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 담(談)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불탈 염(炎)자를 했습니다. 불탈 염(炎)자는 불 화(火)자를 상하(上下)로 배열해서 불이 활활 타오르는 모습을 상형(象形)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묽을 담(淡), 가래 담(痰), 먹을 담(啖), 창 담(錟), 고요할 담(倓), 평평한 땅 담(埮), 여자이름 담(婒), 탈 담(惔), 담요 담(毯), 질소 담(氮), 옷 채색 선명할 담(緂), 불꽃 담(舕), 물억새 담(菼), 낯 길 담(顃), 권할 담(餤), 나라이름 담(郯)자들은 불탈 염(炎)자가 들어 있어서 ‘담’으로 읽습니다. 담화(談話) 담판(談判) 담소(談笑) 담론(談論) 만담(漫談) 만담(漫談) 정담(情談) 정담(政談)
논 답(畓)자는 논이 물이 가두어져 잇는 농토이기에, 밭 전(田)자에 물 수(水)자를 했습니다. 그저 밭은 밭 전(田)자이고 논은 물이 잇는 논이래서 답(畓)자를 사용했습니다. 논 답(畓)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유창할 답(沓)자는 물 수(水)자에 뜨거운 해를 나타내는 날 일(日)자를 해서, 물이 끓는 형상을 글자로 만든 글자입니다. 물밭이 곧 논입니다. 전답(田畓) 답주(畓主) 답권(畓券) 답품(畓品) 답토(畓土) 답고(沓庫) 답곡(畓穀)
밟을 답(踏)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유창할 답(沓)자를 했습니다. 유창할 답(沓)자는 물이 끓어 넘칠 답(沓)자로도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물이 끓어 넘칠 답(沓)자는 물 수(水)자 아래에 날 일(日)자를 해서 물을 햇볕으로 따뜻하게 데우는 모양을 했습니다. 또는 물 흐르듯이 말을 유창하게 한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답청(踏靑) 답사(踏査) 답파(踏破) 고답(高踏) 미답(未踏) 잡답(雜沓) 세답(洗踏)
팥 답(答)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합할 합(合)자를 했습니다. 합할 합(合)자는 모일 집(亼)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먹는 것 앞에는 모두 모이게 되고 마음이 한가지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팥 답(畣), 좀콩 답(荅)자는 합할 합(合)자가 들어 있어서 ‘답’으로 읽습니다. 답장(答狀) 응답(應答) 문답(問答) 답안지(答案紙)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