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킥돌이 공
    2. 안호영
    3. 필그림
    4. ahab
    5. 聖君 光海君
    1. 천손강림
    2. 푸른바다
    3. 과거와 미래
    4. 아싸
    5. 삼산이수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강서구
    2. 과거와 미래
    3. 지리능선
    4. dbrltkd
    5. 숲가치플러스
    1. 하라발가순
    2. edev
    3. 문학중개사
    4. 청호
    5. 청려장
 
 
카페 게시글
백제 토론방 백제의 지배세력과 변천사2
둘째 추천 1 조회 119 24.05.14 20:40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6.28 11:28

    첫댓글 1) 근초고왕이 왜국과 교섭하였다고 하셨는데 삼국사기에는 근초고왕이 왜를 만난 적이 없습니다. 백제본기에 나오는 최초의 왜국 기록은 고구려 광개토왕에 의한 396년 잔국토벌 다음 해인 397년입니다. 무슨 근거로 근초고왕이 왜를 만났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2) 일본의 3세기 후반부터 4세기 말(390경)까지를 전기고분시대라고 합니다. 전기고분시대에 일본서기에 일본에 국가가 있었다는 증거가 있습니까? 전기고분시대의 일본이 풍습이나 지리 기록도 좋습니다. 일본서기 어느 기록인지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근초고왕과 고국원왕 때인 369년에 고구려와 백제 사이에 고구려의 선공으로 최초로 전쟁이 벌어지는데 그 전쟁원인이 무엇입니까?

  • 25.06.30 09:52

    무령왕이 왜왕 무입니까?
    곤지가 개로왕비를 데리고 가던 461년에 섬에서 아들(무령왕)을 낳자 개로왕의 지시에 따라 아들은 돌려보내고 왕비만 데리고 갑니다. 따라서 무령왕은 왜국에 간 일이 없습니다.(전라도천년사도 이것은 정확하게 썼습니다.)
    무의 사신이 송에 가서 자신이 7국도독이자 왜왕을 자처하는 해가 462년입니다.(무령왕은 1살) 무가 사신을 보낸 이유는 왜왕세자 흥의 사신이 왜왕 책봉을 받으려고 하니 흥은 죽고 자신이 왜왕이라는 것을 주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다음 왜왕 무의 사신은 478년인데 국서를 보면 비통함이 가득하고 책봉을 구걸하여 이전 462년과 전혀 다른 모습인데, 그 이유는 무가 죽었기 때문입니다. 왜국은 무가 갑자기 죽자 후계를 준비할 시간이 필요하였는데 혼란이 발생할 것을 두려워하여 무의 죽음을 숨기고 책봉을 요청한 것입니다.
    이후 502년에 양을 건국한 양무제가 자신의 생일을 기념하여 과거 사신을 보냈던 주변국 왕들을 일제히 승진시켜 책봉하는 행사를 치렀습니다. 마치 시진핑이 자신의 생일을 기념하여 루즈벨트를 미국 왕에, 처칠을 영국 왕에 책봉하는 것이나 같습니다. 이때 왜국에서 마지막으로 사신을 보낸 왜왕 무도 다시 책봉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