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엽 시인(1930-1969)에 대하여 아들인 신좌섭(1959년생-2024 )과 맹문재 교수(1963-)와의 대담집이다. 맹교수는 내가 수강하고 있는 동작문화원 문학반 담당이다. 아들 신좌섭은 왜 일찍 소천했을까? 궁금하여 인터넷 검색중에 화장실에서 급사함. 신좌섭은 노동운동으로 서울의대 퇴학. 신좌섭의 아들도 19세에 사망. 아무튼 평탄한 가정은 아닌듯하다.
제1부 생애
신동엽 등단: 1959년(30세), 조선일보 신춘문예(「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장시인데 무슨 의미로 이렇게 길게 썼을까?
장편 서사시 <금강>창작
김수영 시인(1921-1968 )꽃잎
제2부 시 세계
☞역사관, 세계관= 원수성, 차수성, 귀수성,(무슨 뜻인가?), 귀수성은 고향인가? 신춘문예 당선시의 서화를 원수성, 1-6화를 차수성, 후화를 귀수성 세계에 대한 기대로 해석함/ 황규관(1968-)의 해석( 신동엽은 독특하게도 역사를 원수성(原數性), 차수성(次數性), 귀수성(歸數性)의 세계로 파악하는데, 쉽게 말하면 우리가 지금 사는 문명 세계가 차수성의 세계이고, 이 문명 이전이 원수성의 세계이며, 우리가 다시 대지가 돼야 하는 세계가 귀수성의 세계다.)
신좌섭은 원시공동체를 원수성, 왜곡된 삶의 세계가 차수성, 다시 본연을 회복하는 삶의 시대가 귀수성이라 함
「껍데기는 가라」; 기념비적 작품, 1967년
1968년 장편서사시 「금강」 발표
1968 오페레타 「석가탑」 무대에 올림
1969년1월 여자의 삶 발표
1969년 3월 간경화 사망
시 쓰기 습관: 일기나 상념을 노트에 적고 다듬어 시를 씀, 대부분 노트에 제목을 붙임(탈피의 상흔, 어무로, 석림을 탈의한다)
제3부 장편서사시 <금강>읽기
1967년 장편서사시 「금강」 발표. 동학주제
시문학사에서 기념비적인 작품(3.1운동, 4.19혁명을 하나의 흐름으로 엮음, 총30장, 4673행), 1975전집출간후 15년간 판매금지
민중에 의해 역사는 발전(동학운동, 3.1운동. 4.19혁명, 모두 좌절한 혁명)
조태일 :신동엽론
빛나는 눈동자를 가진 사람: 전봉준(1855-1895), 김수영, 신동엽'
제4부 산문세계
「서둘고 싶지 않다」; 시와 사랑, 혁명은 서두른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금강 잡기」: 세 여승의 강물에 들어가 죽음: 바랑에 자갈묶고, 이승에서의 마지막 소녀적 감성 발산, 죽음의 미학
「시끄러움 노이로제」: 도시화 상업주의 비판
「산, 잡기」; 등산을 좋아함, 북한산
나의 이중성: 내성적인 성격이 대를 이어옴.
엉뚱한 이론: 인간은 생식을 위해 살아간다(성적 일탈은 아님), 자연장으로 돌아가자
시인 정신론(1961.2): 원수성(씨앗), 차수성(잎이 달린 세계), 귀수성(열매), 전경인의 개념 사용, 시는 궁극에 종교가 되고, 철학, 종교, 시는 하나가 될 것이다. 제1장은 시대에 대한 진단, 제2장은 원수성, 차수성, 귀수성으로 이어지는 세계관제시, 제3장은 이상적인 인류의 모습으로서 전경인정신에 입각한 시론./ 신동엽 시인의 철학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는 데 어려움.
전경인= '대지에 뿌리를 내린(경), 종합적인, 대원적인 정신(전)을 말함, 선지자, 무의미하고 불투명한 공예품을 만드는 시업가를 비판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 수필이 아니라 시 인듯.
박봉우 시인 : 저항파의 동지 의식
김수영 시인(1921-1968): 신동엽의 조사에서 '지맥 속에서 솟는 싱싱한 분수', 순수-참여 논쟁에 분노함
제주항쟁: 1948년4월
제5부 인병선 짚풀문화학자.시인
1982년 '신동엽 창작기금' 제정
짚풀사 생활박물관 관장
1970년대 북한강가 새터유원지 식당운영으로 생계
부록: 연보와 자료 등
(후기) 책을 읽다보니 신동엽 시인과 부인 인병선은 좌로 보이는데, 현실의 부조리를 비판한 민중의식, 혁명의식이 있던 것으로도 볼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좌에대한 거부감이 있으나 문학도로서 순수한 문학으로 공부하려 한다. 누군가 말에 좌익은 차별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 한다. 덧붙여 이를 이용하는 귀족좌파도 있고.
단어찾기:
정 情 나미 (떨어지는): 어떤 대상에 대하여 애착을 느끼는 마음
질곡(으로부터 해방): 옛 형구인 차꼬와 수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지까다비: 일어)작업화
(250203완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