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물고기 백쉰세 마리(익튀스)
요한복음 21 : 1 – 14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세 번째 나타나셔서(14) 그들에 물고기를 잡게 하셨던 것은 사도 요한이 기록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21장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내 양을 먹이라’ ‘내 양을 치라’고 하시며 승천하신 후에 교회를 세울 사도 직분을 맡기는 위임식입니다.
예수님께서 3년 전에 공생애를 시작하시며 제자들을 세울 때도 게네사렛 호수(갈릴리 바다)로 가셔서 밤새도록 수고하였으나 잡은 것이 없는 어부들에게 ‘깊은 대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시몬은 ‘선생님 우리들이 밤이 새도록 수고하였으되 잡은 것이 없지마는 말씀에 의지하여 내가 그물을 내리리이다’라고 말하고 그물을 내려 그물이 찢어질 정도로 많은 고기를 잡았습니다.
그때 시몬 베드로가 많은 고기를 보고 예수의 무릎 아래 엎드려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라고 말했을 때 예수님께서 그에게 ‘무서워하지 말라 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라고 말씀하시고 그들을 제자로 삼았습니다(눅5:1-11).
우리 성경에는 ‘물고기’, ‘고기’, ‘생선’으로 기록된 말씀을 헬라어 성경에는 ‘물고기’(알레오), ‘고기’(프로스파기온), ‘생선’(옵사리온)으로 기록되었습니다.
베드로가 ‘나는 물고기 잡으러 가노라’라고 말한 ‘물고기’(알레온)는 어부들이 직업적으로 잡는 물고기를 의미합니다.
예수님께서 ‘너희에게 고기가 있느냐’라고 물으신 ‘고기’(프로스파기온)는 빵과 함께 먹을 수 있는 고기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생선’(옵사리온)은 잡은 물고기를 시장에서 사고팔기도 하며 숯불에 굽고 요리해서 먹을 수 있는 일반적인 고기를 의미합니다.
그들이 잡은 ‘큰 물고기’를 ‘익튀스’라고 합니다. 헬라어로 ‘이에수스 크리스도스 데오스 휘오스 소테르’의 단어 첫 글자를 순서대로 모아 만든 말이 ‘익튀스’입니다. ‘익튀스’는 우리 말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구세주’ 입니다.
‘큰 물고기’ ‘익튀스’는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고 신앙고백하는 성도를 상징합니다. 초대 교회 교인들은 물고기 모양을 기독교인을 상징하는 부호로 삼았습니다. 물고기 모양의 문형은 예수를 구주로 믿는 자라는 것을 상징합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보여주셨음에도 불구하고 제자들이 예루살렘을 떠나 갈릴리로 왜 내려갔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어떤 이는 예수님께서 죽음을 보고 실망해서 제자의 사명을 버리고 옛날 고기 잡던 어부로 다시 돌아간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21장 말씀을 종합해서 보면 하나님께서 제자들에게 새롭게 사명감을 주시기 위한 하나님께서 인도하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신도 모르게 이끌려서 원하지도 않은 어떤 일을 하게 되는 때가 있습니다. 그때 하나님께서 이끌어 인도하신 것으로 깨닫게 됩니다.
베드로가 ‘나는 물고기 잡으러 가노라’고 말했고 다른 제자들도 ‘우리도 함께 가겠다’고 하며 디베랴 호수(갈릴리 바다)로 내려갔습니다. 그런데 그날 밤에 그들은 아무것도 잡지 못했습니다.
날이 새어갈 때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나타나셔서 ‘애들아 너희에게 고기가 있느냐’라고 물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예수이신줄 알지 못하고 ‘없나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그물을 배 오른편에 던지라 그리하면 잡으리라’고 말씀하셨고 그들은 그물을 던져 그물을 들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물고기를 잡았습니다.
‘들 수 없더라’라는 헬라어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에게로 이끌어 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를 보내신 아버지께서 이끌지 아니하시면 아무도 내게 올 수 없으니 오는 그를 내가 마지막 날에 다시 살리리라”(요6:44).
베드로와 안드레, 세베대의 아들 요한과 야고보는 대대로 갈릴리 바다에서 고기 잡던 가문에서 나고 자란 어부들입니다. 그들은 고기가 잡히는 시간과 장소를 잘 아는 베테랑들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아무것도 잡지 못한 그 바다에 다시 그물을 던진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제자들은 그물을 던져 많은 고기를 잡았습니다.
그들이 그날 밤에 아무것도 잡지 못한 것은 자기들의 경험과 능력으로 한 것입니다. 그들은 지난날 고기 잡던 경험으로 최선을 다 해 보았을 것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피땀을 흘리는 노력을 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실패한 사람은 죽을 정도로 힘들게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노력을 말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그들이 일어나 그물을 던진 것은 자신들의 모든 자존심과 자아를 버린 낮아진 자세로 순종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도의 직분은 자신의 능력이나 경험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그물을 들 수 없을 정도로 잡은 것은 놀라운 이적입니다. 그런데 아무것도 잡지 못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아무것도 잡지 못한 것을 이적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사람들은 실패를 이적이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패는 자존심과 자아를 버리고 교만한 자를 낮추게 하는 이적입니다.
제가 낚시를 즐깁니다. 낚시를 던져 놓고 한두 시간 어떤 때는 서너 시간을 입질도 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도 저는 찌를 바라보고 참고 기다리며 많은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 자리에서 많은 크고 작은 고기들을 잡았음에도 어떤 때는 입질도 하지 않고 기다릴 때 고기 잡는 것도 내 맘대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때 내 모든 능력과 경험을 다 내려놓고 물고기 앞에 매우 낮아지게 됩니다.
아무것도 잡지 못한 제자들에게 ‘그물을 배 오른편에 던지라 그리하면 잡으리라’라고 했을 때 그물을 던지는 것은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자들은 그물을 내렸고 그물을 들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고기를 잡았습니다. 그때 제자들은 무엇을 깨닫게 되었을까를 생각해 봅니다.
아무것도 잡지 못한 그 바다에 그들이 다시 그물을 던진다는 것은 자신들의 자존심과 자아를 다 버리는 것입니다. 어린아이처럼 낮아지고 순진함을 의미합니다.
3년 전에도 시몬 베드로는 ‘우리들이 밤이 새도록 수고하였으되 잡은 것이 없지마는 말씀에 의지하여 내가 그물을 내리리다’라고 말한 것은 자신의 모든 것을 주님 앞에 다 내려놓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잡은 고기가 많은 것을 보고 시몬 베드로가 예수님 무릎 아래 업드려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라고 고백했습니다(눅5:8).
그때 주님께서 ‘이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고 말씀하셨고 그들은 모든 것을 다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습니다(눅5:11). 예수님의 제자들이 된 것입니다.
아무것도 잡지 못한 것은 자신을 낮추고 겸손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실패는 자신을 낮추게 하시는 하나님의 섭리입니다. 실패가 나쁜 것이 아닙니다. 실패함으로 또 다른 축복의 길이 있습니다.
자존심을 버리고 자아를 죽이고 어린아이와 같이 낮아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내가 누군데’라는 자존심을 버리지 못합니다. 실패했음에도 낮아지려고 하지 않습니다. 자아를 버리지 못하면 절대로 겸손할 수 없습니다.
‘하시니 이에 던졌더니’(6)란 말씀은 그들의 모든 것을 다 내려놓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자존심도, 자아도, 마음도 지식도, 철학도 모두 다 비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때 요한은 ‘주님이시라’고 말했고 베드로는 그 말을 듣고 벗고 있던 겉옷을 두르고 바다로 뛰어내렸습니다(7). 자아를 버리지 못했을 때는 그들은 찾아오신 주님을 몰랐지만, 그들이 자아를 버렸을 때 영안이 열려서 주님이심을 알았습니다.
사도가 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자아를 버려야 했습니다. 바울은 자존심이 매우 강한 사람이었습니다. 말이나 지식이 사도들보다 조금도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의 모든 것을 배설물처럼 여기고 그리스도를 얻었다고 말했습니다(빌3:8). 낮아지고 겸손했을 때 하나님의 복음을 전했습니다(고후11:5-6).
날이 새도록 아무것도 잡지 못한 그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그물을 내려 많은 고기를 잡았다는 것은 무엇을 가르쳐 줍니까?
그들에게 새로운 사명을 주신 사도의 직분은 자신의 경험이나 능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해 줍니다.
목사의 사명도 자신의 지식이나 능력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성도들 각자의 신앙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주님이시다’라고 하는 요한의 말을 듣고 베드로가 벗었던 겉옷을 두르고 바다로 뛰어내렸습니다. 사람들은 입고 있던 겉옷을 벗고 바다에 뛰어내립니다. 베드로가 ‘벗고 있던 겉옷을 두른 후에 바다로 뛰어내렸다’는 말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가 쉽지않습니다.
그러나 엘리야가 입었던 겉옷을 벗어 던져 주며 엘리사에게 자신의 선지자 직분을 맡겼던 것처럼 베드로의 겉옷은 예수님의 제자를 상징하는 까운입니다. 찬양대가 까운을 입고 찬양을 합니다. 성도를 상징하는 까운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숯불 위에 생선과 떡을 올려놓고 겉옷을 두르고 찾아온 제자들에게 ‘와서 조반을 먹으라’(9,12)고 초청하셨습니다.
‘조반’은 새로운 하루의 일을 시작하는 것을 상징합니다. ‘조반을 먹으라’고 하신 것은 그들로 인한 교회의 시작을 암시합니다.
예수님께서 ‘조반을 먹은 후에’(15) 시몬 베드로에게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라고 물으셨고 베드로는 “주님 그러하나이다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 주님께서 아시나이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세 번 거듭 묻고 베드로가 대답한 것은 사도의 직분을 맡기는 서약입니다. 서약한 베드로에게 ‘내 양을 먹이라’, ‘내 양을 치라’, ‘내 양을 먹이라’고 하시며 사도의 직분을 맡겼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하늘로 올라가셨습니다. 사도의 직분을 맡은 그들은 예수님께서 하늘로 올라가신 후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서 성령충만함을 받고 나아가서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세웠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주님께서 우리에게도 성도로 불러주시고 교회를 섬기는 직분을 맡겨주셨습니다. 주님께서 맡겨주신 직분은 아무나가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을 능력과 경험으로 주님의 교회를 섬기는 것은 많은 수고를 하고서도 아무것도 잡지 못하는 고백을 하게 됩니다. 우리도 자존심과 자아를 버리고 낮아져야 합니다.
우리 모두 주님께서 맡겨주신 사명으로 교회를 섬기며 충성합시다. 주님 오시는 날 주님으로부터 ‘착하고 충성된 종이라’는 칭찬을 듣고 주님과 함께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서 영생복락을 누립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