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졸업식 노래의 탄생
(1946년 6월 6일)
해방(解放)된지 겨우 1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前 ~
중앙청에 미국 성조기(星條旗)가 나부끼고
미군(美軍)*육군 중장이
(在朝鮮 美陸軍司令部 軍政廳,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 USAMGIK) *하지(Hodge, J. R.) 중장
38도선 이하의 조선 땅을 통치하던 무렵,
美군정청 문교부 편수국장 직함을 갖고 있던
외솔 최현배가 한 아동문학가를 찾았다.
“여보 석동, 노래 하나 지어 주시게.”
석동(石童)이라는 아호(雅號)를 가진 이 사람의
이름은 윤석중(尹石重)이었다.
석동이라는 아호는 어느 신문에선가
그를 소개하면서 윤석동(童)이라고 잘못
쓴 걸 보고 춘원 이광수가
“석동이라는 아호가 좋네,
누가 지어 준 거요?”라고 칭찬하면서
그대로 아호(雅號)가 돼 버렸다고 한다.
“졸업식 때 쓸 노래가 마땅하지 않소. 그래서
외국 곡을 이것 저것 가져다 쓰는 형편이니
석동이 하나 지어 줘야겠소.”
윤석중은 해방 직후
“새나라의 어린이는 일찍 일어납니다.
잠꾸러기 없는 나라 우리 나라 좋은 나라”를
작사하여 해방된 조선의 어린이들이
목청껏 ‘새나라 우리나라’를
부르게 해 주었던 그 사람이었다.
최현배가 보기에 일제 때 부터 동요 작사가로
이름을 날린 윤석중은 졸업식 노래를 만들
최적임자였을 것이다.
윤석중이 누구시더라 고개를 갸웃거리는 분들을
위해서 노래 몇 개만 흥얼거려 보겠다.
“달 밝은 밤에 기러기들이.....”
“엄마 앞에서 짝자꿍 아빠 앞에서 짝자꿍”
“기찻길 옆 오막살이 아기 아기 잘도 잔다.”
그리고 어린이날만 되면 울려퍼지는
“날아라 새들아 푸른 하늘을..
오월은 푸르구나 우리들은 자란다.”
이쯤되면 아아아 하면서 고개를 상하로
크게 흔드는 분이 많으실 것이다.
최현배가 졸업식 노래를 의뢰한 게
1946년 6월 5일이었다.
최현배의 부탁을 받자마자 윤석중의 머리 속에는
시상(詩想)이 번득인 것 같다.
원래 악상(樂想)이나 시상(詩想)은
배차 시간 쫓기는 기사가 모는 버스 같아서
제때 손 들지 않으면 휙 지나가 버리는 법.
윤석중은 그날이 가기 전에 가사를 완성한다.
“빛나는 졸업장을 타신 언니께
꽃다발을 한 아름 선사합니다.
물려 받은 책으로 공부를 하며
우리들도 언니 뒤를 따르렵니다.”
윤석중이 또 급히 찾은 것은
작곡가 정순철이었다.
바로
<새나라의 어린이>
<엄마 앞에서 짝짜꿍>의 작곡가.
정순철 작곡가의 아드님의 회고에 따르면
정순철 또한 가사를 받고 악상(樂想)이
번개같이 스치고 지나간 것 같다.
허겁지겁 피아노를 두들기다가
악보에 콩나물을 급하게 그려
뛰어 나가던 모습을 회상하고 있으니 말이다.
이 성미 급한 작사가와 작곡가는
설렁탕집에서 만났다.
“비이이잋 나는 조오올업장을 타신 언니께~~~
잘 있거라 아우들아 정든 교실아.....”
원래 흥에 겨운 예술가들의 얼굴 두께는
빙산처럼 두터워지는 법.
설렁탕집에서 때아닌 고성방가는
“거 조용히 합시다!”라는
*지청구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지청구 : 1.까닭 없이 남을 탓하고 원망함.
2.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는 말. [유의어] 꾸중, 타박1, 구박
졸업식 노래는 그렇게 엉겁결에 탄생했다.
하지만 그 가사와 가락은 결코 엉성하지 않았다.
“빛나는 졸업장을 타신 언니께
꽃다발을 한아름 선사합니다.
물려받은 책으로 공부를 하며
우리들도 언니 뒤를 따르렵니다.” 하는 1절은
교과서도 제대로 없어 선배들 것을
물려받아 공부해야 했던 시대를 반영하고 있다.
(그래서 지금 시대와는 좀 맞지 않는다)
그런데 뭉클한 것은 2절이고,
사실 2절을 부를 때 졸업식은
눈물바다가 되기 일쑤였다.
“잘 있거라 아우들아. 정든 교실아.
선생님 저희들은 물러갑니다."
그리고 또 나오는 ‘새나라’
”부지런히 더 배우고 얼른 자라서
새 나라의 새 일꾼이 되겠습니다.”
3절은 졸업이 아닌 다짐의 합창.
“앞에서 끌어주고 뒤에서 밀며
우리나라 짊어지고 나갈 우리들
강물이 바다에서 다시 만나듯
우리들도 이 다음에 다시 만나세.”
당장 美군정청 문교부 편수국 전 직원들 앞에서
이 노래가 처음 불리워졌고
열화와 같은 호응을 거쳐
졸업식 노래로 공표된 것이
1946년 6월 6일이었다.
이 노래는 역시 커다란 환영을 받으며
각급 학교에서 불리워졌다.
때아닌 돈벼락을 맞은 것이
당시로서는 몇 집 안되던 꽃집들이라고 한다.
각급 학교 졸업 때마다
꽃다발 주문 홍수가 일어난 것이다.
원래 윤석중의 의도는
“마음의 꽃다발” 이었다고 하는데..
그런데 이 윤석중 작사가와 정순철 작곡가는
한국현대사의 격랑 속에서 크나큰
상처를 입거나 아예 실종되고 말았다.
윤석중의 아버지와 새어머니,
그리고 이복(異腹) 동생은
충남 서산에 살고 있었는데 새어머니 쪽이
좌익과 관련되었다고 한다.
전쟁 와중에 벌어진 피의 학살극에
윤석중의 가족은 몰살당하고 말았다.
윤석중이 원래 서산으로 피난오려던 것을
아버지가
“전쟁 통에는 떨어져 있어야 누구든 산다.”고
만류했다고 하는데
그것이 천행(天幸)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작곡가 정순철의 불행은
본인에게 찾아왔다.
다 피난간 학교(성신여고)를
홀로 지키다가 거의 서울이 수복되던
9월 28일경 인민군에게 납북되고 만 것이다.
이후 그의 생사는 알려지지 않는다.
해월 최시형의 외손자인
그의 제삿날은 그래서
수복 다음날인 9월 29일이 됐다.
후일 막사이사이상(賞)을 받은 윤석중은
이렇게 연설(演說)한다.
“정말로 국경(國境)이 없는 것은
동심(童心)인 줄 압니다.
동심(童心)이란 무엇입니까?
인간의 본심입니다. 인간의 양심입니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동물이나 목성(木性)하고도
자유자재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정(情)을 나눌 수 있는 것이
곧 동심(童心)입니다.”
간악한 일제 통치를 받을 때에도,
해방의 혼란과 설렘 와중에서도,
자신의 일가족을 학살하고
절친한 작곡가의 생사를 가린
전쟁의 공포 속에서도,
가난의 무게가 전 국민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었을 때에도
윤석중은 그 어둠을 밝힐 빛으로
‘동심(童心)’을 찾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졸업식 노래>는 그 중 하나였다.
요즘 졸업식에서는
* ‘올드랭사인’
* “오랫 동안 사귀었던..”
을 많이 부른다고 알고 있다.
제대로 교사(校舍)하나 갖추지 못한 천막 학교에서
손을 갈퀴로 삼아 일하면서도
자식만은 학교에 보내려던
퀭한 눈의 부모 앞에서 얼키설키 만든
꽃다발을 든 졸업생들이
“잘있거라 아우들아 정든 교실아
선생님 저희들은 물러갑니다. ”를
부르다가 끝내 엉엉 울고
“냇물이 바다에서 서로 만나듯”을
젖은 목소리로 함께 하던 졸업식 풍경은
수 세대(世代)에 걸쳐 우리 나라 곳곳에서 행해진
살가운 역사(歷史)의 한 페이지였는데..
윤석중과 정순철 두 사람이
설렁탕집에서 부르며 만든 노래.
흘낏 떠올려도 아련한 추억(追憶)이
슬라이드처럼 흘러가는 노래^^
<졸업식 노래>가
1946년 6월 6일 우리 곁으로 왔다.
* - 올드랭사인 -
[Auld Lang Syne]
요약 : 영국 스코틀랜드의 시인 로버트 번스의 가곡.
작곡 ; 로버트 번스
제작년도 : 1788년
1788년에 작곡되었다.
곡명은 ‘그리운 옛날 old long since’이라는 뜻이며,
한국에서는 ‘석별’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이 노래는 전세계적으로 이별할 때 불리고 있으나
내용은 다시 만났을 때의 기쁨을 노래하고 있다.
“어릴 때 함께 자란 친구를 잊어서는 안 돼.
어린시절에는 함께 데이지를 꺾고 시냇물에서 놀았지.
그후 오랫동안 헤어져 있다 다시 만났네.
자아, 한 잔 하세.”
하면서 다시 만 날 수 있게 되기를 빌며
헤어질 때 부르고 있다.
한국에서는 1900년을 전후하여
애국가를 이 곡조를 따서 부르기도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올드랭사인 [Auld Lang Syne] (두산백과)
* - 작별 -
오랫동안 사귀였던 정든 내친구여
작별이란 왠말인가 가야만 하는가
어디 간들 잊으리오 두터운 우리 정
다시 만날 그 날 위해 노래를 부르자
잘 가시오 잘 있으오 서로 손목 잡고
석별의 정 잊지 못해 눈물만 흘리네
이 자리를 이 마음을 길이 간직하고
다시 만날 그 날 위해 노래를 부르자
- 끝 -
2021/01/28 목요일
김호경 선배님 kakao talk에서 인용^
윤석중 :
출생-사망
1911년 5월 25일, 서울특별시 - 2003년 12월 9일
아동문학가, 시인
데뷔 : 192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등단
정순철(鄭淳哲) :
(1901년 ~ ? )
작곡가 정순철은
1901년 옥천군 청산면 교평리에서 태어났다
충북 옥천군 청산면에는 정순철 작곡가의 생가터와 함께 이야기가 있는 벽화거리
[출처] 옥천 감성여행, 동요작곡가 정순철 생가터와 벽화거리|작성자 충청북도
“ 졸업식 노래”를 대체한
가요는 015B가 부른
* '이젠 안녕'이 많았다.
그밖에
인순이의 * '거위의 꿈',
진추하陳秋霞의
* 'Graduation Tears'
한글 개사곡(改造歌辭曲),
정수은이 작사한
* '졸업을 축하합니다'
등의 노래가 '졸업식 노래' 대신 불렸다.
"빛나는 졸업장을..."
이 노래가 졸업식장에서 사라지는 이유
시대에 맞지 않는 가사
'이젠 안녕', '거위의 꿈' 등
가요로 대체하기도
2017.02.25 14:43l윤근혁(bulgom)
오마이뉴스(시민기자)
*'이젠 안녕’
"우리 처음 만났던 어색했던 그 표정 속에
서로 말 놓기가 어려워 망설였지만...
안녕은 영원한 헤어짐은 아니겠지요.
다시 만나기 위한 약속일거야
함께했던 시간은 이젠 추억으로 남기고
서로 가야할 길 찾아서 떠나야 해요.“
*'거위의 꿈’
난 난 꿈이 있었죠
버려지고 찢겨 남루하여도
내 가슴 깊숙히 보물과 같이 간직했던 꿈
혹 때론 누군가가
뜻 모를 비웃음 내등뒤에 흘릴 때도
난 참아야했죠 참을 수 있었죠 그날을 위해
늘 걱정하듯 말하죠
헛된 꿈은 독이라고
세상은 끝이 정해진 책처럼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현실이라고
그래요 난 난 꿈이 있어요
그 꿈을 믿어요 나를 지켜봐요
저 차갑게 서 있는 운명이란 벽 앞에
당당히 마주칠 수 있어요
언젠가 나 그 벽을 넘고서
저 하늘을 높이 날을 수 있어요
이 무거운 세상도
나를 묶을수 없죠 내 삶의 끝에서
나 웃을 그날을 함께해요
아티스트 : 인순이 작사 : 이적 작곡 : 이동률
*'Graduation Tears’
And now is the time to say good bye to the books
And the people who have guided me a long
They showed me the way to joy and happiness, my friends
How can I forget the fun we had before
교과서와 안녕을 말할 때가 이제 됐어요
나를 이끌어준 사람들과도
그들은 내게 즐거움과 행복의 길을 열어 줬는데
친구여 우리 같이 나누었던 정을 어찌 잊으리
I don't know how I would go on without you
in a wicked world I'll be all alone
I've been blessed by school life don't care about a thing
Gotta thank our teachers and my friends
난 모르겠어요 이 거친 세상을 어떻게
혼자 해쳐 나갈지 나 혼자가 되지만
학창시절 축복 받았기에 걱정하지 않겠어요
선생님과 친구들에게 감사드려요
Graduation tears congratulation cheers.
It's the day of my emotion, can't you see
Who'd know the friendship and love I'll leave behind
As I step out of the school yard I have known
졸업의 눈물 축하의 박수
감정이 북받쳐 오르는 날 이해되시나요
우정을 뒤에 두고 떠나는 이 사랑을 누가 알까요
익숙했던 운동장을 걸어 나올 때
I don't know how I would go on without you
in a wicked world I'll be all alone
I've been blessed by school life don't care about a thing
Gotta thank our teachers and my friends
난 모르겠어요 이 거친 세상을 어떻게
혼자 해쳐 나갈지 나 혼자가 되지만
학창시절 축복 받았기에 걱정하지 않겠어요
*졸업을 축하합니다
우리가 함께 한 날들 소중히 간직합니다
영광의 자리 이 순간 졸업을 축하합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부모님 고맙습니다
후배들 정든 친구들 모두 다 사랑합니다
오늘 우리가 헤어짐은 더 멋진 만남 위함이죠
오늘은 더 큰 세상을 만나는 멋진 날
졸업을 축하 축하합니다 선생님 정말 감사합니다
마음의 얘기 노래합니다 사랑합니다
내일을 향해 큰 꿈을 향해 달려갈게요 할 수 있어요
마음의 얘기 노래합니다 사랑합니다
졸업을 축하 축하합니다 부모님 정말 감사합니다
마음의 얘기 노래합니다 사랑합니다
새로운 시작
작사: 정수은 작곡: 안진현 노래: 최윤서
음반: 우리동요 14집(양악) 발매년: 2012년
|
첫댓글 [허규택] [오후 1:40]
" 졸업식 노래의 탄생 비화 "
이 이야기는 방송인으로,
記者이자 PD로 이름을 날리던
"김형민"씨가 들려준 글입니다.
나이드신 분들은 기억이 나시겠지만
탄생배경까지는 잘 모르실 것입니다.
참고 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