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권씨 능동재사(陵洞齋舍)는 고려 삼태사(三太師) 중의
한 사람이며 안동 권씨의 시조인 권행(權幸)의 재사(齋舍)이다.
조선 중기의 건물로 국가민속문화유산 제183호(1984년 지정)이다.
안동 권씨 능동재사(陵洞齋舍)
능동재사는 1653년(효종 4) 관찰사 권우(權堣)가
종인(宗人)들과 논의하여 마루, 방, 곳간 등 16칸을 건립하였으며
1683년(숙종 9) 관찰사 권시경(權是經)이 누각 7칸을 추가로 지었다.
그러나 1743년(영조 19)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어 중건하였다.
안동 권씨 능동재사(陵洞齋舍) 추원루(追遠樓)
1896년 다시 화재를 입어 당시 70여 칸의 건물 중
임사청(任事廳), 전사청(典事廳) 등 몇 칸만 남기고 모두
소실된 것을 1896년에 다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추원루 편액
재사는 보수중으로 문이 잠겨있어 바깥으로 돌며 둘러보았다.
자료에 의하면 추원루(追遠樓)를 전면에 내세워 문루를 삼고
누문 안의 큰마당 건너 우뚝 솟은 재사 큰채와 그 앞 양쪽에
늘어선 동재, 서재가 튼ㅁ자를 이루고 있다.
추원루 왼쪽으로
또 동재의 뒤쪽에 임사청, 전사청, 주사(厨舍)가 일곽을 이루고
있어서 전체 배치가 일(日)자를 옆으로 뉘어놓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전사청(곳간채)은 공성재(供城齋)라는 편액이 걸려 있는 정면 3칸집의
앞쪽에 툇마루를 설치하고 그 뒤쪽에 수장고를 3칸
두었기 때문에 제기고(祭器庫)라고도 한다.
추원루 측면
이 집은 구조적인 면에서 큰 특징은 없으나
재사로서는 보기 드물게 큰 규모의 건물로 조선시대
제례 행사의 성대한 규모를 짐작하게 하는 훌륭한 건물이다.
담 너머로 보는 재사 큰채와 동재
추원루 오른쪽으로
옆문
능동재사 뒤편
공사 안내판과 지연사유
공사기간 : 2022.11.23 ~ 2024.9.11 (동.서재 보수, 임사청, 전사청 보수)
지연사유 : 해체작업 후 설계변경 사유 발생으로, 문화재 심의위원 회의와
현장방문 확인, 추가 예산확보 등 제반 절차를 진행 중이다.
능동재사 전경
안동권씨 시조 묘소 가는 입구(250m)
안동권씨 시조 권행(權幸)의 묘
고려 태조 왕건은 고창성주(古昌城主) 김선평(金宣平)을
대광(大匡 : 고려 초기 문무관 1품)으로 삼고
김행(金幸,뒤에 권행)과 장길(張吉=장정필)을 대상(大相)으로
삼았으며, 군(郡)을 승격시켜 안동부(安東府)로 하였다.
김행(金幸)이란 사람은 나라의 종성(宗姓 : 왕실 성씨)인데
견훤이 임금을 시해(弑害)하였다는 말을 듣고 무리와 모의하기를,
"훤(萱, 견훤)은 의리상 함께 하늘을 이고 살 수가 없으니
어찌 왕공(王公, 왕건)에게 귀부(歸附)하여 우리의 수치를
설해(雪解)치 않으리오." 하고 드디어 고려에 항복하니
고려왕이 기뻐하며 이르기를, "행(幸)은 능히 기미(幾微)에 밝고
권도(權道)에 통달하였다." 하고 권(權)씨로 성을 하사하였다.“
김씨(金氏)이던 김행(金幸)은 이때부터 권행(權幸)이 되어
안동권씨의 시조가 되었다.
안동권씨 시조 묘비와 좌.우 문인석
고려 삼한벽상 삼중대광 아부공신 권행 묘
(高麗 三韓壁上 三重大匡 亞父功臣 權幸 墓)
내려오는 길의 송림
안동권씨 능동재사와 2세 권인행의 단소
재사옆 안동권씨 2세 낭중공 권인행 단소
이 단소는 청도 공암에 있던 안동 권씨 2세 낭중공
권인행의 단소로 2010년 5월 이곳으로 이단하였으며
이단시 그곳에 있던 석물들도 같이 옮겨왔다.
안동 권씨 2세 권인행 부부 단소
단소 전경
묘단비(구,신)
고려 낭중 안동권공 휘 인행 지단, 부인 양천허씨 부
(高麗 郞中 安東權公 諱 仁行 之壇, 夫人 陽川許氏 祔)
능동재사 4km앞 입구의 권태사 신도비각(權太師 神道碑閣)
안동권씨는 고려와 조선조 당시에 양반가하면 손에 꼽히는 가문이다.
고려때엔 고려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속해있는 권문세가 무관가문이었다.
안동권씨는 상신 40명, 공신 86명, 문형 6명, 봉군 69명을 배출했으며,
조선조에서 장원급제자 10명을 포함하여 문과에 367명,무과에 99명,
사마시에 913명 등 총 1,398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여 2위의 기록이다.
권태사 신도비(權太師 神道碑)
안동권씨는 한국사(韓國史)에서는 비중을 차지하는 성씨(姓氏)로,
국내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族譜)가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성화보"이기 때문인데,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는
문화류씨(文化 柳氏)의 "가정보"가 제일 오래되었다고 적고 있다.
권태사 구 신도비각과 석비들
안동 권씨(安東 權氏) "성화보"가 문화 류씨(文化 柳氏) "가정보"
보다 연대는 조금 더 빠르며, 다만, 족보의 체계나 구성 등에 있어서는
성화보 보다 가정보가 수록 범위가 훨씬 더 넓고 발전된 형태를 띠고
있다고 하며, 안동권씨의 성화보는 1476년(성종 7) 목판으로 간행했고,
서거정(徐居正,1420~1488)이 족보의 서문을 썼다.
안동 권씨 능동재사(陵洞齋舍) 바로 입구의 구신도비각
성화보와 가정보 이전까지는 각 성씨별로 대부분 가승보만 전해오다가
이후 우리나라 각 문중에서 문중전체를 아우러는 족보를 간행하기 시작한다.
권태사 구 신도비각(權太師 舊 神道碑閣)
안동권씨 항열표(行列表)
근.현대에 존재하는 안동권씨는 주로 33세에서 39세 사이에
가장 많다고 하며, 여자들도 대부분 항렬자를 적용한다고 한다.
인구는 70만명이 조금 넘으며 경북지역에 가장 많이 세거하고 있다.
권태사 구 신도비(權太師 舊 神道碑) ~ 시계방향으로
권태사 신도비옆 석비
왼쪽 : 평창군사 안동권공 휘 옹(雍) 사적비, 오른쪽 : 평창군사 안동권공 휘 방(訪) 사적비
능동재사에서 시조묘소 가는길 입구의 거수목 버드나무
첫댓글 몇년전 답사때도 문이 잠겨있어 안쪽을 제대로 못보았늗데!
여전히 잠겨 있었나 봅니다
묘소와 설명글 잘봤습니다
잘 계시지요.
요즘은 보수공사중 공사가 중지되어 안전상 문을 잠구어 놓은것 같습니다.
대단한 건축물인데 조금 아쉬웠습니다.
★안동 權씨 능동재사인 안동 權씨 시조 權幸 단소를 지키고
봉양을 위해 건립한 재사(齋舍)를 자세하게 설명하여 주셔서
뜻 깊게 잘 읽고 알게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