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블라냐 5 - 류블라냐 시가지를 걸어서 강변의 예쁜 풍경을 구경하다!
2022년 5월 5일 슬로베니아의 피란 (Piran) 에서 버스를 타고 포스토이나 거쳐 류블라냐
(Ljubljana) 에 도착해 호텔에 체크인을 하고는..... 내일 아침에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 로 가는 기차표 를 끊은 후에 걸어서 티볼리 공원 Tivoli Park을 구경합니다.
그러고는 나와서 국립 미술관 의 뜰에 전시된 조각품들을 구경하고 근대미술관을 지나 오페라좌 Opera 를
구경하고는 도심 한가운데 작은 공원을 지나 시내를 남북으로 둘로 가르는 류블라니차 강 을 찾아갑니다.
슬로베니아 슬라브인들의 나라 로 북쪽 오스트리아와 남쪽 발칸반도 사이에 위치하며
동쪽 헝가리 접경에는 거대한 판노니아 평야가 펼쳐지는데 로마제국의 영토로
크로아티아와 함께 일리리아 로 불렸으니...... 오래된 고대 로마시대의 유적이 있습니다.
14세기에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의 영토로 되었으니 원래 슬라브족 이었음에도 독일어 가 국어가 되었으며
1919년 1차대전에서 오스트리아가 패전하자 유고슬라비아 영토로 편입되었다가 1991년에 독립했습니다.
가톨릭 을 믿는 관계로 서구 유럽과 문화적 동질상을 갖으며 1991년 독립전쟁을 거쳐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로 부터 독립했는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 를 가지고 있고 화폐는 유로 를 사용합니다.
도시 남쪽에 수도원을 개축해서 만든 야외 극장인 크리잔케 가 있고 류블라냐 여름축제 “페스티벌 류블라냐”
가 열린다는데..... 우리 부부는 국립박물관을 보고 국회의사당과 오페라 건물을 지나며 외관을 구경합니다.
그러고는 중앙우체국을 지나 국립대학 도서관에 이르는데 도서관은 책 모양의 작은 창 을
끼워넣은게 인상적인 오렌지색 건물로 건축가 플레츠니크의 작품 이라고 합니다.
그러고는 동쪽으로 걸어서 류블라냐 시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류블라니차 강변 에 도착
해서는 천천히 걸어서 신발장수의 다리 Cevljarski Most 등 강변 풍경을 구경합니다.
조선대 이승우 교수는 ‘프로방스를 걷다’ 칼럼에서 “세잔의 길은 그때 길이 아니다 ”
라는 글을 기고했으니.... “‘사람은 왜 걷는가’ 에 대한 대답으로 가장 그럴싸한
것이 ‘우리들의 발에는 뿌리가 없기 때문’ (다비드 르 브르통) 이라는 것이지만
‘길이 있기 때문’ 이라는 대답도 제법 설득력 있다. 사람은 발로 길을 걷기 때문이다. ”
“‘발이 있어서 걷는다’ 는 문장과 마찬가지로 ‘길이 있어서 걷는다’ 는 문장도 사실을 정확
하게 말하고 있다. 똑바른 길이나 꼬불꼬불한 길을 걷는다. 흙길이나 아스팔트길,
꽃길이나 산길을 걷는다. 길이 아닌 곳을 걸을수는 없다. 길이 아닌 곳이 없기
때문이다. 길이 없는 곳을 걸었다고 하는 사람은 길이 아닌 곳이 없다는 사실 을 모르고 있다.”
“길에서 헤맬수는 있다. 헤매었다고 해서 길 아닌 곳을 걸었다고 할 수 없다. 사막에는
길이 따로 없다. 모든 곳이 길이기 때문이다. 길이 없다는 말은 길이 너무 많다는
말과 뜻이 같다. 많은 사람들이 걸은 길이 있고 단 한 사람이 걸은 길이 있다.
오래전에 공개된 길이 있고 아직 나타나지 않은 길이 있다. 옛길이 있고 새 길이 있다.”
“소도시의 오래된 좁은 길들을 걸으며 나는 수천년에 걸쳐 이 길을 걸었을 수없이 많은
사람들의 발 을 생각한다. 길을 덮고 있는 것은 돌과 흙만이 아니다. 오는 곳과
가는 곳이 다르고 사는 모습이 다르고 사연이 제각각인 사람의 발이 포개져서
지금의 길 이 되었다. 유물과 유적만 그런 것이 아니다. 모든 길이 사람을 증거한다.”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느냐?’ 이 고전적 질문은 길과 사람의 사연 (역사) 을 하나로 보고
있다. 온 길과 갈 길을 말하는 것은 곧 그의 인생을 서술 하는 것이다. 길에는
그 길을 걸은 사람들의 기억과 욕망과 꿈이 어우러져 있다. 그것들이 길을 이루고 있다.”
“엑상프로방스에서 세잔의 이름이 촘촘히 박힌 길 을 만난다. 여행자들은 그 길을 따라
걸으며 도시가 좋아하는 화가를 만난다. 그가 살았던 집, 그가 생트빅투아르
산을 그리기 위해 매일같이 오르내렸던 언덕길을 걸으며 여행자들은 화가의
기억과 욕망과 꿈 을 생각한다 . 그의 기억과 욕망과 꿈을 자기 몸에 담으려 한다.”
“그 길은 세잔이 화구를 등에 지고 수없이 걸었던 길이다. 그렇지만 그 길은 그가 걸었던
것과 똑같은 길은 아니다. 여행자들은 그 길을 걸으며 세잔이 본 풍경을 본다.
그가 본 풍경은 세잔이 보았던 것과 똑같은 풍경은 아니다. 시간은 거리이다. 짧은
시간은 짧은 거리이고 긴 시간은 긴 거리이다. 거리는 인식과 감상에 차이 를 만들어낸다.”
한때 중요하던 것이 떨어져 나가기도 하고 한때 중요하지 않던, 그러나 나중에 중요해진
것이 달라붙기도 한다. 과거에 살았던 이의 발자취를 따라 걷는 그런 순례가 의미
없다고 할수 없다. 다르지만 같은 길을 걷고, 다르지만 같은 풍경을 보기 때문이다.
기억하고 욕망하고 꿈꾸는 사람의 발들을 길이 기억하고 욕망하고 꿈꾸기 때문이다.”
“가령 여행자가 그 길에서 이런 깨달음을 얻었다면 작은 수확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아마도 화가는 저 산에 매혹되어 그림을 그리고 또 그렸을 것이다. 한 번 그린 것
으로 만족했다면 한 장만 그리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만족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다시 그리고 또 그리고 자꾸만 그렸을 것이다. 만족하지 못하는 것 이 당연했을 것이다.”
“산은 늘 달랐을 테니까. 어제 산을 보고 그린 그림이 비록 완벽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어제의 산을 그린 것 이므로 그는 다시 오늘의 산을, 완벽하지 않게라도
그리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기억은 개별적이고 욕망도 꿈도 그럴 것이다.
그는 같은 그림을 여러 장 그린 것이 아니라..... 다른 그림을 여러 장 그린 것이다.”
“그 산은 화가로 하여금 계속 그리게 할 정도로 충분히 매혹적 이었을 것이다. 이 산은
화가에게 영감을 주어 그림을 그리게 했지만 화가는 그림을 통해 영감 넘치는
산으로 만들었다. 마치 고흐가 그린 ‘구두 한 켤레’ 나 ‘의자’ 가 그런 것 처럼,
저 산도 화가의 붓에 의해 영원을 얻었다. 사물을 영원으로 만드는 것은 작품이다.”
“여행객이 보는 것은 지금 거기 있는 산 이지만, 동시에 화가가 그때 본 산 이고,
그가 그린 그림 속의 산이고, 그 산들을 통해 기억하고 욕망하고 꿈꾸는
자기 자신의 산이다. 길은 길을 걷는 사람의 눈을 열어 풍경 속에 압축된
시간을 보게 한다. 풍경을 새롭게 하고 풍경을 보는 사람 자신을 새롭게 한다.”
세잔의 그림 이야기를 하다 보니 문득 떠오르는게 있으니....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말 가운데
“세계 3대 사과” 라고 있으니 ‘아담과 이브의 사과’, ‘뉴튼의 사과’ 그리고 ‘세잔의 사과’ 라고 한다지요?
하지만 스마트폰을 만들어 사회를 변화시킨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 에게 물어본다면
그는 ‘튜링의 사과’ 를 넣어 “세계 4대 사과” 라고 말할 것이라 생각되는데.....
알다시피 애플의 로고는 “한입 베어문 사과” 니 다시말해 “튜링의 베어먹은 사과” 입니다!
세계 2차대전의 숨은 영웅은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 으로 그는 1943년에 독일의 암호
시스템 애니그마를 해독 했으니.... 진공관으로 작동되는 전자해독기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연합군은 독일군의 배치도 까지 알게 되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나요?
그는 1936년 논문에서 계산기 기계에서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프로그램만 바꾸어
계산표, 문서 작성기, 데이터 관리기 등 멀티 역활 이 가능하다고
발표했으니..... 바로 오늘날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탄생 입니다?
하지만 전후에 튜링은 "동성애자" 로 밝혀져 범죄자 로 몰리자 1954년 청산가리
가 든 사과를 한입 베어물고 자살 했다고 하는데.... 그의 만능 기계
아이디어는 ‘폰 노이만’ 에 의해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으로 탄생하게 됩니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튜링에 대한 오마주(존경심) 로 애플의 로고를 “한입 베어문 사과”
를 채택했다는데..... 범죄자 튜링 은 사후 59년만인 2013년 12월 23일 영국 정부에서
사면 되었다네요? 갈릴레이기 로마 교황청에서 사면 받은게 360년 이후니 59년 쯤이야?
첫댓글
가슴 뛰는 일을 하라.
그것이 최고의 명상이다.
신이 당신 자신에게 주는 메시지는
가슴 뛰는 일을 통해서 온다.
가슴 뛰는 일을 할 때
당신은 최고의 능력을 펼칠 수 있고,
가장 창조적이며, 가장 멋진 삶을 살 수 있다.
-다릴 앙카-
건강과행운이 함께하는 기분좋은 하루길 되세요.
봄 치고는 사흘간이나 비가 내렸습니다.
이제 여름으로 넘어 가려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