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관련주
1. 2차전지 전해액 관련주 6종목 2022. 11. 04- 엔켐, 후성, 솔브레인, 천보, 켐트로스, 동화기업
2.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7종목 2022. 10. 30-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상신이디피, 신흥에스이씨, 테이팩스, TCC스틸
3. 2차전지 소재 관련주 8종목 2022. 10. 24- 포스코케미칼, 대한유화, 엔켐, 솔루스첨단소재, 후성, 천보, 대주전자재료, 엘앤에프
4. 2차전지 관련주 6종목 2022. 10. 12- 코스모신소재, 에코프로, 대한유화, 동화기업, 대보마그네틱, 하나기술
5. 2차전지 음극재 관련주 6종목 2022. 10. 01- 포스코케미칼, 대주전자재료, 한솔케미칼, 솔루스첨단소재, 나노신소재, 엠케이전자
6. 2차전지 양극재 관련주 6종목 2022. 09. 17-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칼, 코스모신소재, 이엔드디, KG케미칼, 엘앤에프
7.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주 6종목 2022. 09. 03- 포스코케미칼, 후성, 켐트로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8. 전기차 관련주 7종목 2022. 09. 03- 와이엠텍, LS ELECTRIC, 뉴인텍, 이지트로닉스, 한국단자, 한온시스템, 성창오토텍
9. 폐배터리 관련주 7종목 2022. 08. 29- 새빗켐, 성일하이텍, 파워로직스, 하나기술, 인선이엔티, 웰크론한텍, 영화테크
10. ESS 관련주 6종목 2022. 08. 24- SK디앤디, 세방전지, LS ELECTRIC, 와이엠텍, 비나텍, 신성델타테크
11.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5종목 2022. 08. 23- 에스트래픽, SK네트웍스, 피에스텍, 에이프로, 알티캐스트
12. 2차전지 관련주 5종목- 에코프로비엠 , 솔루스첨단소재, SK아이이테크놀로지, 솔브레인, 테이팩스
이보,
매출액, 이익증가 기업 : 에코프일렉트릭, 로비엠, 솔브레인, 테이팩스, LS일렉트릭, 와이엠텍, 새빗켐, 성일하이텍,
하나기술, 인선이엔티, 와이엠텍,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나노신소재, 후성, 천보, 삼성SDI, 나
SK이노베이션, TTC스틸, 엔켐
12. 2차전지 관련주 5종목작성일: 2022. 8. 17.
리튬이온 2차전지 관련주에는 어떤 국내 주식이 있을까?
2차 전지와 관련된 주식에는 에코프로비엠, 솔루스첨단소재, SK아이이테크놀로지, 솔브레인, 테이팩스가 있다.
리튬이온 2차 전지 구조 (출처: lgensol.com)
2차전지란 배터리라고도 불리며,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하여 충전과 방전이 가능해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전지이다. 2차전지의 종류에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등이 있으나 현재는 높은 에너지밀도, 충/방전 효율 및 장수명을 가진 리튬이온 2차 전지가 모바일 제품 및 전기자동차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온 2차전지는 리튬이온전지(Lithium-Ion Battery: LiB)와 고분자전해질을 사용하여 안정성을 강화한 리튬이온폴리머전지(Lithium-Ion Polymer Battery: LiPB)로 구분 할 수 있다. 리튬이온전지는 주로 각형, 원형의 형태로 소형전자기기에 사용되며, 리튬이온폴리머전지는 얇고 사이즈 변환이 용이하며 보다 고출력을 낼 수 있어서 전력저장(Energy Storage System: ESS)용이나 전기자동차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온 2차 전지는 방전과 충전을 오가면서 전지의 팽창과 수축이라는 특성이 있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리튬이온 2차 전지의 4대 구성 요소에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이 있다. 양극재는 리튬 산화물형태이며, 2차전지의 성능에서 중요한 용량과 전압을 결정하는 소재이다. 양극재에는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NCM(니켈코발트망간) 등이 있다. 음극재는 양극에서 나온 리튬 이온을 저장 및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음극재에는 흑연이 주로 사용되며, 실리콘 음극재 등 차세대 음극재도 개발 중이다. 전해액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을 돕는 매개체다. 전해액은 리튬염(주로 LiPF6), 용매, 첨가제 등으로 구성된다.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막는 역할을 한다. 분리막으로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온 2차전지의 주요 사용처는 IT 및 모바일 제품, 전동공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및 전기자동차(EV) 등의 친환경 자동차, 풍력, 태양광발전 등으로 생산한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자전거, 드론, 로봇 등으로 다양하다.
아래에서 리튬이온 2차 전지 관련 기업 주식 5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기업인지, 기업의 실적은 어떠한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태양광 발전 관련주
•풍력 발전 관련주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2차전지 관련주 5종목
종목명 종목코드 에코프로비엠 247540 솔루스첨단소재 336370 SK아이이테크놀로지 361610 솔브레인 357780 테이팩스 055490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에코프로비엠: 2차전지 관련주
리튬이온 2차 전지의 핵심 소재 중 양극재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는 기업
양극재는 전체 2차전지 소재 원가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충방전 전압 등의 배터리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 소재
주요 양극재 제품으로는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및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가 있으며, 니켈 함량 80% 이상인 하이니켈계(High Nickel)계 NCA, NCM 양극재를 전기차용으로 생산하고 있음
에코프로비엠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6년 5월 (주)에코프로의 2차 전지 소재 사업부문이 물적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충북 청원구 오창산업단지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주요 제품은 리튬 2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 및 전구체로 2021년 말 기준 월 약 6,400톤의 양극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하였으며, 수요에 대비하여 신증설을 지속하고 있음. 글로벌 NCA 양극소재 분야에서 스미모토메탈마이닝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술력 강화 및 고객 다변화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1.7% 증가, 영업이익은 130.3% 증가, 당기순이익은 84% 증가 동사의 Global Non-IT 및 EV용 양극재 판매가 증가하였고 신규 공장 가동률 향상 및 물량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이 크게 확대 헝가리에 약 1조 원을 투자하여 10만 8천 톤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계획을 수립, 2024년 하반기부터 양산이 개시될 예정.
솔루스첨단소재: 2차전지 관련주
동박/전지박 사업부문에서 전지박(전기차용 2차전지 동박)을 생산하고 있음
전지박은 2차 전지의 음극을 구성하는 동박으로 음극 집전체 역할을 수행하는 음극의 핵심 소재
주요 전지박 제품으로는 표준 전지박(BF-PLSP), 고강도/고연신 전지박(SR-PLSP), 고강도 전지박(HTS-PLSP)이 있음
솔루스첨단소재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9년 10월 (주)두산의 전지박, OLED 등 전자소재와 화장품, 의약품 등에 활용되는 바이오 소재 사업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설립되었음. 주력제품은 OLED 소재인 aETL과 2차 전지용 동박이며, aETL은 시장진입장벽이 높아 실제적으로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음. OLED 전자소재의 최대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이며, 2차전지용 전지박은 2020년 하반기 헝가리 공장을 가동함에 따라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3%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96.3% 감소 모든 사업 부문에서 매출이 증가하였으나, 높은 원가율로 인해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됨 신소재 개발, 고객 다각화 및 제품 포트폴리오 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음.
SK아이이테크놀로지: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 주요 소재인 분리막(LiBS, Lithum-ion Battery Separator)을 생산하는 기업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직접적 접촉을 차단하고 리튬이온 이동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 소재
IT기기용 분리막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내열 분리막을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음
SK아이이테크놀로지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9년 4월 SK이노베이션(주)의 소재사업 부문이 물적 분할되어 신설된 법인으로, 배터리 소재 등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은 전기차용 분리막, IT용 분리막,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파나소닉 등이 있음. 전기차 시장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Phase 2~3단계와 폴란드 Phase 1~4단계 투자 등 LiBS 생산라인을 증설 중에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71% 감소 EV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한 고내열/고강도/품질균일성을 갖춘 고품질 분리막 판매를 확대할 계획임 중국 및 폴란드에 생산라인 추가 증설 중이며, 2024년에는 총 27억㎡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되어 시장 내 지위가 더욱더 공고화 될 것으로 기대됨.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2차전지 소재 관련주
•리튬 관련주
•2차전지 장비 관련주
솔브레인: 2차 전지 관련주
2차 전지 재료인 2차 전지 전해액을 생산하는 기업
전해액은 2차 전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이온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매개체
중대형 전지용 고성능 전해액 개발하여 xEV, ESS용 전해액 개발에 활용 중이며, xEV향 이차전지용 전해액 개발, 원형 EV 배터리용 전해액 조성개발 등의 2차전지 전해액 연구개발 실적이 있음
솔브레인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20년 7월 솔브레인홀딩스에서 인적 분할되어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소재를 전문으로 사업운영 중이며, 존속기업인 솔브레인홀딩스는 지주회사로 전환. 반도체 공정용 화학재료,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 2차전지 소재 등을 주요 생산, 판매하는 바, 국내의 주요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체 등에 납품하고 있음. 주요 거래처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이며, 그 외 삼성SDI, SK이노베이션, LG화학에 2차 전지 관련 제품을 납품함.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7% 증가, 영업이익은 14.1% 증가, 당기순이익은 13.9% 증가 매출액 증가하면서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의 비용 부담 가중되었으나 외형 성장에 힘입어 영업이익 증가하였음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은 고객사의 해외 신규 공장 가동 등에 따라 안정적인 수요 증가가 발생하여 동사의 관련 제품 공급량 증가를 이끌기도 하였으나 예전 대비 경쟁사와의 경쟁강도가 심화됨.
테이팩스: 2차 전지 관련주
2차전지 및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반도체 공정에서 핵심소재로 사용되는 전자재료용 테이프를 생산하는 기업
2차전지용 테이프 제품으로는 전지성능의 유지 및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쉘권취용 테이프, 전지의 절연용 테이프, 전지 안정성 향상을 위한 양극보호용 테이프 등이 있음
테이팩스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포장용 OPP 테이프와 전자소재 테이프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6년 8월 에이치티투자목적 주식회사에 합병되었음. 전자소재용 테이프와 포장용 테이프, 식품포장용 랩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중국과 말레이시아 판매법인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식품포장용 랩 시장점유율 1위 업체로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2차전지용 테이프 및 반도체 패키징 공정용 테이프 등 지속적인 제품 개발을 통한 매출 다각화 추진 중.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3% 증가, 영업이익은 54.1% 증가, 당기순이익은 28% 증가 전방 산업 호조로 2차전지용 점착 테이프, OCA 등 주력 사업이 성장하며 외형 성장을 견인했고, 영업레버리지 효과에 따라 영업손익이 개선되었으며 순이익 규모가 증가함 전자재료 사업부는 성장성이 높은 소재사업 확장을 위해 2021년 이차전지용 신규라인을 추가로 증설함.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방위산업 관련주
•원자력 발전 관련주
2차 전지 관련주 5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11.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5종목작성일: 2022. 8. 23.
전기차 충전 관련 국내 주식 정리
전기차 충전소와 관련된 주식에는 에스트래픽, SK네트웍스, 피에스텍, 에이프로, 알티캐스트 등이 있습니다.
전기차 충전소 (출처: sscharger.co.kr)
전기차 충전기는 완속충전기, 급속충전기, 무선충전기로 나눌 수 있으며 완속충전기는 일반 개인주택에서 사용하는 비공용 완속충전기, 공용으로 사용되는 콘센트형 충전기, 태그방식충전기, 아파트에 사용되는 부분 공용 충전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과금형 콘센트 및 태그방식 충전기는 3.5KW전력으로 충전하는 저속충전기이며, 통상 64KW차량의 배터리 충전시 약 20시간이 소요됩니다. 급속충전은 50KW, 100KW, 200KW, 350KW 충전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통상 충전 형태에 따라서 충전기를 설치를 하는데 위락시설, 유통시설에는 50KW 또는 100KW 충전기 가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휴게소, 회전이 빠른 주유소 등에는 200KW, 350KW 충전기 를 설치, 운영합니다.
아래에서 전기차 충전 관련 기업 주식 5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기업인지, 기업의 실적은 어떠한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태양광 발전 관련주
•원자력 발전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전기차 충전 관련주 5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에스트래픽: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브랜드 'SSCharger'로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구축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1년말 기준 초급속충전기 5대, 급속충전기 817대 및 1,536기의 완속충전기를 구축 운영 중
전기차 충전사업부를 물적 분할해 SK네트웍스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합작법인을 설립할 예정
에스트래픽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3년 삼성SDS의 교통인프라 사업을 양수하여 설립된 교통솔루션 기업으로 교통 관련 SI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 사업은 도로사업(요금징수시스템, Hi-Pass 시스템, Smart Tolling), 철도사업(철도신호, 철도통신)에 관련된 사업으로 구분됨. 2005년까지 국내 고속도로 요금징수시스템을 독점 공급하였으며, 현재 고속도로 요금징수시스템 시장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1% 증가, 영업손실은 79.8% 감소, 당기순손실은 64.3% 감소 동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매출원가의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영업손실 발생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에 맞추어 하위 계획인 건설계획과 관리계획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동사가 사업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SK네트웍스: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현대차와 전기차 충전소 조성을 위한 MOU 계약 체결 및 2021년 1월 현대차와 함께 국내 최초 전기차 전용 충전소 '길동 채움'을 오픈하였음
전기차 완속 충전기 운영기업 ‘에버온’ 2대 주주(지분 15.00%)
에스트래픽과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에 진출할 예정
SK네트웍스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1953년 창립하여 직물 분야로 출발한 후 국내외 네트워크 거점, 우량 거래선, 물류능력 등 경쟁력을 바탕으로 정보통신 유통사업, Trading사업을 영위함. 또한 렌터카, 자동차 경정비 등의 Car-Life 사업, 환경가전 렌털 및 주방가전 중심의 SK매직 등의 성장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정보통신부문은 국내 1위 Mobile Device 유통 사업자로서 휴대폰, 태블릿, Wearable Device 등 ICT Device의 도매 유통을 중심으로 판매함. 기업실적
렌탈 자회사의 견조한 실적과 코로나19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호텔 손실 감소에 힘입어 2022년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3.9% 증가함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으로 정보통신 단말기 매출이 줄면서 매출은 9.2% 감소함 SK렌터카는 중고차 매각익 증가와 제주 중심의 국내여행 수요증가 효과로 인해, SK매직은 ‘올클린 공기청정기’, ‘트리플케어 식기세척기’와 같은 인기 제품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며 높은 실적 증가세를 보임.
피에스텍: 전기차 충전 관련주
전기차용 고속충전기, 가정용 충전기 등을 생산하는 계량•계측 관련 전력기기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2018년부터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시작하여 2019년 약45억, 2020년 약80억의 매출을 달성하였음
피에스텍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1957년 12월에 설립되어 전기미터 제조 및 판매업, 자동차전장품 제조 및 판매업, 금융투자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사업으로는 전력기기 부문과 자동차부품 부문으로 구성되며, 종속기업으로는 전기/태양광발전 사업을 영위하는 피에스파워(주)가 있음. AMR System화한 중앙검침시스템, Digital EM, Digital TS, 가스미터, 수도미터, 온수미터, 열량계, 금형카운터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사업 정책 전환 중. 기업실적
2022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8.3% 감소 내수침체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적극적인 신규 수주, 지속적인 기술축적을 통한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 중임 제품별 수익성을 분석하여 저수익 비효율 제품은 퇴출 또는 아웃 소싱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생산성 향상, 영업이익률 극대화에 집중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폐배터리 관련주
•2차전지 장비 관련주
•이차전지 소재 관련주
에이프로: 전기차 충전 관련주
전기차 급속충전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2차전지 배터리 장비 업체
전기자동차 전장품, 충전기 제조 및 판매업과 충전 인프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자회사 그린볼트(지분율 100%)에서 급속 충전관련 신규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에이프로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2000년 설립되어 2차전지 생산장비 및 S.M.P.S 등의 산업용 Power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은 2차전지 활성화 공정 설비인 일반 충방전기, 고온 가압 충방전기, 테스트 장비이며, 주요 고객사는 LG에너지솔루션임. 국내에서 유일하게 2차전지 활성화 공정 전체를 턴키 방식으로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3%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감소와 함께 미국 시장 진입 초기 설비 사양 변경 등에 따른 단기적 원가 상승으로 이익률이 감소함 주요 수출 목표 시장은 중국 및 유럽, 미국 시장이며, 2020년부터 현지 법인 설립(중국, 폴란드)을 통해 사업 활성화, 2021년 중 미국법인 설립을 추진하였음.
알티캐스트: 전기차 충전 관련주
전기차 과금형 콘센트 개발 및 전기차 충전 과금•고객 관리•로밍 결제 정산 플랫폼을 영업하는 차지인 지분 15.73%을 보유하고 있음
알티캐스트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디지털방송산업을 전방산업으로 디지털방송용 소프트웨어, 방송용 보안솔루션인 CAS 등을 개발 및 공급함. 주요 고객으로 국내 위성방송, IPTV, 케이블방송 및 북미와 유럽, 대만 등 방송사업자들을 확보하고 있음. 2020년 MSP(Mobility Service Platform) 개발을 완료하여 상용화하였으며, 글로벌 SO사업자를 대상으로 플랫폼 공급에 주력할 계획임.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2% 감소, 영업손실은 31.6% 감소, 당기순손실은 375.8% 증가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큰 폭의 매출액 감소와 상대적으로 소폭의 원가 및 비용의 감소로 인하여 영업손실이 감소함 동사는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 및 고부가가치가 있는 데이터 기반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하여 방송사업자의 니즈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선박엔진 관련주
•방위산업 관련주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5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10. ESS 관련주 6종목작성일: 2022. 8. 24.
ESS 관련 국내 주식 정리
에너지저장장치(ESS)와 관련된 주식에는 SK디앤디, 세방전지, LS ELECTRIC, 와이엠텍, 비나텍, 신성델타테크 등이 있습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출처: skdnd.com)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는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전력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ESS는 에너지 저장을 위한 배터리(Battery),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전력변환 시스템(PCS),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등으로 구성됩니다.
ESS는 에너지의 저장 형태에 따라 화학적 방식(배터리, 전지), 전기적 방식(슈퍼커패시터) 등의 방식으로 분류되며, 전지를 이용하는 방식의 ESS는 납축전지와 리튬이온배터리를 적절한 비율로 구성하여 제작하면 ESS의 경제성 및 효율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 기업 주식 6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기업인지, 기업의 실적은 어떠한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태양광 발전 관련주
•풍력 발전 관련주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SK디앤디: ESS 관련주
ESS 설비 설치, 운영, 전력절감서비스 제공하는 ESS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약 30개 고객사에 800MWh 규모의 ESS설비를 운영 중
ESS를 활용하여 전기요금이 낮은 경부하 시간대에 충전하고, 요금이 높은 최대부하 시간대에 방전하여 산업용 고객의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음
SK디앤디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부동산 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설립되어 현재 부동산 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 사업을 영위 중임. 2006년 부동산 개발 사업을 추진하여 오피스 파로스타워의 매각을 시작으로 수송동, 울산, 해운대 등의 비즈니스호텔과 창원, 수원 등의 버짓호텔을 개발함.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개발에서 운영까지 전 단계를 진행하는 개발운영사업 및 리스크가 적은 EPC사업, M&A 등 외부 발전소 매입 등을 통해 운영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 감소, 영업이익은 66.9% 증가 부동산 개발, 에너지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15년 상장한 이후 작년까지 연평균 23%의 매출 성장률과 37%의 지배주주 순이익 성장률을 기록 동사는 영국계 신재생에너지 투자사인 글렌몬트파트너스(Glennmont Partners)와 국내 태양광 공동 투자 업무협약 체결하였음 동사는 태양광 발전 자원의 개발, 매입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음
세방전지: ESS 관련주
차량용 및 산업용 연축전지(납축전지) 등을 제조ㆍ판매하는 회사
태양광 발전소와 ESS, BMS 등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납축전지를 생산하고 있음
세방전지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1952년 9월 자동차용 및 산업용 축전지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87년 11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산업용, 차량용, 이륜용 축전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미주/대양주,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국내 축전지 업계는 세방전지, 현대성우쏠라이트, 아트라스비엑스, 델코 등 4대 메이커가 시장을 과점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6% 증가, 영업이익은 26.4% 감소, 당기순이익은 43.5% 감소 매출액은 차량용 축전지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356,426백만 원이며, 영업이익은 판매 가격 및 원자재 가격 변동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4% 감소한 21,293백만 원을 기록 축전지 업체에서 동사를 포함한 4대 MAKER가 29,504억원으로 98%을 점유하고 있는 과점체제임.
LS ELECTRIC: ESS 관련주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위한 EPC 사업과 ESS 관련 시스템 구축 EPC 사업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전기자동차, 전기차 충전기, ESS 등에서 전력제어용으로 사용되는 EV Relay도 생산하고 있음
LS ELECTRIC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1974년 7월에 설립되어 전기, 전자, 계측, 정보 및 자동화기기의 제조, 판매 및 유지보수를 주요 목적사업으로 영위 중임. 동사의 사업부문은 전력 송배전 관련 전력부문, 산업자동화 및 에너지 절약 관련 자동화 부문, 금속부문으로 구성됨. 전력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2009년부터 한국전력공사 등과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술 국산화에 협력하며 HVDC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8% 증가, 영업이익은 73.7% 증가, 당기순이익은 119.1% 증가 CRM 및 특약점 정보를 활용한 END-USER 집중 공략 및 PACKAGE 영업을 강화, 중국 및 동남아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중동 및 북미시장 적극 공략함 생산기종 확대와 더불어 조기 현지화가 이루어지도록 적극 추진하며, 전사적으로 컨버전스 가능한 사업모델을 발굴하여 사업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음.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폐배터리 관련주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 장비 관련주
와이엠텍: ESS 관련주
저전압부터 고전압까지 직류 전력제어용 릴레이를 생산하는 기업
주력 제품으로는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전기자동차, 전기차 충전기, 태양광 인버터 등에 적용되는 직류 고전압 EV Relay가 있음
와이엠텍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4년 8월 설립되어, 파워릴레이를 비롯하여 래치릴레이, 래치콘텍타 스위치, DC콘덱타 릴레이 등 특수분야 릴레이를 개발 생산하는 업체임. 가스절연 기밀 기술, 양방향 아크 차단 기술, 피드백 접점을 통한 주접정 감시 기술과 대용량 제품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EV 릴레이 국산화에 성공하였음. 국내 3대 배터리 제조업체를 비롯하여 국내외 주요 ESS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음에 따라 안정적인 매출처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0.3% 증가, 영업이익은 65.2% 증가, 당기순이익은 72.2% 증가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60.3% 증가하며 원가 또한 상승.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 또한 증가, 판관비는 소폭 감소 비용 증가폭을 매출액 증가폭이 상쇄하며 영업이익 개선. 주요 매출처인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및 시그넷이브이 등으로 안정적 매출 창출원.
비나텍: ESS 관련주
주 전원이 끊어졌을 때, 보조로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로 사용되는 슈퍼커패시터를 생산하는 기업
주요 제품으로는 고용량을 요구하는 ESS용 Snap In type 슈퍼커패시터가 있음
비나텍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초고용량 커패시터 제조업체로, 이는 에너지를 저장한 뒤 필요할 때 순간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일종의 에너지 저장장치임. 휴대폰, 오디오 등 생활가전 및 각종 전자기기, 태양열을 비롯한 에너지 발전시스템, 산업용 로봇,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됨. 초고용량 커패시터 제조와 관련하여 전극 공정, 권취 및 조립공정, Aging & 선별공정, 모듈 공정에 따른 기술력과 다수의 특허 및 PCT를 등록하였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8% 증가, 영업이익은 23% 증가, 당기순이익은 13.4% 감소 2019년부터 국내 자동차 제조사의 내장형 블랙박스(Built-in cam)에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되기 시작해 국내 블랙박스의 9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음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사물인터넷 영역의 성장으로 슈퍼커패시터 시장도 급성장 중이며, 시장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여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고 있음.
신성델타테크: ESS 관련주
배터리 셀을 보호해주는 셀 카트리지, 셀 사이에서 방열 기능을 하는 리프팅 프레임과 방열판, 부스바 등 전기차 및 ESS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생산하고 있음
신성델타테크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1987년 11월 설립되어 가정용 전자부품, PLASTIC성형품 및 Notebook용 TFT-LCD부품 제조 등을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주요 사업별로는 HA(생활가전), BA(2차전지 및 자동차 부품), SVC/B2C(물류 및 유아용 전동차) 사업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신흥글로벌(주) 인수를 통한 물류사업 확대와 유아용 자동차인 (주)헤네스 합병에 따른 B2C 사업 진출, 2차전지 사업 진출 등 성장동력 강화 중.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 증가, 영업이익은 26.8% 감소, 당기순이익은 4.3%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매출원가가 더 상승하면서 이익률 하락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함 동사는 BA사업부문의 설비 및 공장의 투자를 통하여 생산 Capa 확대 및 신규 ITEM 수주, 신규 고객사 발굴 등 해외시장개척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임.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원자력 발전소 관련주
•방위산업 관련주
ESS 관련주 6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9. 폐배터리 관련주 7종목작성일: 2022. 8. 29.
폐배터리 관련 국내 주식 정리
폐배터리 관련주에는 새빗켐, 성일하이텍, 파워로직스, 하나기술, 인선이엔티, 웰크론한텍, 영화테크 등이 있습니다.
폐배터리는 성능이 떨어져 수명을 다한 전기차의 2차전지를 말합니다. 빨라지는 전기차 보급속도에 비례해 전기차 폐배터리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은 평균 7~10년 정도이며,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인 2018년부터 폐배터리가 배출되기 시작했습니다.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1,000회 이상 충방전 시 용량 및 성능이 초기 대비 20%~30%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전기차의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가 300~400km임을 감안하면 30~40만km 주행 후에는 배터리 성능이 80%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배터리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 주행거리 감소, 충전 속도 저하 및 안전성 위험 증가 등 운행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배터리를 교체하게 됩니다.
폐배터리는 재활용되어 2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 등을 추출하거나, ESS(에너지저장장치) 등에 설치해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 기업 주식 7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기업인지, 기업의 실적은 어떠한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원자력 발전 관련주
•태양광 발전 관련주
•풍력 발전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7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새빗켐: 폐배터리 관련주
폐배터리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ㆍ분리해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료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폐전지 및 폐산 재활용 전문 기업
주요 제품으로는 폐전지, 양극재 공정불량품 등에서 추출한 NCM복합액(니켈코발트망간 황산복합액), 탄산리튬, 인산리튬이 있음
새빗켐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폐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ㆍ분리하여 전기차에 적용되는 리튬 이차전지의 부원료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크게 폐전지 재활용 사업과 폐산 재활용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음 2022년 6월 국내 대형 배터리 소재 회사 2개 사가 리사이클 원료 공급을 위해 설립한 합작법인과 리사이클 원료 및 전구체 복합액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기업실적
동사가 개발하고 있는 리튬 추출 공정 개발이 완료되어 국내 생산이 현실화되면 리튬을 중국 등에서 100% 수입해 양극재를 생산하던 국내 2차 전지 산업의 경쟁력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됨 신규사업으로 폐배터리를 분쇄하여 배터리 내 원소재를 추출하는 폐배터리 Recycling 사업 준비 중 전기자동차 시장의 빠른 성장으로 인하여 제품 수명이 만료된 폐배터리 제품 수량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성일하이텍: 폐배터리 관련주
배터리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스크랩과 폐배터리 등에서 유가금속을 추출하여 양극재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
황산코발트, 황산니켈, 황산망간 및 탄산리튬의 형태로 2차전지 양극재의 소재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음
성일하이텍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황산코발트, 황산니켈, 황산망간 및 탄산리튬의 형태로 양극재의 기초가 되는 소재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음 폐배터리 원료 확보를 위해 2014년부터 말레이시아, 중국, 헝가리(1, 2공장), 인도, 폴란드에 법인 및 공장을 설립하였고 미국, 독일, 스페인 등의 해외법인을 준비하고 있음 지속적으로 해외법인을 확대함에 따라 이를 처리하는 하이드로센터의 규모도 확대하게 되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1.7% 증가, 영업이익은 152.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008년부터 2차 전지 리사이클링 사업을 시작하여 구축한 경험과 선점에 따른 기술적, 관리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앞서 나가고 있음 국내 시장은 한계가 있으므로 일찍이 해외에 진출(말레이시아, 중국, 인도, 헝가리, 폴란드 등)하여 원료의 수급 안정화를 구축하였으며, 추가적인 원료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함.
파워로직스: 폐배터리 관련주
2차전지용 보호회로 및 중대형 배터리팩, 전장용 카메라모듈을 제조하는 기업
전기차의 폐배터리를 ESS(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로 재사용(Re-use)하는 사업과 EV용 배터리팩으로 제조하는 사업 등 친환경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파워로직스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휴대폰용 배터리 보호회로(PCM)와 노트북 배터리용 스마트 모듈(SM) 및 카메라모듈(CM)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용 BMS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 중임. 중국 및 베트남 소재의 생산법인과 이앤에프블루워터사모투자, 탑머티리얼즈, 엔코, 티앤에스, 성은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스마트 모듈은 주로 삼성SDI, LG화학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카메라모듈은 삼성전자 등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7% 증가, 영업손실은 10.3% 증가, 당기순손실은 159.8% 증가 핵심 전방산업인 스마트폰 시장의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으며 개발비 부담 및 높은 고정비로 손실 지속 전기차 시장의 본격적인 개화로 리튬이온 이차전지(LIB)에 대한 시장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년간의 시험 및 인증 절차, 대규모 설비투자가 수반되어 사간이 소요됨.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2차전지 관련주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ESS 관련주
하나기술: 폐배터리 관련주
2차전지 제조 공정 중 조립공정, 화성공정, Pack 조립공정의 장비 및 검사장비를 제작 업체
폐배터리의 재사용 및 재활용 프로세스에서의 배터리 성능검사에 사용되는 폐배터리 검사장비의 개발을 완료하였음
하나기술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차전지 자동화 설비 제조와 판매를 목적으로 2003년 설립된 2차 전지 장비 기업 으로 2차 전지 조립-활성화-Pack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공급하고 있음. 원형, 각형 및 파우치형 등 전 외형별 전지 설비 공급이 가능한 기업이며, 주요 고객사로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이 있음. 2020년 10월 폭스바겐 협력사로 선정되었으며, 2021년 폐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에 필요한 장비 공급을 추진할 계획으로 주요 장비 개발을 완료한 상황임.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1% 증가, 영업손실은 97.1% 감소, 당기순이익은 50.9% 증가 2021년 내에 극판 공정의 핵심장비를 추가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양산 Full-Line 장비 제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 동사는 이차전지 장비 분야의 사업 고도화에 집중하는 한편 지속적인 기업성장을 위해 재생배터리 장비 사업과 디스플레이 가공 장비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음.
인선이엔티: 폐배터리 관련주
건설 폐기물 및 일반폐기물 처리, 구조물 해체, 폐기물 수집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폐기물 종합처리업체
자회사 인선모터스(지분율 100%)가 폐배터리를 회수, 운반, 보관, 분류 사업을 영위 하며, 관계사를 통해 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 등의 금속을 재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음
인선이엔티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폐자동차 재활용 사업을 영위하는 인선모터스를 주요 연결 종속회사로 두고 폐기물 수집, 운반, 중간처리 및 재활용 등 환경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코스닥시장 상장업체임. 주력사업 부문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사업(수집, 운반 포함)으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분야에서 매출과 중간 처리량 기준 1위의 시장 내 지위 확보.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비계구조물 해체에서부터 건설폐기물의 수집, 운반 및 중간처리, 순환골재 생산, 폐기물의 최종 처리(매립)까지 폐기물 일괄처리 기술 및 특허를 보유.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 증가, 영업이익은 8% 감소, 당기순이익은 1.8%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면서 매출원가와 판관비가 증가함. 이익률 악화로 영업이익이 감소함 환경부의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소재 지역(경상남도)의 매립업체는 3곳이며, 동사의 사천 매립장이 가장 많은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음.
웰크론한텍: 폐배터리 관련주
폐배터리 스크랩을 파쇄하여 나온 부산물로부터 고순도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2차전지 양극재 소재를 결정화하여 회수하는 설비인 양극재 소재 결정화 설비를 제조 하고 있음
양극재 소재 결정화 설비는 포스코HY클린메탈이 광양 율촌산업단지 내에 구축하는 폐배터리(LiB) 리싸이클링 공장에 공급한 이력이 있음
웰크론한텍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환경 분야 플랜트 제조업 및 플랜트 건설업을 영위하며, 에너지 절감 산업설비, 식품제약설비, 환경설비, 해수담수설비 등을 공급함. 플랜트 설비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홍콩, 중국법인, 설계/감리 및 CM 업체인 동원건축사사무소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 동사는 2012년 종합 EPC사를 목표로 플랜트 건설업에 진출하였으며, 의약품 및 반도체 연구시설 등을 수주하며 사업영역 확대 중에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플랜트 부문 매출은 10,731백만 원(19.2%), 건설부문 매출은 45,033백만 원(80.5%), 기타 매출은 193백만 원(0.3%) 임 응용 기술을 개발 및 적용하여 국내외 신시장을 끊임없이 개척하고 글로벌 영업 엔지니어 인력 확보 및 육성, 원가 슬림화, 마케팅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R&D 등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영화테크: 폐배터리 관련주
전기차의 폐배터리를 산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ESS)로 재사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영화테크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0년 8월 전자부품, 자동차 부품, 전기자동차/하이브리드 부품 등의 연구, 개발,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음. 주요 생산 제품은 전장부품인 정션박스로 대부분의 매출이 정션박스를 통해 발생하고 있으며 전기차부품 부문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2010년 북미, 2013년 중국 선양, 2016년 중국 우시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글로벌 공급망을 확대하고 있으며, 2019년 인도 신규투자를 통해 종속기업으로 편입됨.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 증가, 영업손실은 25% 감소, 당기순이익은 74.4% 증가 매출액 소폭 증가하면서 매출원가 또한 증가. 판관비는 소폭 감소하였고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는 증가하였음 영업이익 적자 기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타 수익을 통해 당기순이익은 다소 증가하였음.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조선기자재 관련주
•방위산업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7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8. 전기차 관련주 7종목작성일: 2022. 9. 3.
전기차 관련 국내 주식 정리
전기차 관련주에는 와이엠텍, LS ELECTRIC, 뉴인텍, 이지트로닉스, 한국단자, 한온시스템, 성창오토텍 등이 있습니다.
현대 아이오닉 5 (출처: hyundai.com)
전기차의 종류에는 순수 전기차, 하이브리드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기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와 전기 모터로 추진력을 얻는 자동차로 내연기관이 없이 순수하게 배터리와 전기 모터로 가동하는 자동차입니다.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는 내연기관 엔진과 전기 모터 두 가지의 구동장치를 동시에 탑재한 차량으로 주행 중 자체 발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므로 충전소가 필요 없고, 연비가 우수한 장점이 있습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는 전기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배터리를 충전한 뒤 배터리로 모터를 구동해 달리다가, 전기가 떨어지는 시점에 내연기관 엔진을 구동하는 전기차로 50km~60km 정도의 단거리는 배터리로 운행하고, 장거리 운행은 내연기관 주행이 가능한 전기차입니다.
아래에서 전기차 관련 주식 7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풍력 발전 관련주
•원자력 발전 관련주
•태양광 발전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전기차 관련주 7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와이엠텍: 전기차 관련주
전기자동차, 전기차 충전기 등에 적용되는 직류 고전압 EV Relay를 제조 하는 기업
전동차, 정류기, 조명제어 등에 활용되는 DC Relay 및 Latch Relay도 공급하고 있음
매출 구성은 EV Relay 97.19%, DC Relay 등 2.79%, 기타 0.02%
와이엠텍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4년 8월 설립되어, 파워릴레이를 비롯하여 래치릴레이, 래치콘텍타 스위치, DC콘덱타 릴레이 등 특수분야 릴레이를 개발 생산하는 업체임. 가스절연 기밀 기술, 양방향 아크 차단 기술, 피드백 접점을 통한 주접정 감시 기술과 대용량 제품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EV릴레이 국산화에 성공하였음. 국내 3대 배터리 제조업체를 비롯하여 국내외 주요 ESS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음에 따라 안정적인 매출처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0.3% 증가, 영업이익은 65.2% 증가, 당기순이익은 72.2% 증가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60.3% 증가하며 원가 또한 상승.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 또한 증가, 판관비는 소폭 감소 비용 증가폭을 매출액 증가폭이 상쇄하며 영업이익 개선. 주요 매출처인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및 시그넷이브이 등으로 안정적 매출 창출원.
LS ELECTRIC: 전기차 관련주
자회사 LS 이모빌리티솔루션(지분율 100%)에서 전기차 필수 부품인 EV Relay를 생산하고 있음
EV Relay는 전기차의 배터리와 인버터 사이에 장착되어 BMS의 지령을 받아 배터리 전원을 ON/OFF 하는 역할과 배터리와 외부 충전기 사이에 장착되어 충전을 ON/OFF 하는 역할을 하는 전기차 부품
매출 구성은 전력 76.0% 자동화 19.0%, 금속 17.6%, IT 2.2%
LS ELECTRIC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1974년 7월에 설립되어 전기, 전자, 계측, 정보 및 자동화기기의 제조, 판매 및 유지보수를 주요 목적사업으로 영위 중임. 동사의 사업부문은 전력 송배전 관련 전력부문, 산업자동화 및 에너지 절약 관련 자동화 부문, 금속부문으로 구성됨. 전력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2009년부터 한국전력공사 등과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술 국산화에 협력하며 HVDC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8% 증가, 영업이익은 73.7% 증가, 당기순이익은 119.1% 증가 CRM 및 특약점 정보를 활용한 END-USER 집중 공략 및 PACKAGE 영업을 강화, 중국 및 동남아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중동 및 북미시장 적극 공략함 생산기종 확대와 더불어 조기 현지화가 이루어지도록 적극 추진하며, 전사적으로 컨버전스 가능한 사업모델을 발굴하여 사업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음.
뉴인텍: 전기차 관련주
커패시터 및 증착필름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차 등의 친환경 자동차용 커패시터를 생산하고 있으며, 아이오닉 5, EV 6 등의 전기차, K5하이브리드, 그랜져하이브리드차종 및 아이오닉 일렉트릭, 수소연료전지차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매출 구성은 금속증착필름 46.98%, AC용 커패시터 12.31%, 자동차용 및 태양광용 등의 커패시터 35.53%
뉴인텍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콘덴서 및 금속증착필름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충남 아산시 음봉면 음봉면로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전기기기용 콘덴서는 국내외 가전업체에 공급하며, 저압 진상용 콘덴서는 내수 위주로 판매함. 금속증착필름은 콘덴서 업체들에 판매하고, 친환경자동차용 콘덴서는 현대모비스에 납품함. 중국 소재의 콘덴서 제조업체인 극광전기소주유한공사와 증착필름 제조업체인 동관뉴영전자과기유한공사 등을 종속법인으로 운영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 증가, 영업이익은 211% 감소, 당기순손실 178% 감소 소폭의 외형 성장 달성하였으나 비용 증가로 인한 영업이익 큰 폭으로 축소 글로벌적으로 친환경 산업 대두되면서 동사의 주력 시장 또한 전기차와 같은 미래형 자동차로 변모 중임. 이에 관련 시장 진입 가속화하면서 해당 시장 매출 점진 증가하는 상황임.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수소차 관련주
이지트로닉스: 전기차 관련주
인버터와 컨버터 등의 전력변환 부품을 주로 개발•제조하는 회사
전기차/수소차용 DC/DC 컨버터, 제동용모터 제어용 인버터, 구동모터 제어용 인버터, 탑재형 충전기(OBC) 등을 생산하고 있음
매출 구성은 EV 24.75%, 통신 43.10%, 방산 30.70%, 기타 1.45%
이지트로닉스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8년 11월 설립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 제어하는 장치인 전력 변환장치 제조사업을 영위 중에 있음. 전력 변환 제품의 응용분야인 전기/수소자동차, 통신, 방산, 의료분야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군에 접목되어 다양한 사양의 제품들을 상용화함.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방산 소형 전술형 통신차량과 5G 통신장비용 제품을 국내외 완성차업체, 통신업체와 국방부에 납품함.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2.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원재료 단가는 지속적으로 가격 상승 추세에 있음. 그러나 매출 자체가 감소하면서 매출원가 또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였음 동사는 친환경 자동차 전력 변환장치 부품 개발 등을 통해 실적을 개선하고자 함.
한국단자: 전기차 관련주
자동차, 전자 및 전기, 전장모듈의 제조에 사용되는 커넥터 등의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xEV용 충전 인렛, 고전압 커넥터, 고전압 퓨즈, BDU(PRA), ICB, EPR 등을 생산하고 있음
매출 구성은 자동차용 커넥터, 전자모듈 등 86.2%, 전자용 커넥터 등 10.0%, 기타 28.1%, 내부매출 조정 -24.4%
한국단자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1973년 4월 설립되어 자동차, 전자 및 전기, 전장 모듈 및 무선 모듈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커넥터와 자동차 부품, 전장 모듈부품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국내 완성차 업체들에 납품하는 전장부품 1차 벤더들과 가전업체인 삼성전자, LG전자 등에 커넥터를 납품하고 있음. 신규 사업으로 하이브리드카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친환경 차량용 모듈부품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4% 증가, 영업이익은 77.2% 감소, 당기순이익은 67.2% 감소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매출 원가에서 큰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하였음 동사는 품질경쟁력을 기반으로 친환경 자동차에 적용되는 미래기술 전동화 부품을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글로벌 완성차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 생산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음.
한온시스템: 전기차 관련주
전기차용 온도관리시스템, 냉각수가열식히터, 히트펌프시스템, 쿨링팬모터 등을 생산하는 자동차용 공조시스템(HVAC) 제조사
전기차 관련 주요 연구개발 실적으로는 전기차 주행거리를 향상시키는 전장폐열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Heat Pump System, 장거리 주행 전기차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 전기자동차용 단방향 히트펌프 열관리 시스템 등이 있음
한온시스템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라디에이터, 냉난방기, 공기조절장치 등 자동차용 공조 부품을 OEM 생산하여 현대/기아차, GM, 폭스바겐 등 국내외 완성차 업체에 납품함. 양호한 기술력과 안정적 매출처 확보로 국내 자동차용 공조 제품 시장에서 약 48% 정도의 점유율로 1위를, 글로벌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음. 대전광역시에 본사 및 공장, 평택공장, 울산공장 등을 두고 있으며, 중국, 북미, 유럽, 아시아 등에 다수의 종속기업을 둔 글로벌 열 관리 솔루션 업체임.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9% 증가, 영업이익은 67.6% 감소, 당기순이익은 66.5% 감소 매출액이 증가했으나, 매출원가와 판매비와 관리비 증가분이 더욱 크게 나타나 수익성이 악화, 영업이익이 감소함 환경친화적 소재 및 차세대 연료 대응 기술 등 미래형 공조 시스템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친환경 기술개발과 탄소절감을 위한 녹색성장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음.
성창오토텍: 전기차 관련주
자동차용 부품을 개발하고 제조, 공급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은 자동차용 공조시스템 관련 제품 및 전기전장부품
자동차 에어컨 핵심부품인 전동 콤프레셔에 장착되는 인버터를 생산하고 있으며, 친환경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음
매출 구성은 사출 39.7%, 인버터 33.9%, 에어필터 12.5%, 전장류 4.5%, 기타 9.3%
성창오토텍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OEM 납품 방식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로, 경기도 안성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으며, 중국 2개와 미국 1개의 생산법인을 운영하고 있음. 본사는 에어필터, 인버터, 클러스터 이오나이저를, 미국법인은 공조부품과 의장 사출류를, 중국법인은 에어필터, 클러스터 이오나이저, 공조 사출류를 주로 생산함. 주요 매출처는 한온시스템, 현대모비스, 한국델파이 등 1차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며,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기아 등 완성차 업체들로 납품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증가, 영업이익은 38.7% 증가, 당기순이익은 10.2% 감소 국내 친환경차량부품 증가 및 해외(미국)SUV 차량부품 매출 증가함. 고정비 동반 상승에도 영업이익은 증가세를 유지함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확대로 인한 고객의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전기 전장 부품의 연구개발 및 인버터 제품 매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함.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자율주행 관련주
•2차전지 관련주
전기차 관련주 7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7.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주 6종목작성일: 2022. 9. 3.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국내 주식 정리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주에는 포스코케미칼, 후성, 켐트로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이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리 (출처: newsroom.posco.com)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염 전해질을 사용하는 2차전지로,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극 물질과 음극 물질 사이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입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 배터리 원가의 약 35%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소재로, 양극재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전압이 결정되므로 배터리 성능을 결정하는 소재입니다. 양극재에 사용되는 양극활물질은 리튬과 금속 원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금속 원소는 에너지밀도를 결정하는 니켈(Ni), 안정성을 높이는 코발트(Co)와 망간(Mn), 출력을 향상시키는 알루미늄(Al)이 있습니다.
음극재는 충전속도와 수명을 결정하는 소재로, 리튬이온과 전자를 저장하였다가 방전 시에 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음극재의 재료로는 주로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을 사용하며, 실리콘 음극재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해액은 리튬이온이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액체상태의 물질로 용매, 리튬염,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리막은 양극재와 음극재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소재입니다.
아래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주식 6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태양광 발전 관련주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포스코케미칼: 배터리 관련주
흑연계 음극재 및 Hi-Ni계 양극재를 생산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생산기업
양극재 제품으로는 NCM-6x (니켈 약 60%, 코발트, 망간 조성), NCM-8x (니켈 약 80%, 코발트, 망간 조성), NCMA (니켈 약 80%, 코발트, 망간 조성 / 알루미늄 첨가) 등이 있음
음극재 제품으로는 천연흑연 음극재, 코크스를 원료로 제조한 인조흑연 음극재 등을 생산중이며, 실리콘 음극재와 리튬메탈 음극재도 연구개발 중에 있음
포스코케미칼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포스코그룹 계열의 종합 내화물 업체로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 재정비 사업과 생석회, 음극재, 화성품 가공, 화성공장 위탁 운영 등의 라임케미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내화물(제조 및 공사)과 생석회는 모기업인 포스코의 철강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로 주 거래처인 포스코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2차 전지 소재 사업의 비중이 확대되는 가운데 OCI와의 합작을 통해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공장을 2022년 경에 완공할 예정으로 사업영역 다각화 중.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2% 증가, 영업이익은 25.2% 감소, 당기순이익은 9.3% 감소 에너지 부문을 필두로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나,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영업수익성은 비교적 크게 하락한 모습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후성: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주
냉매가스, 반도체용 특수가스, 리튬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및 첨가제 등을 생산하는 기업
리튬이온 배터리 및 리튬 폴리머 배터리용 전해질 LiPF6, 첨가제 LiPO2F2, 첨가제 LiBF4 등을 생산하고 있음
후성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6년 11월에 화학, 신소재와 자동차 보조매트 부문의 사업영역 전문화를 목적으로 퍼스텍(주)으로부터 인적 분할하여 설립, 불소를 기반으로 한 기초화합물의 제조, 판매업 영위. 불소화합물뿐만 아니라 냉매가스와 반도체 특수가스 및 2차전지 전해질 소재 등에서 국내 유일의 제조사이거나 독보적인 지위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는 중국 현지법인인 소주후성화공유한공사, 후성과기(남통)유한공사, 후성신재료(남통)유한공사, 후성폴란드유한회사 등을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0.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차 전지 전해질 및 반도체용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국내 유일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조업체로서 오랜 노하우와 높은 기술력을 통해 국내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글로벌 점유율 또한 높여가고 있음 끊임없는 연구 개발로 후속 대체 냉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대체 냉매 시장을 선도하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고 있음.
켐트로스: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주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 와 반도체 공정, 디스플레이, OLED, 의약품 및 산업용 특수 접착 소재를 제조 및 판매 하는 기업
리튬이온의 이동 및 안정성을 확보하고 충전 용량 유지, 과충전 방지, 난연성 확보, 수명 및 안정성을 개선하는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음
켐트로스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IT소재, 의약소재 및 폴리머 소재 등 정밀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2017년 9월 케이프이에스스팩과 합병하여 동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주요 제품은 전해액 첨가제, 광개시제 등 IT소재와 원료의약품 및 의약 중간체 등 의약소재, 건축용, 광학용, 스피커용 등의 폴리머 소재 등이 있음. DRAM 생산용 핵심 재료인 지르코늄계 프리커서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유기리간드 양산 공정에 성공하여 본격적인 물량 공급 중임.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6.6% 증가, 영업이익은 30% 감소, 당기순이익은 24% 감소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증가했으나 원재료비 및 판관비의 상승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감소하였음 스마트폰의 약 7000배, 노트북의 약 700배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하는 EV의 확산은 동사의 사업영역인 2차 전지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됨.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전기차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SK아이이테크놀로지: 배터리 관련주
리튬이온 배터리용 분리막 (LiBS, Lithium-ion Battery Separator)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회사
IT기기 배터리용 분리막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내열 분리막을 개발하여 생산 중
주요 제품으로는 Base Film Separator, Ceramic Coated Separator 등이 있음
SK아이이테크놀로지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9년 4월 SK이노베이션(주)의 소재사업 부문이 물적 분할되어 신설된 법인으로, 배터리 소재 등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은 전기차용 분리박, IT용 분리박,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파나소닉 등이 있음. 전기차 시장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Phase 2~3단계와 폴란드 Phase 1~4단계 투자 등 LiBS 생산라인을 증설 중에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71% 감소 EV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한 고내열/고강도/품질균일성을 갖춘 고품질 분리막 판매를 확대할 계획임 중국 및 폴란드에 생산라인 추가 증설 중이며, 2024년에는 총 27억㎡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되어 시장 내 지위가 더욱더 공고화 될 것으로 기대됨.
에코프로비엠: 배터리 관련주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 중 NCA 및 NCM 양극재 및 전구체 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는 기업
코발트 대비 니켈 함량을 높여 니켈 함량이 80% 이상이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양극소재인 하이니켈(High Nickel)계 삼원계 양극활물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음
에코프로비엠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6년 5월 (주)에코프로의 2차전지 소재 사업부문이 물적 분할 되어 신설되었으며, 충북 청원구 오창산업단지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주요 제품은 리튬 2차전지의 양극 활물질 및 전구체로 2021년 말 기준 월 약 6,400톤의 양극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하였으며, 수요에 대비하여 신증설을 지속하고 있음. 글로벌 NCA 양극소재분야에서 스미모토메탈마이닝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술력 강화 및 고객 다변화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1.7% 증가, 영업이익은 130.3% 증가, 당기순이익은 84% 증가 동사의 Global Non-IT 및 EV용 양극재 판매가 증가하였고 신규 공장 가동률 향상 및 물량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이 크게 확대 헝가리에 약 1조 원을 투자하여 10만 8천 톤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계획을 수립, 2024년 하반기부터 양산이 개시될 예정.
엘앤에프: 배터리 관련주
리튬이온 배터리용 양극활물질을 생산 하는 기업
NCM, LCO, LMO 등의 양극활물질 제품이 있음
엘앤에프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2000년 7월에 설립되어, 2차전지 양극 활물질과 방열 테이프 및 전극용 Paste를 생산, 판매하고 있음. 2016년 2월 세계 2차전지 시장의 성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회사 엘앤에프신소재를 흡수 합병하였음. 종속회사로는 2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생산하는 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와 정보, 전자, 화학 관련 소재 제조, 판매하는 제이에이치화학공업(주)이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3.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사업 부문 중 대형 전지향 양극재 부문은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관련 수혜 분야 배터리 소재 고객사들이 국내 EV/ESS 배터리 사업 모두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 뉴딜 수혜 확대 전망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선박엔진 관련주
•조선기자재 관련주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주 6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6. 2차전지 양극재 관련 국내 주식 정리
2차전지 양극소재(양극재, 양극활물질) 관련주에는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칼, 코스모신소재, 이엔드디, KG케미칼, 엘앤에프 등이 있습니다.
양극활물질 종류 및 특징 (자료: SNE Research, KDB산업은행, 키움증권)
리튬이온 2차전지의 양극 소재(양극재, 양극활물질)는 전체 배터리 소재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며, 배터리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 소재입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의 공급원으로,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 등을 결정합니다.
현재 주로 상용화된 양극재는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산화물), NCM(니켈코발트망간산화물), LCO(리튬코발트산화물), LMO(리튬망간산화물), LFP(리튬인산철)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양극재(양극활물질) 관련 주식 6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태양광 관련주
•풍력 관련주
•원자력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양극활물질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에코프로비엠: 양극재 관련주
리튬이온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과 전구체 등을 제조하는 기업
니켈 비중이 80% 이상인 하이니켈계 NCA와 NCM 등의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음
에코프로비엠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6년 5월 (주)에코프로의 2차전지 소재 사업부문이 물적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충북 청원구 오창산업단지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주요 제품은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로 2021년 말 기준 월 약 6,400톤의 양극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하였으며, 수요에 대비하여 신증설을 지속하고 있음. 글로벌 NCA 양극소재분야에서 스미모토메탈마이닝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술력 강화 및 고객 다변화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1.7% 증가, 영업이익은 130.3% 증가, 당기순이익은 84% 증가 동사의 Global Non-IT 및 EV용 양극재 판매가 증가하였고 신규 공장 가동률 향상 및 물량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이 크게 확대 헝가리에 약 1조 원을 투자하여 10만 8천 톤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계획을 수립, 2024년 하반기부터 양산이 개시될 예정.
포스코케미칼: 양극재 관련주
리튬이온 배터리용 양극재와 음극재를 제조하는 에너지소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고용량 Hi-Ni계 NCM을 양산하고 있으며, High Nickel NCMA 양극재를 개발하였음
포스코케미칼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포스코그룹 계열의 종합 내화물 업체로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 재정비 사업과 생석회, 음극재, 화성품 가공, 화성공장 위탁 운영 등의 라임케미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내화물(제조 및 공사)과 생석회는 모기업인 포스코의 철강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로 주 거래처인 포스코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2차전지 소재 사업의 비중이 확대되는 가운데 OCI와의 합작을 통해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공장을 2022년 경에 완공할 예정으로 사업영역 다각화 중.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2% 증가, 영업이익은 25.2% 감소, 당기순이익은 9.3% 감소 에너지 부문을 필두로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나,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영업수익성은 비교적 크게 하락한 모습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코스모신소재: 양극재 관련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개발•생산.
LCO 양극활물질과 NCM 양극활물질 등을 생산하고 있음
코스모신소재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자기테이프 제조 및 판매사업을 주목적으로 설립되어 1987년 9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현재는 기능성 필름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기 등이 있으며, 2015년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옥사이드와 비디오테이프 사업을 중단하였음. 스마트폰을 비롯 디지털카메라, 노트북 등 디지털기기, 전동공구, HEV 등의 전지에 충/방전 역할을 하는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생산하며, 연산 15,016톤의 생산능력 확보.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4.4% 증가, 영업이익은 42.8% 증가, 당기순이익은 47.4% 증가 매출 대부분이 수출에서 발생하는 사업구조이며, 주력제품인 토너 및 LCO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매출 상승세를 시현함. 원가율 하락 영향으로 수익성 또한 크게 상승한 모습 복합기 기종 토너 개발 및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폐배터리 관련주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2차전지 장비 관련주
이엔드디: 양극재 관련주
리튬이온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핵심 소재인 양극활물질 전구체 소재를 생산 하고 있음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전구체 소재는 양극활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새로운 화학조성으로 합성한 기초물질로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핵심소재
이엔드디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자동차 배출가스 정화용 촉매 및 장치와 중대형 2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를 목적으로 2004년 9월 설립되었으며, 2020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2차전지 전구체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매연저감장치 관련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를 동시에 제거하는 PM-NOX는 환경부 인증을 획득하였음.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2012년 9월 중국 허페이에 합작법인 설립하고 연간 50만 대 생산규모의 촉매공장 건설, 2014년부터 양산을 시작하여 다양한 기종의 차량에 공급 중.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 증가, 영업이익은 55% 감소, 당기순이익은 50.2% 감소 환경부의 DPF 보급 확대를 위한 "배출가스 저감사업" 재정비로 보급이 저조했던 DPF의 점진적인 물량 회복을 통해 중장기적인 실적 성장 기대 매출액의 약 2%를 연구개발 비용에 지출하고 있으며, 배출가스 저감용 촉매 및 이차전지 소재의 신재품 개발 및 개선연구와 제조공정의 공정 및 품질개선을 위해 노력 중임.
KG케미칼: 양극재 관련주
자회사 KG에너켐(지분율 78.66%)에서 2차전지 양극활물질 원료인 고순도 황산니켈을 생산 하고 있음
KG케미칼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1954년 12월에 설립되었으며, 주요 사업은 화학부문, 에너지 부문, 전자결제 부문, 미디어 및 금융부문, 교육사업부문, 요식업 부문, 철강 및 항만업, 부동산 임대업 등으로 구분됨.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 (주)케이지, 이데일리(주), 케이지동부제철(주), 케이지스틸(주), 케이지에너켐(주), (주)케이지에듀원, (주)케이지에프앤비 등이 있음. 2019년 철강재 및 비철금속 제조 업체인 동부제철 인수, 2020년 커피 도소매 및 프랜차이즈 업체인 할리스커피 인수 등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진행 중.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9% 증가, 영업이익은 59.7% 증가, 당기순이익은 38% 감소 철강부문의 매출 지속 확대되고 있으며, 전자결제 부문 및 미디어/금융부문 등의 꾸준한 성장으로 매출액 및 수익성 향상된 모습을 나타냄 매출에서 비교적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자결제 부문에서의 신규 사업 진행과 제휴 활동의 성공 여부가 향후 추가적인 실적 상승의 포인트로 판단됨.
엘앤에프: 양극재 관련주
2차전지 양극활물질 생산, 판매업체
하이 니켈 NCM과 LiCoO2, LiMn2O4 등의 2차전지 양극활 소재를 생산하고 있음
엘앤에프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2000년 7월에 설립되어, 2차전지 양극활물질과 방열테이프 및 전극용 Paste를 생산, 판매하고 있음. 2016년 2월 세계 2차전지 시장의 성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회사 엘앤에프신소재를 흡수 합병하였음. 종속회사로는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생산하는 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와 정보, 전자, 화학 관련 소재 제조, 판매하는 제이에이치화학공업(주)이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3.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사업 부문 중 대형 전지향 양극재 부문은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관련 수혜 분야 배터리 소재 고객사들이 국내 EV/ESS 배터리 사업 모두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 뉴딜 수혜 확대 전망. 그린 뉴딜 성과 지표에 따라 국내 전기차 누적 보급대수는 지속 증가 전망.
2차전지 양극재 관련주 6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5. 2차전지 음극재 관련주 6종목작성일: 2022. 10. 1.
2차전지 음극재 관련 국내 주식 정리
2차전지 음극소재(음극재, 음극활물질) 관련주에는 포스코케미칼, 대주전자재료, 한솔케미칼, 솔루스첨단소재, 나노신소재, 엠케이전자 등이 있습니다.
음극활물질 종류 및 특징 (자료: SNE Research, KDB산업은행, 키움증권)
리튬이온 2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되며 소재 물질의 조합에 따라 용량, 출력 전압 등 전기 화학적 성질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보입니다. 2차전지 소재 중 음극재(Anode)는 충전할 때 리튬 이온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음극재의 종류로는 천연흑연 음극재, 인조흑연 음극재, 실리콘 음극재, 리튬메탈 음극재 등이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음극재는 주로 흑연 소재가 쓰이고 있습니다.
현재 천연과 인조 흑연을 모두 사용하고 있으나 흑연 소재가 가지고 있는 용량적 한계의 문제로 저장 용량이 5~10배 높은 실리콘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실리콘계 음극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음극재(음극활물질) 관련 주식 6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폐배터리 관련주
•태양광 발전 관련주
•리튬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음극활물질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포스코케미칼: 음극재 관련주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인 음극재와 양극재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흑연계 음극재를 제조하고 있음
천연흑연 음극재 제품부터 인조흑연, 실리콘 음극재까지 다양한 기술을 보유, 개발하고 있음
포스코케미칼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포스코그룹 계열의 종합 내화물 업체로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 재정비 사업과 생석회, 음극재, 화성품 가공, 화성공장 위탁 운영 등의 라임케미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내화물(제조 및 공사)과 생석회는 포스코의 철강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로 주 거래처인 포스코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사업 부문은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재를 정비하는 내화물 사업부, 생석회 등을 제조하는 라임화성 사업부, 양극재, 음극재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에너지 소재 사업부로 구분됨.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 증가, 영업이익은 15.8% 증가, 당기순이익은 4% 증가 에너지 부문을 필두로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나,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영업수익성은 비교적 크게 하락한 모습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대주전자재료: 음극재 관련주
리튬이온 2차전지용 음극재로 사용되는 실리콘계 음극활물질 개발 및 양산하고 있음
고성능 및 고용량 실리콘계 음극소재 제조기술 및 장비개발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음
대주전자재료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전기전자 부품에 적용되는 전자재료의 개발 및 제조, 판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에 본사와 공장을 두고 있음. 주요 제품은 전도성 페이스트, 태양전지 전극재료, 고분자 재료, LED용 형광체 등이며, 주요 매출처는 국내외 전기/전자 업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 등임. 중국 소재에 현지법인은 백색가전 부품용 절연재료 및 전도성 페이스트를 생산하고 있으며, 동 부문에서 중국 시장 내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7% 증가, 영업이익은 12.1% 감소, 당기순이익은 39% 감소 매출액 성장이 정체된 모습을 보였고, 매출원가 상승, 인건비 증가 등의 이유로 영업손익과 순손익 악화 최근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통한 배터리 용량 확대를 위해 양극의 High-Nickel 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실리콘 음극 활물질의 음극 적용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한솔케미칼: 음극재 관련주
리튬이온 2차전지용 소재인 음극바인더, 분리막바인더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
차세대 고용량 실리콘 음극재를 개발하여 상업생산 적용 준비 중에 있음
한솔케미칼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1980년 3월에 설립되어 각종 화공약품과 화학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라텍스, 과산화수소, PAM, 차아황산소다, 프리커서, 전자재료 등을 생산함. 과산화수소 부문에서 과점적 시장 지위를 보유한 가운데 반도체 전구체 및 디스플레이 전자재료 등의 신사업 분야 진출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음. (주)솔머티리얼즈, Hansol Electronic Materials (Xian) Co., Ltd., (주)에이치에스머티리얼즈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5% 증가, 영업이익은 3.6% 증가, 당기순이익은 0.6% 감소 주요 제품 가격 상승, 판매량 증가 등에 힘입어 매출액이 증가했으나,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제한적으로 증가함 전자재료 사업에서 이차전지 성능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신소재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고, 이러한 변화가 신규시장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됨.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2차전지 양극재 관련주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전기차 관련주
솔루스첨단소재: 음극재 관련주
2차전지 음극에 적용되는 얇은 구리막인 전지박을 생산 하는 기업
전지박은 음극 집전체 역할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수행
솔루스첨단소재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9년 10월 (주)두산의 전지박, OLED 등 전자소재와 화장품, 의약품 등에 활용되는 바이오 소재 사업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설립되었음. 주력제품은 OLED 소재인 aETL과 2차전지용 동박이며, aETL은 시장 진입장벽이 높아 실제적으로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음. OLED 전자소재의 최대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이며, 2차전지용 전지박은 2020년 하반기 헝가리 공장을 가동함에 따라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2%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5.1% 감소 매출이 둔화되었고, 높은 원가율로 인해 영업이익 적자 전환됨. 바이오 사업부문이 '솔루스바이오텍(주)'로 물적분할됨에 따라, 바이오 사업부문의 제2~3기 매출은 첨단소재 부문에 포함됨 유럽 내 전기 자동차 시장의 높은 성장률이 예상됨에 따라 공격적으로 시장 진입 중이며, 주요 소재인 전지박의 수요 증가 예상됨.
나노신소재: 음극재 관련주
2차전지 음극재용 CNT(탄소나노튜브) 도전재를 상용화하여 생산하고 있음
음극재용 CNT도전재는 실리콘계 음극재의 충방전 반복 시 실리콘의 부피가 팽창하여 전지 성능을 감소시키고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
나노신소재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디스플레이, 반도체, 태양전지 등 소재 제조업을 목적으로 2000년 3월 설립되었으며, 주요 제품은 투명전도성 Target 소재, CMP slurry, 박막 태양전지 등임. 세종특별자치시에 본사를, 대전 유성구와 일본에 지점을 두고 있으며, 2011년 해외마케팅을 목적으로 미국법인을, 2019년 나노소재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중국법인을 설립함. 미국의 Applied Materials사와 공동으로 협업한 TCO Rotary target 제품의 공급 확대 및 Silver nano ink/paste 소재의 양산 진행 중.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5% 증가, 영업이익은 241% 증가, 당기순이익은 198.1% 증가 이차전지 소재와 기타 기능성 소재 판매량이 늘며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 등을 견인함 일정 규모의 기술력 및 생산 규모를 가진 고객사가 많으며 이 업체들에 직접 판매를 하고 있고, 이외 매출 채권 회수 등의 위험성이 적으면서 대량 설비를 갖춘 고객들 또한 당사가 직접 판매를 시행하고 있음.
엠케이전자: 음극재 관련주
신규 사업으로 2차전지 음극 재료 중의 하나인 고용량 Si합금계 음극 활물질을 개발하고 있음
엠케이전자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1982년 12월에 설립되어, 반도체 Package의 핵심부품인 본딩와이어 및 솔더볼 등 전자부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주력제품인 본딩와이어는 반도체 리드 프레임 혹은 서브스트레이트와 실리콘 칩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부품으로 반도체 생산의 핵심 재료 중 하나임. 세계 본딩와이어 시장에서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솔더볼 시장에서도 3위의 점유율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짐.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1% 증가, 영업이익은 13.2% 감소, 당기순이익은 60% 감소 반도체 소재업은 최근 반도체가 주로 사용되는 PC에서 스마트폰, 서버, 자동차 등 반도체의 수요가 다변화되며 수요 변동성은 완화되고 있음 동사의 빠른 시장 진출을 통한 선점 효과로 2021년 기준 중국 내 본딩와이어 M/S(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2차전지 음극재 관련주 6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4. 2차전지 관련주 6종목작성일: 2022. 10. 12.
2차전지 관련 국내 주식 정리
2차전지 관련주에는 코스모신소재, 에코프로, 대한유화, 동화기업, 대보마그네틱, 하나기술 등이 있습니다.
ev6의 배터리 모듈 (출처: play.kia.com)
2차전지는 연속적인 충방전을 통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입니다. 2차전지는 외형별로 원형, 각형, 파우치형 전지로 구분되며 IT제품 등에 사용되는 소형 전지와 전기차(xEV) 등에 사용되는 중대형 전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2차전지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의 4대 핵심 소재와 집전체, 셀 외장(파우치, 캔), 시스템(팩, 모듈), 보호 회로 등의 기타 소재 및 부품으로 구성 됩니다.
2차전지는 생산 공정별로 극판공정, 조립공정, 화성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화성공정 이후에 완성된 셀을 모듈 및 Pack으로 구성하는 Pack조립공정과 검사공정 등의 기타 공정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관련 주식 6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태양광 발전 관련주
•해상 풍력 발전 관련주
•반도체 후공정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코스모신소재: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양극 소재)을 개발 및 생산 하는 기업
LCO 양극활물질, NCM 양극활물질 등을 생산하고 있음
코스모신소재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자기테이프 제조 및 판매사업을 주목적으로 설립되어 1987년 9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현재는 기능성 필름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기 등이 있으며, 2015년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옥사이드와 비디오테이프 사업을 중단하였음. 스마트폰을 비롯 디지털카메라, 노트북 등 디지털기기, 전동공구, HEV 등의 전지에 충/방전 역할을 하는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생산하며, 연산 15,016톤의 생산능력 확보.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7% 증가, 영업이익은 65.1% 증가, 당기순이익은 69.6% 증가 매출 대부분이 수출에서 발생하는 사업구조이며, 주력제품인 양극활물질 및 기능성 필름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매출 상승세를 시현함 원가율 하락 영향으로 수익성 또한 크게 상승한 모습. 복합기 기종 토너 개발 및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에코프로: 2차전지 관련주
에코프로비엠(2차전지 양극 소재 생산), 에코프로머티리얼즈(양극활물질용 전구체 생산), 에코프로이노베이션(리튬 분쇄 및 가공, 양극소재용 리튬 생산) 등 2차전지 소재 관련 기업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지주회사
에코프로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1998년 10월 코리아제오륨으로 설립되어 2001년 2월 현 사명으로 변경, 2016년 5월 이차전지소재 사업부를 물적분할하여 에코프로비엠 설립, 종속기업으로 보유. 글로벌 과점체제인 NCA 양극재 시장에서 스미토모메탈마이닝에 이어 세계 2위의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음. 2021년 5월 대기오염방지 및 친환경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설립하였으며 동사는 지주사로 전환하였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4% 증가, 영업이익은 355.3% 증가, 당기순이익은 87.3% 감소 종속회사 에코프로이엠의 CAM6 공장은 '21년 12월 조기 양산을 개시하여 올해 3월부터 Full Capa(연산 36,000톤) 가동을 시작함 종속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은 특화된 온실가스 저감 기술을 바탕으로 탄소배출권 사업(SDM 사업)에 진출하여 미래 성장동력을 다각화하고자 함.
대한유화: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 분리막에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생산 하고 있는 기업
2차전지 분리막용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WPE) 관련 기술도 보유하고 있음
대한유화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플라스틱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PP)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과 공업용 가스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70년 6월에 설립되어 1999년 8월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온산공장에서 에틸렌 등 올레핀류 및 혼합 C4류, BTX 등의 기초유분제품과 그 유도품을 제조하고, 이를 원료로 울산공장에서 PP/HDPE 등 합성수지를 제조, 판매하고 있음. 2022년 6월말 기준 온산공장 생산능력은 에틸렌 40만 톤, 프로필렌 25.5만 톤이며, 울산공장의 생산능력은 HDPE 30.5만 톤, PP 26.5만 톤을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온산공장에서 생산되는 기초유분 및 MC4 등의 매출 확대로 기대 이상의 외형 기록하였으나, 원가율 상승 여파로 수익성 급격히 악화되며 적자 전환 미국 및 중국 등의 대규모 투자로 공급 증가 우려되나, 산업의 성장성이 이를 일정부분 상쇄할 것으로 기대. 반면, 원재료인 나프타 가격의 급등은 부담스러운 상황.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폐배터리 관련주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
동화기업: 2차전지 관련주
자회사 동화일렉트로라이트(지분율 90%)를 통해 2차전지 소재인 전해액을 생산하여 공급 하고 있음
차세대 고용량, 고전압용 전해액 및 전해액 안정화 첨가제 등을 연구개발하고 있음
동화기업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3년 10월 지주회사였던 동화홀딩스(주)가 인적분할하여 존속법인은 동화기업(주)으로, 분할 신설법인은 동화엠파크홀딩스(주)로 분리되어 지주회사에서 탈피함. MDF 제조판매, PB 제조판매, MFB(가공보드)제조판매, 바닥재, 벽장재 등 제조 및 판매, 제재목, 데크재 제조판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국내 MDF 시장에서 점유율 2위, PB 시장에서 2위, 강화마루 시장에서 1위로 업계 내 선두기업 지위를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1% 증가, 영업이익은 11.7% 감소, 당기순이익은 5.5% 감소 MDF, PB, 강화마루, 섬유판 강마루 등 제품 판매가격이 크게 상승하며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동시에 원가도 크게 상승하며 영업이익은 감소함 IT Device향, 전동 공기구향 등 중소형 2차 전지 생산량과 E.V등의 대용량 2차 전지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은 동사의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
대보마그네틱: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 소재공정과 셀공정에 투입되는 전자석 탈철기를 생산/판매 하는 기업
탈철 장치는 2차전지 셀의 품질과 안전에 직결하는 핵심 공정
대보마그네틱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자석 응용기계의 제조 및 유통업을 목적으로 1994년 12월 설립되었으며,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본사와 공장을 두고 있음. 자력 선별기술을 기반으로 원료의 철성분을 제거하는 탈철장비를 제조, 2차전지 소재 및 셀 제조업체에 납품하고 있음. 주요 제품으로는 건식 및 습식 탈철기(EMF), 자력 선별기가 있으며,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BYD 등이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45.9% 증가, 영업이익은 397.2% 증가, 당기순이익은 428.2% 증가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가 증가했지만 매출 증가폭이 커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현재 2차 전지 필수소재인 수산화리튬 임가공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기 위해 준비 중임
하나기술: 2차전지 관련주
조립공정, 화성공정, Pack 조립공정 장비 및 검사장비를 제작 납품 중인 2차전지 장비 전문업체
원형, 각형, 파우치형 등 모든 종류의 이차전지 장비를 제작하고 있음
하나기술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차전지 자동화 설비 제조와 판매를 목적으로 2003년 설립된 2차전지 장비 기업으로 2차전지 조립-활성화-Pack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공급하고 있음. 원형, 각형 및 파우치형 등 전 외형별 전지 설비 공급이 가능한 기업이며, 주요 고객사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이 있음. 전기자동차 및 ESS용 재생 배터리 대용량 충방전기, EOL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BMS 연동하여 100여 가지 항목에 대한 정밀검사 기술도 보유함.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8.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021년 내에 극판공정의 핵심장비를 추가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양산 Full-Line 장비 제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 동사는 노르웨이 배터리 제조 업체 플레이어에 1조5000억원 규모의 반고체 배터리 장비를 공급 계약을 수주하여 매출 성장이 기대됨.
2차전지 관련주 6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
1. 2차전지 전해액 관련주 6종목작성일: 2022. 11. 4.
2차전지 전해액 관련 국내 주식 정리
2차전지 전해액 관련주에는 엔켐, 후성, 솔브레인, 천보, 켐트로스, 동화기업 등이 있습니다.
전해질 종류 및 특성 (자료: 한국화학연구원)
리튬이온 2차전지의 전해질은 리튬이온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액체전해질, 고분자젤 전해질, 고체고분자 전해질 등이 있으며, 현재 리튬이온 2차전지의 대표적인 전해질은 액체이므로 전해액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전해액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동하는 리튬이온의 이동을 돕고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하는 물질로 2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 개선, 과충전 방지, 난연성 확보 등의 특징이 있으며, 전해질염(40%), 첨가제(30%), 유기용매(30%)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전해액 관련 주식 6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리튬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전해액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엔켐: 전해액 관련주
전기차, ESS, IT용 2차전지 전해액과 EDLC(전기이중층 캐패시터) 전해액을 생산하는 기업
엔켐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2년 1월에 설립되어 2차전지 및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용 전해액과 고기능성 첨가제 개발 및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전기차용 전해액을 중심으로 폴란드, 미국, 중국, 헝가리에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독점적인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수의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음. 전해액 관련 생산능력 기준 국내 1위 업체로 SK온과 LG에너지솔루션, CATL 등 글로벌 메이저 배터리 셀 업체들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8.2% 증가, 영업손실은 112.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매출액과 금융수익의 폭발적 증가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의 배경으로 보임 향후 해외 생산설비 증설 확대에 따른 생산 효율 확대가 실적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보이며 2025년 약 22만 5천 톤까지의 증설 계획을 발표하여 기대됨.
2) 후성: 전해액 관련주
리튬이온 2차전지용 전해질의 핵심 소재인 LiPF6 리튬염을 제조하고 있음
후성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6년 11월에 화학, 신소재와 자동차 보조매트 부문의 사업영역 전문화를 목적으로 퍼스텍㈜으로부터 인적분할하여 설립, 불소를 기반으로 한 기초화합물의 제조, 판매업 영위. 불소화합물뿐만 아니라 냉매가스와 반도체 특수가스 및 2차전지 전해질 소재 등에서 국내 유일의 제조사이거나 독보적인 지위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는 중국 현지법인인 소주후성화공유한공사, 후성과기(남통)유한공사, 후성신재료(남통)유한공사, 후성폴란드유한회사 등을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2.3% 증가, 영업이익은 1149.9% 증가, 당기순이익은 1944.3% 증가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힙입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2차 전지 전해질 및 반도체용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국내 유일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조업체로서 오랜 노하우와 높은 기술력을 통해 국내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글로벌 점유율 또한 높여가고 있음.
3) 솔브레인: 전해액 관련주
2차전지 전해액과 전해액 첨가제 및 기타 전자 관련 화학 재료를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
솔브레인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20년 7월 솔브레인홀딩스에서 인적분할되어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소재를 전문으로 사업운영 중이며, 존속기업인 솔브레인홀딩스는 지주회사로 전환. 반도체 공정용 화학재료,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 2차전지 소재 등을 주요 생산, 판매하는 바, 국내의 주요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체 등에 납품하고 있음. 주요 거래처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이며, 그 외 삼성SDI,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에 2차전지 관련 제품을 납품함.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9% 증가, 영업이익은 20.6% 증가, 당기순이익은 34.3% 증가 국산화 조기 시행 및 기술 축적으로 고객사로부터 품질 보증을 확보,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사로부터 기업과 기업 차원에서 신제품 개발 의뢰 및 공동 개발을 제안받고 진행 중임 고객사와의 지속적 협력 관계를 통한 신규 물질의 선점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으며 신규 개발 제품이 지속적으로 고객사에게 공급됨.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2차전지 양극재 관련주
•2차전지 음극재 관련주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4) 천보: 전해액 관련주
2차전지 전해질 및 전해액첨가제를 개발 및 제조하는 업체로 SN, DPN 및 AN 등의 다양한 리튬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음
천보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7년 10월에 설립되어 EMC 수지원료, LCD와 반도체의 첨가물, 의약품첨가물의 제조 및 판매를 주업으로 하고 있으며, 2019년 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사업 부문은 전자소재(LCD식각액첨가제, OLED 소재, 반도체 공정 소재 등), 2차전지 소재(전해질, 전해액 첨가제), 의약품 소재(의약품 중간체), 정밀화학 소재로 구분. LCD 식각액 첨가제인 아미노테트라졸(ATZ) 글로벌 점유율 1위, 반도체 공정소재 국내 시장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바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2% 증가, 영업이익은 57.7% 증가, 당기순이익은 43.7% 증가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가 증가했으나 매출 증가폭이 비용 증가폭을 웃돌며 수익성은 개선됐음 다만, 중국 전해질 업체들 공장 증설 완료 및 가동 시작에 따라 전해질 원료인 LiPF6 판가가 하락할 수 있다는 리스크 존재함.
5) 켐트로스: 전해액 관련주
첨단소재 부문에서 2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음
켐트로스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IT소재, 의약소재 및 폴리머소재 등 정밀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2017년 9월 케이프이에스스팩과 합병하여 동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주요 제품은 전해액 첨가제, 광개시제 등 IT소재와 원료의약품 및 의약 중간체 등 의약소재, 건축용, 광학용, 스피커용 등의 폴리머 소재 등이 있음. DRAM 생산용 핵심재료인 지르코늄계 프리커서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유기리간드 양산 공정에 성공하여 본격적인 물량 공급 중임.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4.5% 증가, 영업이익은 40.4% 감소, 당기순이익은 32.1% 감소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감소함 스마트폰의 약 7000배, 노트북의 약 700배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하는 EV의 확산은 동사의 사업영역인 2차전지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됨.
6) 동화기업: 전해액 관련주
자회사 동화일렉트로라이트(지분율 90%)에서 2차전지 전해액을 생산하고 있음
동화기업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3년 10월 지주회사였던 동화홀딩스(주)가 인적분할 하여 존속법인은 동화기업(주)으로, 분할 신설법인은 동화엠파크홀딩스(주)로 분리되어 지주회사에서 탈피함. MDF 제조판매, PB 제조판매, MFB(가공보드)제조판매, 바닥재, 벽장재 등 제조 및 판매, 제재목, 데크재 제조판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국내 MDF 시장에서 점유율 2위, PB 시장에서 2위, 강화마루 시장에서 1위로 업계 내 선두기업 지위를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1% 증가, 영업이익은 11.7% 감소, 당기순이익은 5.5% 감소 MDF, PB, 강화마루, 섬유판 강마루 등 제품 판매가격이 크게 상승하며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동시에 원가도 크게 상승하며 영업이익은 감소함 IT Device향, 전동 공기구향 등 중소형 2차 전지 생산량과 EV 등의 대용량 2차 전지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은 동사의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
2차전지 전해액 관련주 6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2. 전기차 배터리 관련 국내 주식 정리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상신이디피, 신흥에스이씨, 테이팩스, TCC스틸 등이 있습니다.
전기차 하부에 탑재된 배터리팩 (출처: samsungsdi.co.kr)
전기차 배터리는 전기차의 동력원으로 전기모터를 작동하게 하여 전기차를 움직이게 합니다. 전기차의 배터리로는 주로 리튬이온 2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는 셀(Cell), 모듈(Module), 팩(Pack)으로 구성됩니다. 배터리 셀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구성요소인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을 알루미늄 케이스에 넣어서 만든 것입니다.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을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이 넣은 배터리 조립체입니다. 배터리 팩은 배터리 모듈에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냉각시스템 등 제어 및 보호 시스템을 장착하여 완성됩니다.
아래에서 전기차 배터리 관련 주식 7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태양광 발전 관련주
•전기차 관련주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7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LG화학의 전지사업 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설립된 2차전지 연구, 개발, 제조, 판매 기업으로 전기차에 탑재되는 EV용 배터리를 테슬라, 현대차, GM 등의 전기차 생산 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LG에너지솔루션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20년 12월 (주)LG화학의 전지사업 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국내 오창 및 중국 남경, 미국 미시간, 폴란드 브로츠와프 등에 제조시설을 가지고 있음. EV, ESS, IT기기, 전동공구, LEV 등에 적용되는 전지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며, 주요 매출처는 자동차 OEM 업체임. 배터리 생산능력 확보를 위해 폴란드 자동차전지, 중국 빈강 자동차 및 ESS전지, 중국 남경 소형 ESS전지, 미국 Ultium Cells 자동차전지 등을 증설 중에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3% 증가, 영업이익은 57.3% 감소, 당기순이익은 67.4% 감소 차세대 고용량/고안전성 소재, 전지 제조 공정 고도화 등과 같은 동사의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현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원통형 4680 배터리 공급 및 설비 완성도 향상을 위한 양산 라인 운영을 위해 오창2공장 시설 증설을 진행하고 있음.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에서 자동차 배터리(하이브리드, 전기차용)를 개발 및 생산하여 폭스바겐, BMW, 르노 등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음
삼성SDI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스마트폰, 전기자동차, 전력저장장치(ESS)용 배터리(소형, 중형, 대형) 등의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의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전지사업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해 2016년 2월 케미칼 사업부를 물적분할하여 4월 롯데케미칼에 매각하였음. 자동차전지 사업은 BMW, 크라이슬러, 마힌드라 등 유럽/북미 주요 OEM 업체를 중심으로 수주를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6% 증가, 영업이익은 75.4% 증가, 당기순이익은 82.9% 증가 에너지 솔루션과 전자재료 부문 모두 매출,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함. 이에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등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개선됐음 동사는 전지 사업을 중심으로 전 사업부문에 시설투자를 계획하는 등 지속성장을 위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음.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자회사 SK온(지분 100%)에서 중대형 전기차용 배터리를 개발 및 제조하여 기아차, 포드 등에 공급하고 있음
SK이노베이션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7년 구 SK(주)가 투자사업부문 등을 영위할 SK(주)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 등의 생산, 판매 부문 등을 영위할 동사로 인적분할하여 설립됨. 이후 2009년 10월 윤활유사업과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사업을 분할하여 각각 SK루브리컨츠, SK에너지, SK종합화학을 설립, 중간지주사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석유개발사업과 배터리 및 소재사업, 사업지주사업을 영위하는 가운데 자회사를 통해 석유사업, 화학사업, 윤활유 사업을 영위 중으로 2021년 10월 배터리와 E&P사업 분할하였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5.1% 증가, 영업이익은 248.9%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022년 2분기 유가(Brent기준)는 배럴 당 평균 114불을 기록하였으며, 향후 석유수요 및 유가 회복 국면에 따라 석유개발 사업의 투자 확대가 예상됨 전기차 대중화에 따라 배터리시장은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며, ESS 시장 역시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저장 수요에 따라 지속 확대가 예상됨.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상신이디피: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리튬이온 2차전지의 CAN(배터리 케이스 역할)과 CAP ASSEMBLY(배터리의 뚜껑 역할) 등의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
상신이디피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2차전지부품 개발 및 판매 등으로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2007년 5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휴대폰 배터리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각형 CAN, 원형 CAN, CAP ASS`Y 및 노트북의 2차전지에 사용되는 부품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삼성SDI에서 진행 중인 PHEV/EV용 2차전지 CAN 개발업체로 선정, xEV(전기자동차)용 2차전지 CAN 개발 완료하여 양산 중.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6% 증가, 영업이익은 82.9% 증가, 당기순이익은 37.9% 감소 선진업체가 생산하는 제품을 국산화함으로써 원가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것을 기본 전략으로 삼고 있음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xEV용 CAN 생산에 조기 진입한다는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Deep Drawing 기술을 응용한 관련 부문으로 사업다각화를 할 계획임.
신흥에스이씨: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리튬이온 배터리 부품 제조 기업으로 중대형 각형 Cap Ass'y, 소형 원형 N-CID, 중대형 각형 CAN, 전지 팩 모듈 등을 생산하고 있음
신흥에스이씨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리튬이온전지 부품 제조업, 자동화 기계 제작업 등을 영위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중국 및 말레이시아, 헝가리의 생산법인을 종속기업으로 두고 있음. 주요 제품은 이차전지의 폭발을 방지하는 핵심 안전장치인 CID(소형 원형), Cap Assembly(중대형) 등이 있으며, 특히 중대형 각형 비중이 높은 편임. 주요 매출처는 삼성SDI이며, 삼성SDI의 공격적인 중대형 전지 생산라인 투자에 발맞춰 동사도 헝가리 등의 생산라인 투자를 진행하였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5% 증가, 영업이익은 35.6% 감소, 당기순이익은 31.4% 감소 동사는 원형 CID 및 중대형 각형 Cap Ass'y의 매출액이 증가하였고 헝가리 및 천진 자회사의 매출 증가, 전기차, 전동공구 향 물량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 헝가리법인에서 5개의 중대형 Ass'y 라인을 증설하여 가동하고 있으며, 물량 증가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설을 진행할 계획.
테이팩스: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전자재료사업부에서 양극보호•절연용 등으로 사용되는 2차전지 테이프를 생산하여 국내 배터리 3사에 공급하고 있음
테이팩스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포장용 OPP 테이프와 전자소재 테이프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6년 8월 에이치티투자목적 주식회사에 합병되었음. 전자소재용 테이프와 포장용 테이프, 식품포장용 랩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중국과 말레이시아 판매법인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식품포장용 랩 시장점유율 1위 업체로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2차전지용 테이프 및 반도체 패키징 공정용 테이프 등 지속적인 제품 개발을 통한 매출 다각화 추진 중.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 증가, 영업이익은 69% 증가, 당기순이익은 38.6% 증가 전방 산업 호조로 2차전지용 점착테이프, OCA 등 주력 사업이 성장하며 외형 성장을 견인했고, 영업레버리지 효과에 따라 영업손익이 개선되었으며 순이익 규모가 증가함 전자재료 사업부는 성장성이 높은 소재사업 확장을 위해 2021년 이차전지용 신규라인을 추가로 증설함.
TCC스틸: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원통형 배터리 캔의 소재인 니켈도금강판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기업
TCC스틸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1959년 7월 전기주석도금강판 등 표면처리강판의 제조와 판매업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84년 12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음. (주)TCC개발, (주)TCC강판, TCC America, (주)제주메이리조트, (주)TCC한진 등 7개의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국내시장의 주석도금강판은 동사와 케이지스틸이 대부분 공급하고 있으나, 최근 저가 수입재의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임.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8% 증가, 영업이익은 213.5% 증가, 당기순이익은 42.9% 증가 전기차 업체들의 원통형 전지 채택 확대로 수혜를 본 것이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 니켈도금강판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판단됨 내년 하반기부터 증설된 니켈도 금강판의 추가 실적 기여도 예상돼, 저평가된 EV업체들의 원통형 전지 채택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부각됨.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7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3. 2차전지 소재 관련 국내 주식 정리
2차전지 소재 관련주에는 포스코케미칼, 대한유화, 엔켐, 솔루스첨단소재, 후성, 천보, 대주전자재료, 엘앤에프 등이 있습니다.
리튬 2차전지 소재 분류 (출처: innopolis.or.kr)
2차전지의 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이 있습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의 소스이며,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하는 소재입니다. 음극재는 양극에서 나온 리튬이온을 저장 및 방출하여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소재입니다.
전해액은 리튬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돕는 매개체가 되는 소재이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막는 역할을 하는 소재입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관련 주식 8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글도 보고 가세요!!!
클릭~~ 클릭~!!!
•태양광 에너지 관련주
•풍력 에너지 관련주
•원자력 에너지 관련주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2차전지 관련주 8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포스코케미칼: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기업으로 하이니켈계 NCM 및 NCMA 양극재와 흑연계 음극재를 제조하고 있음
포스코케미칼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포스코그룹 계열의 종합내화물 업체로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 재정비 사업과 생석회, 음극재, 화성품 가공, 화성공장 위탁 운영 등의 라임케미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내화물(제조 및 공사)과 생석회는 포스코의 철강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로 주 거래처인 포스코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사업 부문은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재를 정비하는 내화물 사업부, 생석회 등을 제조하는 라임화성 사업부, 양극재, 음극재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에너지 소재 사업부로 구분됨.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 증가, 영업이익은 15.8% 증가, 당기순이익은 4% 증가 에너지부문을 필두로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나,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영업수익성은 비교적 크게 하락한 모습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대한유화: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 분리막용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생산하고 있으며, 분리막용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WPE)도 개발하고 있음
대한유화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플라스틱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PP)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과 공업용 가스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70년 6월에 설립되어 1999년 8월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온산공장에서 에틸렌 등 올레핀류 및 혼합 C4류, BTX 등의 기초유분제품과 그 유도품을 제조하고, 이를 원료로 울산공장에서 PP/HDPE 등 합성수지를 제조, 판매하고 있음. 2022년 6월말 기준 온산공장 생산능력은 에틸렌 40만 톤, 프로필렌 25.5만 톤이며, 울산공장의 생산능력은 HDPE 30.5만 톤, PP 26.5만 톤을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온산공장에서 생산되는 기초유분 및 MC4 등의 매출 확대로 기대 이상의 외형 기록하였으나, 원가율 상승 여파로 수익성 급격히 악화되며 적자 전환 미국 및 중국 등의 대규모 투자로 공급 증가 우려되나, 산업의 성장성이 이를 일정부분 상쇄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원재료인 나프타 가격의 급등은 부담스러운 상황.
엔켐: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용 전해액과 EDLC(전기이중층 캐패시터) 전해액을 생산 및 공급하는 업체로 전기차용 전해액, ESS용 전해액 등을 제조하고 있음
엔켐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2년 1월에 설립되어 2차전지 및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용 전해액과 고기능성 첨가제 개발 및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전기차용 전해액을 중심으로 폴란드, 미국, 중국, 헝가리에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독점적인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수의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음. 전해액 관련 생산능력 기준 국내 1위 업체로 SK온과 LG에너지솔루션, CATL 등 글로벌 메이저 배터리 셀 업체들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8.2% 증가, 영업손실은 112.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매출액과 금융수익의 폭발적 증가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의 배경으로 보임 향후 해외 생산설비 증설 확대에 따른 생산 효율 확대가 실적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보이며 2025년 약 22만 5천 톤까지의 증설 계획을 발표하여 기대됨.
관련 있는 주식 목록
클릭~~ 클릭~!!!
•전기차 관련주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솔루스첨단소재: 2차전지 관련주
전기차용 배터리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인 전지박을 생산하는 기업. 전지박은 2차전지 음극 부분에 씌우는 얇은 구리막
솔루스첨단소재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19년 10월 (주)두산의 전지박, OLED 등 전자소재와 화장품, 의약품 등에 활용되는 바이오 소재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음. 주력제품은 OLED 소재인 aETL과 2차전지용 동박이며, aETL은 시장 진입장벽이 높아 실제적으로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음. OLED 전자소재의 최대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이며, 2차전지용 전지박은 2020년 하반기 헝가리 공장을 가동함에 따라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2%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5.1% 감소. 매출이 둔화되었고, 높은 원가율로 인해 영업이익 적자 전환됨 바이오 사업부문이 '솔루스바이오텍(주)'로 물적 분할됨에 따라, 바이오 사업부문의 제2~3기 매출은 첨단소재 부문에 포함됨 유럽 내 전기 자동차 시장의 높은 성장률이 예상됨에 따라 공격적으로 시장 진입 중이며, 주요 소재인 전지박의 수요 증가 예상됨.
후성: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 전해질의 핵심물질인 리튬염(LiPF6)을 생산하고 있음
후성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6년 11월에 화학, 신소재와 자동차 보조매트 부문의 사업영역 전문화를 목적으로 퍼스텍㈜으로부터 인적 분할하여 설립, 불소를 기반으로 한 기초화합물의 제조, 판매업 영위. 불소화합물뿐만 아니라 냉매가스와 반도체 특수가스 및 2차전지 전해질 소재 등에서 국내 유일의 제조사이거나 독보적인 지위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는 중국 현지법인인 소주후성화공유한공사, 후성과기(남통)유한공사, 후성신재료(남통)유한공사, 후성폴란드유한회사 등을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2.3% 증가, 영업이익은 1149.9% 증가, 당기순이익은 1944.3% 증가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힙입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2차전지 전해질 및 반도체용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국내 유일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조업체로서 오랜 노하우와 높은 기술력을 통해 국내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글로벌 점유율 또한 높여가고 있음.
천보: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 전해질 및 전해액첨가제를 개발 및 생산하는 업체로 SN, DPN 및 AN 등의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음
천보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2007년 10월에 설립되어 EMC 수지원료, LCD와 반도체의 첨가물, 의약품첨가물의 제조 및 판매를 주업으로 하고 있으며, 2019년 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사업 부문은 전자소재(LCD식각액첨가제, OLED 소재, 반도체 공정 소재 등), 2차 전지 소재(전해질, 전해액 첨가제), 의약품 소재(의약품 중간체), 정밀화학 소재로 구분. LCD식각액첨가제인 아미노테트라졸(ATZ) 글로벌 점유율 1위, 반도체 공정소재 국내 시장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바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2% 증가, 영업이익은 57.7% 증가, 당기순이익은 43.7% 증가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가 증가했으나 매출 증가폭이 비용 증가폭을 웃돌며 수익성은 개선됐음 다만, 중국 전해질 업체들 공장 증설 완료 및 가동 시작에 따라 전해질 원료인 LiPF6 판가가 하락할 수 있다는 리스크 존재함.
대주전자재료: 2차전지 관련주
실리콘산화물(SiOx)계 음극활물질을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음
대주전자재료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전기전자 부품에 적용되는 전자재료의 개발 및 제조, 판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에 본사와 공장을 두고 있음. 주요 제품은 전도성 페이스트, 태양전지 전극재료, 고분자 재료, LED용 형광체 등이며, 주요 매출처는 국내외 전기/전자 업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 등임. 중국 소재에 현지법인은 백색가전 부품용 절연재료 및 전도성 페이스트를 생산하고 있으며, 동 부문에서 중국 시장 내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7% 증가, 영업이익은 12.1% 감소, 당기순이익은 39% 감소 매출액 성장이 정체된 모습을 보였고, 매출원가 상승, 인건비 증가 등의 이유로 영업손익과 순손익 악화 최근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통한 배터리 용량 확대를 위해 양극의 High-Nickel 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실리콘 음극활물질의 음극 적용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엘앤에프: 2차전지 관련주
NCM, LCO, LMO등의 2차전지 양극재(양극활물질)을 생산하는 기업
엘앤에프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기업소개
동사는 2000년 7월에 설립되어, 2차전지 양극활물질과 방열테이프 및 전극용 Paste를 생산, 판매하고 있음. 2016년 2월 세계 2차전지 시장의 성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회사 엘앤에프신소재를 흡수합병하였음. 종속회사로는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생산하는 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와 정보, 전자, 화학관련 소재 제조, 판매하는 제이에이치화학공업(주)이 있음.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4.8% 증가, 영업이익은 451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사업 부문 중 대형 전지향 양극재 부문은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관련 수혜 분야 배터리 소재 고객사들이 국내 EV/ESS 배터리 사업 모두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 뉴딜 수혜 확대 전망
2차전지 소재 관련주 8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카페 게시글
주식관련
2차전지 관련주
MT칠갑
추천 0
조회 586
22.11.24 21:27
댓글 1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
첫댓글 대박입니다~ 엄청난 분량인데 시간 많이 걸렸겠어요~ 유용히 쓰겠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