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맑을 식(湜)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이 시(是)자를 했습니다. 이 시(是)자는 해를 나타내는 날 일(日)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해서 해가 만물의 중심임을 표시했습니다. 둘 식(寔), 불꽃 식(煶)자는 이 시(是)자가 들어 있어서 ‘식’으로 읽습니다. 황보식(皇甫湜) 장기식(張其湜) 식식(湜湜) 신천식(申千湜) 최식(崔湜)
수레 앞턱 가로나무 식(軾)자는 의부(義符)로 수레 차(車)자에 성부(聲符)로 법 식(式)자를 했습니다. 법 식(式)자는 주살 익(弋)자 아래에 장인 공(工)자를 했습니다. 화살을 만드는 법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주살을 만들 때에는 지켜야할 일정한 법이 있다는 뜻입니다. 소식(蘇軾) 이식(李軾, 1090~1151) 유차필견기식(有車必見其軾) 김부식(金富軾)
번성할 식(殖)자는 의부(義符)로 부서진 뼈 알(歹)자에 성부(聲符)로 곧을 직(直)자를 했습니다. 곧을 직(直)자는 눈 목(目)자를 가운데 두고, 위에 열 십(十)자를 하고, 아래에 ‘ㄴ’자를 했습니다. 눈에 보이는 대로가 바로 그것이라는 표시겠지요. 심을 식(植), 찰흙 식(埴)자는 곧을 직(直)자가 들어 있어서 ‘식’으로 읽습니다. 식산(殖産) 식채(殖債) 식리(殖利) 식민(殖民) 번식(繁殖) 식재(殖財) 식산(殖産) 화식(貨殖)
꾸밀 식(飾)자는 성부(聲符)로 밥 식(食)자에 의부(義符)로 ‘𠂉’자에 수건 건(巾)자를 했습니다. 수건은 천을 뜻합니다. 천으로 꾸민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장식(粧飾) 허식(虛飾) 수식(修飾) 복식(服飾) 복식(復飾) 분식(粉飾) 문식(文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