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書(사서)라 함은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을 말한다 (대학과 중용은 본래 禮記중의 2편이였다). 주자(朱子,朱熹 1130~1200)는 중국 남송시대의 유학자로 호(號)는 회암(晦庵),회옹(晦翁)인데 주자가 위의 사서(四書)에 주(註)를 단 것을 "사서집주(四書集註)” 라고 한다.
- 論語集註(논어집주)
- 孟子集註(맹자집주)
- 大學章句集註(대학장구집주)
- 中庸章句集註(중용장구집주)
주자는 사서를 학문의 기본적 방향이나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든가,옛 성인(聖人)의 유교(遺敎)가 담겨 있는 것이라 하여,상호 관련성을 갖게하고 주석(註釋)을 달았다. 『논어』, 『맹자』에 대해서는 제가(諸家)의 주(註)를 취사(取捨)하면서 주해를 붙였고, 대학,중용은 장구(章句)로 나누어서 주석을 붙였다.
이 책들은 성리학을 통해 우리나라로 전해져 조선시대 모든 선비들의 필독서(必讀書)였으며 송나라 이후의 중국인,한국인,일본인에게 가장 많이 읽혀진 고전(古典)으로 평가되고 있다.
흔히 사서와 함께 삼경(三經), 혹은 오경(五經)이라는 책을 합쳐 사서삼경(四書三經) 혹은 사서오경(四書五經)이라 한다. 삼경은 『詩經(시경)』, 『書經(서경)』, 『易經(역경,주역)』을 말하고, 오경은 삼경에다가 『禮記(예기)』, 『春秋(춘추)』를 더한 것이다. 육경(六經)이면 『樂經(악경)』이 추가된다.
사서집주에는 본문(本文),집주(集註) 외에 2차 주석격인 '비지(備旨)'가 있는데,이 비지는 14세기말 명나라 학자 등림이 사서삼경의 본문 내용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전거(典據)를 확실히 밝혀 기록한 것이라 하는데,내용이 방대하고 어려워 국내 학계에서 전부를 완역하지 못했다. 최근에 한학자 성백효 선생이 집주를 해석하고 설명을 가한 <附按說 집주>를 저술하였다.
첫댓글 擧一而知三(거일이지삼)이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