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괘덕(卦德) 과 괘상(卦象)
井은 아래로 겸손하고 밖으로 과감히 행하는 덕이 있으며,
巽木으로 땅속의 물을 끌어 올려서 우물물의 혜택을 두루 베푸는 괘이다.
열길 땅속을 파야 맑은 샘물이 나오듯, 마음을 가라앉혀 무사무위(无思无
爲)의 경지에 들어감으로써, 정신과 육신이 청정하게 되어 마침내 만상의
이치를 통하게 되니,
修道에 있어 관정(觀井)을 함도 井道에 말미암는 것이다.
井의 괘상과 이치를 바탕으로 토지제도인 정전법(井田法)과 홍범구주(洪
範九疇) 등이 쓰였으며, 고조선 당시 한글의 원형이 되는 고한글의 製字
원리도 井田의 상수리(象數理)에 바탕하였다고 전해 진다.
※정전법(井田法)
마을마다 토지를 井자로 9등분하여, 중심은 公田 그리고 밖의 8宮은 각기
사전(私田)으로 삼아 나눈 것으로, 공전에서 수확한 것은 조세(租稅)로 내고,
사전의 수확물은 각자 소유로 하는 제도.
첫댓글 고맙습니다
주역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