1719년에 작사하였고, 《다윗의 시편, 1719》에 처음으로 실렸다. 《크리스천 시편가, 1836》161쪽에 이 찬송 가사가 실려 있는데, 사용 곡조는 'C.M.Channing'이란 알 수 없는 곡조였다. 부제로 「메시야의 강림과 그의 나라」이라는 해제가 달려 있다.
로웰 메이슨이 「헨델과 하이든협회」에서 출판한 《시편가, 1845》 110쪽에 이 곡조가 있는데, 곡명은 「알레간」'ALLEGAN'이요 작곡자 란에는, 영국 캔터베리의 토머스 클라크의 곡을 편곡한 것이라고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Arranged from THOS. CLARK. Canterbury. England'곡조를 자세히 검토해 보니, 어딘가 메이슨의 곡조와 닮은 데가 있어 보였다.
우리 찬송가의 이 곡조는 세꼐 모든 찬송가마다 「헨델의 곡을 로웰 메이슨이 편곡한 것」라고 적고 있다. 그 이유로 첫번째 동기인 「기쁘다 구」(도시라솔)의 하강음(下降音)이 헨델의 메시야 제2부의 합창곡 「머리 들라」의 선율과 같고, 「만백성 맞으라」(솔라라시시도)의 가락은 메시야 제1부의 테너 레치타비보, 「내 백성을 위로하라」의 제4소절과 리듬이나 멜로디가 같다는 것이다. 이것만을 가지고 헨델의 곡을 편곡하였다는 것은 말이 안 되기 때문에, 영국의 음악평론가 제임스 라이트우드(1850 ~ 1944)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 곡은 헨델에게서 힌트를 얻은 미국인 작곡이다."
20세기 말에 출판된, 에릭 루틀리가 편곡하여 미국 어드맨출판사에서 1985년에 발행한 찬송가, 《주안에 기쁘하라》198장에서는 「기쁘다 구주 오셨네」를 로웰 메이슨, (1832)작곡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 곡존는 로웰 메이슨이 1836년에 편집한 《보스턴아카데미교회음악선》에 처음 나타났는데,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전 미국 찬송가에 채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성탄절에 애창되는 차나송이 되었다. 현재 통용되는 곡명 「안디옥」'ANTIOCH'이란 이름으로 미국 찬송가에 나타난 것은, 브래드버리와 루트가 펴낸 「음악 총서 숌, 1853」으로서 113쪽에 실려 잇다.
위의 악보는 미국 남부지방 민속찬송가, 1854 316쪽에 실린 「기쁘다 구구 오셨네」읻다. 멜로디는 2단에 있다.
「도형악보 기보법」에 관하여는 1장 해설을 참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