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내가 자주 가는 동호회 한 분이 모친상을 당했습니다.
오프라인 같으면 자주 안가지만 조문인데 상황이 틀린지라 빠질 수가 없었습니다.
면식있는 회원들만 서로 연락하여 장례식 장 앞에서 만났습니다.
영안실을 찾다가 상당히 난감한 일을 겪게 되는데...
"근데 산꼭대기 님의 원래 이름이 뭐지"
"......"
그렇습니다
아는거라곤 닉네임만 알고 있는데 막상 영안실은 실명으로 표시되어 있으니
초상집을 찾지 못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입니다.
전화를 해서야 겨우 이름을 알게 되었고 빈소를 찾을수 있었습니다.
근디,
문제는 요것으로 끝난게 아니고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부조금은 따로 개인적으로 봉투에 담았는데 안내를 맡은 청년이 방명록에
이름을 적어 달라는 겁니다.
너댓명이 머뭇거리다가 그냥 가면 이상할 것 같아서 적기로 했습니다.
펜을 들어 이름을 적으려다 보니 본명으로 쓰면 상주가 어떻게 알겠습니까?
늘 부르던 호칭으로 적어야 나중에 누가 다녀갔는지 알겠지요.
그래서 첫번째 사람이 자신있게 썼습니다.
"감자"
뒤에 서있던 회원도 처음쓴 사람의 의도를 파악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곤 자신의 닉을 썼습니다.
"해우소"
이 회원의 닉네임이 해우소가 맞습니다.
안내 데스크에서 대학생인듯한 젊은이가 난감한 표정을 짓기 시작합니다.
이어서 다른 회원도 닉네임을 쓰게 되었습니다.
"거북이 왕자"
안내 데스크의 젊은 청년은 웃지도 못하고 울지도 못하고
계속 민망한 표정으로 다음 사람을 응시합니다.
막상 방명록에 작성하는 일행들도 민망하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안절부절 못하면서 얼른 자리를 벗어나고 싶겠죠.
이름을 적지못한 뒤에 있는 회원 한분은
빨리 쓰라고 했더니 이 회원은 계속 머뭇거리고 있습니다.
이 회원의 닉은 "에헤라디야"였습니다.
빨리 쓰라고 다그쳤지만 펜을 들지 못하고 망설이고 있습니다.
"아.. 빨리 쓰고 갑시다.쪽팔려 죽겠어요"
그래도 그렇지...
상가집에서 어떻게 "에헤라디야"라고 쓰겠습니까?
그래도 얼릉 가자니까...
결국 에헤라디야 회원님은 다른 회원들보다 작은 글씨로 조그맣게
"에헤라디야" 라고 썼습니다.
그때였습니다.
마지막 남은 회원이
자리를 박차고 영안실을 뛰쳐나가는 것 아니겠습니까?
얼른 자리를 벗어나야겠다는 생각에 모두 큰 소리로 그를 불렀습니다.
"저승사자님! 어디 가세요?~~~~~!!!!!"
주변이 썰렁해졌습니다.
결국 일행들은 밥도 제대로 못먹고 장례식을 빠져나와야 했습니다.
믿거나 말거나ㅋㅋ
첫댓글 저승사자님 대박 인데요 ㅋㅋㅋ
저승사자님 ㅎㅎ 이름을 모르니 그렇게 부를수 밖에 없지요.. ㅎㅎ
마자요..닉넴은 헷갈려...
정출때 킹온님..라고 부르는것보다 광오님...이 얼마나 좋아...ㅎㅎ
맞습니다. 닉네임을 쓰려면 가로 치고 쓰면 좋지요. 회장님의 의견에 적극 동참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믿지 못할 실화라고 하니 공감이 가는 내용입니다.
저는 어제도 두군데 들렀는뎅.....
환절기라
맞습니다. 요새 노인분들 아침에 화장실 가실때 특히 조심하셔야 합니다.
자리에서 일어나실때도 워밍업 하고 일어나시면 조금 예방이 되겠지요
온라인 모임의 단점입니다.
맞습니다. 닉네임만으로는 특징과 캐릭터 구축은 되지만 영~ 안좋은 닉네임은 부르기도 민망하더라구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우리 남루클은 이름을 위주로 사용해서 그래서 좋은 것 같습니다. ㅎㅎ
ㅋㅋㅋㅋ
닉네임을 잘 지어야 겠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