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ysician Revives a Dying Art: The Physical
내과의사들은 사라지는 예술(의술) : 3진(촉진,시진,청진)을 되살린다
By DENISE GRADY
STANFORD, Calif. — For a 55-year-old man with a bad back and a bum knee from too much tennis, Dr. Abraham Verghese was amazingly limber as he showed a roomful of doctors-in-training a twisting, dancelike walk he had spied in the hospital corridor the day before. He challenged them to diagnose it. Hemiplegia? Sensory ataxia? Chorea? Spastic diplegia? “It would be a shame to have someone with a gait that’s diagnostic, and yet we can’t recognize it,” he said. It was their introduction to a rollicking workshop on abnormal gaits that soon had them shuffling, staggering and thrashing about, challenging one another. Parkinson’s? Neuropathy? Stroke? Dr. Verghese (ver-GEESE) is the senior associate chairman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medicine at Stanford University. He is also the author of two highly acclaimed memoirs, “My Own Country” and “The Tennis Partner,” and a novel, “Cutting for Stone,” which is now a best seller. At Stanford, he is on a mission to bring back something he considers a lost art: the physical exam. The old-fashioned touching, looking and listening — the once prized, almost magical skills of the doctor who missed nothing and could swiftly diagnose a peculiar walk, sluggish thyroid or leaky heart valve using just keen eyes, practiced hands and a stethoscope. Art and medicine may seem disparate worlds, but Dr. Verghese insists that for him they are one. Doctors and writers are both collectors of stories, and he says his two careers have the same joy and the same prerequisite: “infinite curiosity about other people.” He cannot help secretly diagnosing ailments in strangers, or wondering about the lives his patients lead outside the hospital.
켈리포니아,스텐포드--너무 많은 테니스를 처 등통(요통)과 범(룸펜,건달,광)니에 시달리는 55세의 남자를 위해 의사 버기스씨는 그가 그전날 병원회랑에서 훔처보았었던 한방 가득찬 의사들이 춤을 추는 듯 걷는 트위스트를 배우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대단히(매우) 림버(경쾌한,유연한,준비운동을하다)하였다. 그는 그것을 진단하는것에 대하여 그 의사들을 첼린지(설명을요구하다,힐난하다)하였다. 헤미플리지어(반신불수)?. 센서리(감각기관의) 어텍시어(기능장애)?. 코리어(무도병)?. 스페스틱(경련성) 다이플리저(양측마비)?. 어떤사람이 진단상의 문제점이 있는 게이트(걸음걸이,걷는모양)로 걷는 것이 어쉐임(고역)임에도 우리 의사들은 그것이 병으로 인한것임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라고 그 의사는 말 했다. 그것은 곳 의사들끼리 서로가 니가 잘난니 내가 잘난이 업치락뒷치락하면서 싸우게 만든 환자의 비정상적인 걸음걸이를 보고 진단하는 유연한 분위기의 워크샵을 만든 문제 제기의 서막이엇다. 그 문제의 걸음걸이가 파킨슨씨병의 전조? 뉴어라퍼시(신경장애)?. 중풍?. 닥터 버기스씨는 스텐포드대학 의과대의 이론과 실제 고위 연합회장이다. 그는 아주 높은 평가를 받는 멤와즈(논문집,학회지,연구논문)인 마이오운칸트리와 테니스파트너와 지금 베스트셀러가 된 소설 스톤을 위한 커팅 이라는 책의 저자이기도 하다. 스텐포드대학에서 그가 사라저버린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신체검사의 중요성을 복원하는 미션을 수행중이다. 옛날 방식인 촉진,시진과 청진으로 한때 큰 인기를 껄었던 그것은 그런 외형적인 진단을 통하여 족집게처럼 잡아내는 거의 의사 개인의 환상적인 기술로 그냥 날카로운 눈썰미와 프렉티스트(익숙한,숙련된) 손과 스테서스코우프(청진기)를 사용하여 독특한(이상한) 걸음걸이 슬러기쉬(둔한,느린) 싸이어로이드(갑상선) 혹은 바람이 리키(새는) 심장판막등을 진단할수 있다. 예술과 의술은 각각 다른 영역으로 보일수 있지만 박사 버기스씨는 자신에게 있어 예술과 의술은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의사들과 작가들은 남의 이야기를 듣고 취합하는것이고 두직업세계가 같은 즐거움과 같은 프리레쿼짓(필수조건,불가결한)것을 가지고 있는대 바로 다른 사람에 대한 무한한 호기심을 기초로 하는 직업이라는 것이다. 그는 환자의 외양을 보고 어떤 질병을 가지고 있구나 혼자 진단을 내려야 하고 환자가 현실세계에서 어떤 삶을 살았는지 궁금해하지 않을 수 박에 없다.
“People are endlessly mysterious,” he said in an interview in his office at the medical school, where volumes of poetry share the bookshelves with medical texts, family photos and a collection of reflex hammers. His sources of inspiration include W. Somerset Maugham and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In addition to his medical degree, he has one from the writing workshop at the University of Iowa. He is out to save the physical exam because it seems to be wasting away, he says, in an era of CT, ultrasound, M.R.I., countless lab tests and doctor visits that whip by like speed dates. Who has not felt slighted by a stethoscope applied through the shirt, or a millisecond peek into the throat? Some doctors would gladly let the exam go, claiming that much of it has been rendered obsolete by technology and that there are better ways to spend their time with patients. Some admit they do the exam almost as a token gesture, only because patients expect it.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have let the exam slide, Dr. Verghese says, noting that over time he has encountered more and more interns and residents who do not know how to test a patient’s reflexes or palpate a spleen. He likes to joke that a person could show up at the hospital with a finger missing, and doctors would insist on an M.R.I., a CT scan and an orthopedic consult to confirm! it. Dr. Verghese trained before M.R.I. or CT existed, in Ethiopia and India, where fancy equipment was scarce and good examination skills were a matter of necessity and pride. He still believes a thorough exam can yield vital information and help doctors figure out which tests to order and which to skip — surely a worthwhile goal as the United States struggles to control health care costs, he said. A proper exam also earns trust, he said, and serves as a ritual that transforms two strangers into doctor and patient.
사람은 끈임없는 미스테리이다 라고 그는 의대의 그의 사무실에서 그렇게 말 했다. 그의 영감의 원천은 메거험과 내과의 헤리슨원칙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의 학위중 하나는 아이오아대학의 습작 워크샵에서 취득한 것이다. 그는 초음파와 씨티를 찍고, 스피드데이트같이 윕(채찍,바쁘게움직이다)하는 수업는 테스트와 의생과의 상담을 벌이는 시대에 신체적특징으로 검사하는 것이 쓸대없는 것처럼 보이기에 신체검사를 세이브(덜어주다,줄이다)려고 아웃투(애쓰다)한다. 셔츠속에 청진기를 어플라이(대다)하거나 목구멍을 살짝들려다보는 진단방식에 의해 슬라이트(경시하다,모욕하다)함을 느끼지 않을 사람이 누가있을까?. 일부 의사들은 환자의 검사의 대부분은 검사방법의 새로운 신기술에 압설릿(쓸모없게된,진부한,시대에뒤진)하게 되었고 환자와 의사가 시간을 보낼수 있는 더 좋은 방식이 있다고 주장을 하면서 기꺼이 외관검사를 렛고(묵과하다)해 버린다. 일부의사들은 환자들이 신체검사를 원할 때만 상징적인 제스처로서 검사를 실시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미국의 의대들은 사실상 검사기술을 렛슬라이드(방치하다)하여 그는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환자의 리플렉스(반사작용의,반사신경) 혹은 스플린(비장)을 펠페이트(촉진하다)하는 방법을 모르는 아주 많은 인턴이나 레지던트를 접하게 된다 라고 언급하였다. 만약 환자가 손가락 하나를 집에 놓고 안가지고 오면(손가락 하나가 없는 환자가 오면) 의사들은 진짜 손가락이 없는지 엠알아이나 씨티를 찍어 봅시다 혹은 오써피딕(정형외과) 상담을 받아 보자라고 주장할것이라는 농담을 그는 좋아한다. 버기스박사는 엠알아이나 씨티가 존재하지도 않았던 그리고 좋은 의료장비가 거의 없고 그냥 눈썰미로 때려 맞추는 외관 검사 기술이 필수였고 자랑이었던 이디오피아와 인디아에서 의술을 배웠다. 그는 철저한 외관 검진만이 환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수 있고 의사들이 테스트를 주문할지 혹은 추가 테스트를 하지 않을지 이해하는대 도움을 준다고 아직도 믿으며 미국이 고가의료장비 사용을 마구 남발함으로서 의료비용 부담에 허덕이고 있는 이때 그것은 분명이 워쓰화일(해볼만한) 목표이다 라고 그는 말 했다. 의사가 직접 손으로 행하는 환자에 대한 검사는 신뢰할만하며 서로 서먹한 의사와 환자가 진짜의사 진짜환자가 될 수 있는 통교의 역할을 한다 라고 그는 말 했다.
“Patients know in a heartbeat if they’re getting a clumsy exam,” he said. He has lectured and written about the erosion of examination skills, and his ideas have resonated with many doctors. Stanford recruited him in 2007, in large part because of his enthusiasm for teaching the exam. He seized the bully pulpit. “Coming from here, it’s taken more seriously,” he said. With colleagues, he developed the Stanford 25, a list of techniques that every doctor should know, like how to listen to the heart or look at blood vessels at the back of the eye. The 25 are not the only exams or even the most important ones, he emphasizes — just a place to start.
환자들은 환자 자신이 클럼지(꼴사나운,서투른) 검사를 받으면 심박을 통하여 그 사실을 안다 라고 그는 말 했다. 그는 신체검사(건강검진) 스킬의 약화에 대하여 강연도하고 글도 써 왔으며 그의 생각은 많은 의사들의 호응을 받았다. 스텐포드대학은 그 의사의 촉진,시진,청진등 3진을 가르치는 그의 열정 때문에 2007년 그를 스텐포드대학으로 모셔왔다. 그는 불리풀핏(공직의권위)를 시즈(포착하다,이용하다)하였다. 야들아 배워서 남주나 라고 그는 말 했다. 동료와 함께 그는 심장박동을 듣거나 혹은 눈뒤에 있는 혈관을 보는 방법같은 모든 의사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테크닉 목록인 스텐포드 트웨니파이브를 개발 하였다. 트웨니파이브에는 검진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 중요한 것일수도 있는 어디를 보고 검진을 해야하는지에 관한 것도 있다.
Medical School, Interrupted 힘들었던 의대 재학시설
At times, Dr. Verghese said, he feels almost embarrassed by all the interest in his work, because the exam techniques he is teaching are nothing more than the same ones he learned in Ethiopia and India decades ago. Two days a week he hides out to write, in a secret office that was part of the deal he made when Stanford recruited him. His name is not even on the door; he left the names of the previous occupants. There is no land line. Like Dr. Marion Stone, the main character in “Cutting for Stone,” Dr. Verghese was born in Ethiopia. His parents were teachers from Kerala, a Christian region in southern India. His mother ha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there about life in Ethiopia. The family’s expectations were high. “You were a doctor, engineer, lawyer or a failure,” Dr. Verghese said. He was always drawn to literature, but never imagined he could make living at it. He left Ethiopia at 15 for two years of premedical studies in Madras, India, and then returned to Addis Ababa for medical school. By then his parents, worried about Ethiopia’s stability, had moved to the United States. But he had no desire to leave. “I loved that land,” he recalled. The medical training was rigorous. Students spent a year dissecting a cadaver, and then had to pass grueling essay exams. “It was almost brutal,” he said. “But it left us changed in some fundamental way, like formatting a disk.” Medical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today spend far less time studying anatomy — too little to learn it well, he said, shaking his head. Civil war broke out in Ethiopia in 1974. Emperor Haile Selassie was deposed, and the military took over. During Dr. Verghese’s third year of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was shut down. Soldiers were everywhere.
가끔씩 그는 그의 작업에 있어 너무 단순한 관심사(감흥,중요성)에 의해 거의 부끄럽게 느꼈는대 그가 의대생들에게 가르치고 있는 검진기술이 그가 수십년전에 이디오피아와 인디아에서 배웠던, 기술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바로 그 기술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일주일에 2일은 그는 스텐포드대학이 그를 초빙할 때 그가 내 걸었던 딜의 일부인 비밀의 사무실에서 혼자 글을 쓴다. 그의 이름은 그의 사무실 문에 붙어 있지도 안는대 그는 그 이전에 그방을 쓰던 사람의 이름을 띠지 안코 그대로 내버려 두었다. 그가 글을 쓰는 비밀의 방에는 전화도 설치되어 있지 안타. 스톤을 위해 커팅을 해라라는 소설속의 주인공 박사 메리슨 스톤씨처럼 박사(의사) 버기스씨는 이디오피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인도 남부지방의 기독교지역인 케랄라출신 부부교사였다. 박사(의사) 버기스씨의 어머니는 이디오피아에서의 생활에 관하여 기사화된 신문 기사들을 아직도 가지고 있다. 가족의 기대감은 아주 높았다. 아들 버기스야 너는 의사,엔지니어,변호사가 되던가 그렇게 될 자신이 없으면 차라리 디져(니 인생에 도박을 걸어라) 라는 말을 했다 라고 의사 버기스씨는 그렇게 말 했다. 의사 버기스는 언제나 문학에 심취해 있었지만 그는 문학인으로 인생을 살겠다는 생각은 결코 하지 않았다. 그는 그의 나이 15살 때 인도의 마드레스에서의 의대 프리메디컬(예과) 공부 때문에 2년간 이디오피아를 떠나 있었다가 그 다음 의대 본과 공부를 위해 다시 아디스 아바바로 회가(回家)했다. 그 무렵 의사 버시스씨의 부모는 이디오피아의 정정에 불안을 느끼고 미국으로 영영 떠났다. 그러나 그는 이디오피아를 떠날 마음이 없었다. 나는 이디오피아를 사랑했으니까요 라고 그는 과거시절을 회상했다. 의대 수업은 너무나 엄격했다. 의대 학생들은 커대버(송장)을 디섹(절개하다,해부하다) 실습하면서 1년을 보낸다음 그루얼림(진땀빼는,녹초로만드는) 논술시험(의사자격고시)를 합격해야만 했다. 의사되는 것은 죽는 것 보다 더 힘든 것 이었다 라고 의사(박사) 버기스씨가 그렇게 말 했다. 그러나 너무나도 힘든 의대에서의 훈련과 교육이 우리들을 훌륭한 의사로 키운 것으로 그것은 디스크를 포맷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우리의 사고 자체를 변화시킨 것 이었다 라고 그는 말 했다. 오늘날의 미국 의대생들은 과거에 비해 어네터미(해부학)을 공부하는대 훨씬 더 시간이 적은 훌륭한 의사가 되는 공부로는 택도 없이 적은 해부학 공부를 하고 있는대 그것 사람 고치는 의사가 아니라 사람 잡는 의사를 만들고 있다 라고 그는 고개를 설래설래 흔들며 그렇게 말 했다. 1974년 이디오피아에서 내전이 발발하였다. 황띠 셀라시에가 디스포즈(물러나게하다,폐지하다)하여 졌고 군부가 정권을 장악하였다. 버기스씨의 의대 3학년 시절내내 학교가 문을 닫았고 군인들이 산지 사방에 보였다
A curfew was imposed, and troops patrolled at night in jeeps with mounted machine guns. Corpses lay in the streets. As a citizen of India, he was a foreigner, and it was time to get out. He joined his parents in Westfield, N.J. America excited him. But he was a young man used to being on his own, thrust back into a small house with his parents, who urged him to finish his medical studies. He would have to start from scratch, earning a bachelor’s degree and then applying to medical schools, even though he already had more than two years of medical training. He took a night job as a hospital orderly. He liked earning a paycheck, and he bought a used car, hung out with nurses and orderlies, and dated an American girl. “I could see my blue-collar life starting to unfold,” he said. “I’d marry a Jersey girl, we’d live in an apartment someplace and take vacations in the Poconos when we could afford it.” He lost his way during that period, he says, and it made him the black sheep of the family.
통행금지가 시행되었고 군인들이 기관총이 적치된 지프를 차고 밤에 순찰을 돌았다. 시체들이 거리에 너분지리했다. 인도 시민권자인 그는 외국인이었기에 이디오피아를 떠나야만 했다. 그는 뉴욕 웨스트필드에사는 부모에게로 갔다. 미국은 그를 들뜨게 했다. 그러나 그는 혼자 독립을 하기에는 아직 어린나이었기에 무슨일이 있어도 의대공부를 끝마추어야 한다고 강권하는 부모가 사는 작은 집으로 써스트백(후퇴시키다)하였다. 그는 이미 의대 2학년을 타국에서 끝마친 상태였지만 미국에서 의학 석사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원점에서 다시 출발해야만 했다. 그는 병원 오덜리(간호병,당직병)으로 야간일을 택했다. 그는 학비를 벌어야만 했고 그는 중고차를 사 간호원들과 신출내기 의대 실습생들을 태우고 쏘 다녔으며 그는 미국 소녀와 대이트를 즐겼다. 나는 펼처지기 시작한 환상적인 미국에서의 불루칼라인생을 느낄수가 있었다 라고 그는 말 했다. 나는 어떤 저지출신 아가씨와 결혼하여 아파트에서 신접 살림을 차렸고 우리의 행핀이 좀 피자 포코너스에서 바캉스를 즐겼다 라고 의사 버기스는 그렇게 말 했다. 그는 그기간에 단꿈에 젖어 허우적거리다 그는 가족들을 속 썩이는 블랙쉽(개망내이)가 되었다.
A Passionate Return to Training 열정을 다시 공부에 쏫다
Then one night at work he had an epiphany. He picked up a book that a medical student had left behind, the Harrison textbook. It’s a medical school classic, the same book he had studied in Ethiopia. He realized how much he had already invested in medicine, and what he would be throwing away if he did not resume his training. He finished medical school in India, and then did his residency in the United States, specializing in internal medicine and infectious disease. He worked in Tennessee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AIDS epidemic, before there were any effective treatments. Before AIDS, he said: “I must have been a conceited ass, full of knowledge. AIDS humbled a whole generation.” He came to know many of hi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He visited their homes, attended their deaths and their funerals. One patient, near death, awoke when Dr. Verghese arrived, and opened his shirt to be examined one last time. “It was like an offering,” Dr. Verghese said, with tears in his eyes. “To preside over the bed of a dying man in his last few hours. I listen, I thump, I don’t even know what I’m listening for. But doing it says: ‘I will never leave you. I will not let you die in pain or alone.’ There’s not a test you can offer that does that.” His long hours and intense involvement with his patients led to his first book, “My Own Country,” but also drained him and contributed to the failure of his first marriage. Still, it was not a mistake to get so close, he insists. “I’ve never bought this idea of taking a therapeutic distance,” he said. “If I see a student or house staff cry, I take great faith in that. That’s a great person, they’re going to be a great doctor.” He met his present wife, Sylvia, in El Paso, where she had started a ministry to help people with AIDS. Their son, Tristan, is 12. Dr. Verghese also has two grown sons, Jacob and Steven, from his first marriage.
그리고 나서 일을 하던 어느날밤 그는 어떤 이피퍼니(신의출현,통찰,직관)을 얻었다. 의사 버기스씨는 어떤 의대생이 남기고 갔던 책인 헤리슨 교과서를 집어 들었다. 그 책은 의대의 클레식에 해당하는 의학서적이고 그가 이디오피아에 있을때 공부했던 바로 그 책이었다. 그는 이미 의학공부에 수많은 시간을 투자했었다는 것과 그가 만약 의학공부를 재개하지 않으면 그가 지금까지의 모든것을 쓰로우어웨이(낭비하다,저버리다)하게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인도에서 의대를 마치고 그런다음 내과와 인펙셔스디지즈(전염병)을 전문의로서 미국에 거주를 했다.그는 어떤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던 에이즈만연기 초기에 테네시주에서 일했다. 에이즈 창궐이전에는 나는 전문지식으로 무장한(능통한) 컨시티드(자부심이강한) 에스(몸,개자식)이었음이 틀림 없었다. 에이즈는 전 세대를 겸허하게 만들었다. 그는 그가 치료하는 환자들과 환자들의 가족들의 고통을 알게 되었다. 그는 에이즈환자들의 집을 방문했고 죽음과 장례식에도 참석했다. 죽음이 가까워진 어떤 환자는 박사 버기스씨가 도착하자 마자 잠에서 깨어나 검사를 받기 위해 그의 셔츠를 올렸는대 그것이 마지막 검사가 되었다. 그것은 신에게 바치는 오퍼링(봉납) 같았다 라고 그는 눈물을 그렁거리며 그렇게 말 했다. 버기스씨는 마지막 몇시간동안 죽어가는 사람의 침상을 지키면서 나는 듣고 썸프(탁치다,가슴이두근거리다)하였지만 나는 도대체 뭘 듣고 잇는지도 몰랐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 였는대 나는 결코 당신을 떠나보낼수 없어요, 나는 당신을 고통속에 혹은 홀로 죽게 내버려둘수 없어요. 이것은 당신을 살리기위한 테스트에요 등과 같은 말 이엇다. 환자들과 오랜시간을 보내고 깊은 인연을 맺는바람에 그의 첫 책 나의 조국이라는 책을 집필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에이즈환자들을 너무 열정적으로 대하다 보니 그는 진을 다 빼게 되엇고 첫 부인과 이혼이라는 아픔에 이르게 되었다. 아직도 환자들에게 아주 가깝게 다가가는 것이 잘못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라고 그는 주장한다. 나는 쎄러퓨틱(건강유지에도움이되는,치료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는 생각을 결코 해 본적이 없다 라고 그는 말 했다. 만약 내가 울고 있는 어떤 학생이나 병원직원을 본다면 나는 그것을 기꺼이 도와주어야 할 큰 신뢰(신의,성실)로 받아들인다. 그런 사람은 훌륭한 사람이고 그들은 위대한 의사가 될것이다 라고 그는 말 했다. 그는 현재의 부인 실비아를 엘파소에서 만났는대 그녀는 그곳에서 에이즈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도와주는 미니스트리(봉사)를 시작했었다. 현재의 부인사이에 12살난 아들을 두고 있다. 의사 버기스씨는 또한 첫번째 부인에게서 태어난 아들인 자콥과 스티븐을 부양하여 왔다.
The Next Generation 차세대
Making hospital rounds with students, Dr. Verghese is in his element. He is impeccably dressed under the white coat, in a crisp dress shirt, pale silk tie and sharply pressed pants. His hair has made its retreat, and what remains is trimmed too close to hide the hearing aids that he has reluctantly begun to wear. He loves being in the wards, he says. It is the only place where his back does not ache. On a morning in August, he peppered four students with rapid-fire questions, mini-lectures on science and the history of medicine, pointers on presenting cases, and jokes that made them roll their eyes or laugh, or both. “What can alcohol do to the nervous system?” he asked. Damage the cerebellum, said one. Cause seizures, said another. “Come on, I want 10,” Dr. Verghese said, insistent but not bullying. “What’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tethoscope?” They stared at him. “The part between the earpieces.” They moaned. Striding down the corridor, he told them about an unusual condition that produces silver-colored stools. “You’ll be so impressed you’ll want to take them home,” he said. With a group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he waited until they had taken their places around a patient’s bed, then asked them to turn their backs and look away. What had they noticed on the bedside table? A lunch tray? A book? Clues to whether the patient could eat, whether he was alert? Did he look comfortable? Or did he seem to be in pain? “What if the patient says, ‘Whatever you do, Doc, don’t bump the bed’?” Dr. Verghese asked, bumping the bed with his hip. “Consider peritonitis.” The patient, a man in his 80s, grinned, enjoying the show, and seemed pleased to let the students practice palpating his spleen and percussing his lungs. “Name five things that are better outside the body than in,” he asked, not mentioning that the answer appears in his novel: fluids, fetuses, foreign bodies, feces and flatus.
학생들과 함께 병원 회진을 도는것은 버기스박사에 있어 기본이다. 그는 하얀코트,크리스프(빳빳한) 셔츠,페일(연한) 실크넥타이와 칼같이 다린 바지를 입고 있었다. 그의 머리는 리트릿(뒤로물리다)하였고 남아있는 머리는 그가 마지못해 착용하는 보청기를 숨기기 위해 아주 바짝 따듬었다. 그는 병동에 머무는것을 좋아한다 라고 그는 말 한다. 그는 회진을 돌아야만 몸이 개운했다. 8월 어느날 아침 그는 현재 들어나고있는 문제들에 대한 포인터(지시자,조언,충고)로 의학과 의학의 역사에 대한 미니강연으로 속사의 질문을 가지고 4명의 학생들에게 페퍼(질문을퍼붓다)하였고 학생들이 눈알을 굴리거나 웃게 만드는 조크를 했다. 알콜(술)이 신경계에 끼치는 영향이 뭐야? 라고 박사 버기스씨는 질문을 했다. 세러베럼(소뇌)를 망가뜨려요 라고 한 학생이 말 했다. 시저(발작,뇌졸증)을 일으켜요 하고 다른 학생이 말 했다. 야 10번째 병 소인을 말해봐 라고 인시스턴트(끈질긴)하였지만 그렇다고 강압적인것은 아닌식으로 의사 버기스씨는 말 했다. 스테쓰어스코프(청진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뭐야? 라고 그는 질문을 했다. 학생들은 그 교수를 응시했다. 이어피스(귀덮게,귀에대는부분) 사이의 부분은. 학생들은 신음소리를 냈다. 회랑을 성큼성큼 내려가 박사는 은색깔이 나는 스툴(변소,변통,대변)이 일으키는 특별한 상태에 대하여 의대생들에게 이야기를 했다. 너희들은 그 은색똥이 너무 인상적이어 너희들은 그 은색똥을 집을고 가지고 시퍼질 께야 라고 그 박사는 말 했다. 3학년 의대생들과 함께 그박사는 학생들이 어떤환자의 병상주위로 자리를 잡을때까지 기다렸다가 그 다음 학생들에게 등을 돌리고 한번 둘러보라고 말 했다. 학생들이 베드테이블위에서 알아차린것은 무었일까?. 식판?. 투수(도서)?". 그환자가 먹을수 있는 음식인지, 그 환자가 주의를 환기시킨(알려준)것이 단서일까?. 그 환자가 편안해 보였을까?. 혹은 그 환자가 고통스러워하는 것으로 보였을까?. 너희들에게 뭘하던지간에 침대에 부딪히면 주거써 라고 환자가 말 한다면 어쩔껏이여? 라고 의사 버기스시는 그의 궁댕이를 침상에 툭툭 부딪히며 그렇게 질문을 했다. 페리턴아이티스(복막염)을 한번 생각해봐. 그 광경을 누워 지켜보던 80대 남자인 그 환자는 의사가 의대생들 군기 잡는것 보더니 재미 있다고 함소하면서 의대 실습생들이 그의 스플린(비장을)을 손으로 펠페이티(촉진하다)하고 그의 폐를 톡톡두드려 퍼커스(타진하다)하며 환자 실습을 하자 기쁜듯이 보였다. 몸속에 들어 있는 것 보다 몸 밖으로 나오는 것이 더 좋은것 5가지만 이름을 대봐 라고 그는 질문을 던졌는대 정답은 그의 소설속에 들어 있는 채액,피터스(태아),포린바디(이물질),똥과 플레이터스(뱃속의까스)등은 말할것도 없고 하여튼 5가지만 대 보라고 질문을 했다
As they headed to the next room, Dr. Verghese told the students: “We’re going to walk these corridors and I’m going to ask you if you notice anything unusual. I’m going to ask you about someone I see along the way. Peek into patients’ rooms as you go by.” They gathered around the next patient, leaning in close as Dr. Verghese pointed out signs of facial weakness — inability to raise the eyebrows, a lip that rose more on one side than the other when Dr. Verghese asked to see the patient’s teeth, one eye that blinked more often than the other. In the corridor, he said, “Here’s your question: What about the lady in the next bed?” As she had watched them walk by, only one of her eyes had moved. Just a few of the students had noticed. “You can’t show up at the bedside and then turn on your skills,” he said. “You have to keep your game sharp all the time.” Outside another patient’s room, he had a group of interns and residents palpating their own thighs as he showed them a technique for finding the right place to stick the needle when culturing an abscess. “Wow!” said one of the group, whose needle had recently missed its mark. “Amazing. This is great.” Dr. Verghese smiled. “I am here to astound you,” he said.
의사와 의대생들은 다른 병실로 향하면서 박(의)사 버기스는 우리는 이 카이로를 지나가게 되는대 나는 이곳을 지나치면서 너희들이 어떤 특별한 것을 감지했는지 질문을 던질것이야 라고 그 의사는 말 했다. 나는 그길을 따라 가다 내가 본 어떤 사람에 대하여 질문을 던질것이야. 너희들이 회랑을 지나가면서 환자들 병실을 한번 삐끔이 디다바 라고 그 의생은 말 했다. 의사 버기스씨가 한쪽눈을 다른쪽 눈보다 더 자주 블링크(깜박이다)하는 눈을 가진 그 환자의 눈을 보라고 말 하면서 눈도 못뜰만큼 미약하고 다른 한쪽의 입술이 대방쪽의 입술보다 더 많이 올라간 어떤 환자의 얼굴에서 들어나는 약하디 약한 징후를 가리키자 의대생들은 더 가깝이 몸을 수구리며 다음환자 주변으로 몰려들었다. 카이로에서 내가 너희들에게 질문하나 할께, 다음 침상에 있는 저 레이드는 어때? 이라고 박사는 의대생들에게 말 했다. 환자인 그 레이디는 지나가는 의대생들을 처다볼때 그녀는 오직 한눈만 움직엿다. 불과 몇명의 의대생만이 외관을 보고 어떤병에 걸렸는지 알아 차렸다. 여러분이 환자의 침상에서도 그 환자의 병이 도대체 모르겠다고 생각한다면 그러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능력으로 알아서 결정해야 한다 라고 그는 말 했다. 여러분은 늘 여러분의 게임(일,직업)을 샤프에게 유지 관리해야 할것이야 라고 그 의생은 말 했다. 밖의 다른 환자 방에서 그 의생은 그 자신이 엡세스(종양)을 컬처(배양하다)할때 바늘을 스틱(찌르다)할 적당한 장소를 찾는 방법을 의대생들에게 보여주면서 인턴과 레지전트들에게 자신들이 넙쩍다리를 펠페이트(만져보다,촉진하다)하도록 했다. 바늘을 최근 잘못 꼬자써떤 그 그룹의 한 의료 실습생이 와우 라고 소리질렀다. 야 너 정말 지랄났었껬꾸나 라고 의사 버기스는 웃었다. 내가 너희들을 어스타운드(몹시놀라게하다)하려고 이곳에 있는 것이야 라고 그 의생은 말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