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07. 26. 그림자 호위무사 출신 네이버 오두막 지기 A - 2 그룹.
정치 1.
무한한 시공에서 단일, 정태 우주론을 가정하고 우주의 시공만 고려하더라도,
매년 태어나고 죽는 털 없고 꼬리 없는 인간이라는 짐승의 시공은 찰나 중 찰나, 먼지 중 먼지에 불과할 것이다.
심지어 인류가 생겨 진화하고 멸종하기까지, 찰나든, 먼지든, 마리수든 10의 12승 시공간도 못 채울......
살아 있는 동안 보다 후회 없이, 보다 가치있게 살다 가기 위해 우리 모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오늘은 인간 가치 중 시공을 초월하는 보편, 준보편 아래 가치인 국익.
그 국익의 한 분야들이자 국가의 하드파워, 국태민안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인 경제성장률, 국가채무, 가계 채무 증가율 등등.
그런 경제, 재정 영역들과 국익 아래 가치인 정치, 관료 영역과의 상관관계,
즉, 광의의 책임 정치 중 경제, 재정 영역 일부와 정부, 관료의 책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십 년이 훌쩍 넘은 침묵의 시대로 참으로 편하게 정치 놀음하며 정치 악폐질 중인 정부, 여야 정치 해충들......
지적, 도덕적, 인격적 백치, 소시오패스들이 세속 탐욕으로 눈 발개 노무현의 정치하지 말란 뜻을 어기고 노무현 시체 팔이로 작년에 왔던 문가 패거리 각설이들은 죽자도 않고 또 왔네.
부패, 무능, 무지의 기성 정당제도 및 감성팔이와 숟가락 신공으로, 또 다른 악폐 중 악폐 사대수구개독 패거리들의 해악, 삽질의 손님 실수에 기대어 행정부는 물론 입법부까지 장악한 각설이들은 전 영역에 걸쳐 나라, 역사 퇴보, 퇴행에 바쁘시구나. 각설이 패거리들은 곤장, 요참형은커녕 부족하고 거열형, 부관참시로도 부족할 것이다.
일개 소시민, 노숙자도 과분한 인격에도 불구하고 행정, 의회권력 등 대의 권력을 장악하고 세속 탐욕과 몰인격으로 완전무장하여, 세숫대 철판 백 리 깔고 혈세, 통치권력, 공권력 탐닉과 노략질에 어제도 오늘도 바쁘신 구악과 폐습 덩어리 문가 패거리 등 자칭 개혁, 진보 패거리, 타칭 사기 매국 해충들의 능력과 업적 및 책임정치 평가는?
그럼에도, 문가 패거리들의 총체적 실정에도 불구하고 상식적 정책, 대안 제시 능력은커녕 기본적인 견제, 균형 능력도 없는, 폐족에도 부끄럼 하나 없고 오히려 왜 폐족이 되었는지조차 모르는 걸 자복하는 사대수구개독 잔당들...
장하다. 아직까지도 박근혜 사면, 이승만, 건국절 타령 등등 주호영, 홍준표 등등 이명박근혜 내시, 잔당들이 설치며 문가 패거리들의 혹독한 심판을 방해하고 있구나.
오래전에 능지처참, 폐기 처분 되었어야 할 자칭 보수, 우익, 타칭 사대수구매국 해충 패거리들은 어제도 오늘도 부패, 무능한 기성 양당 정당제도에 기대어 사기 진보, 개혁 해충들의 대청소, 박멸에 할딱벗고 충성질 중이시다.
상식적 수준의 야당 대안 정치 세력이 있었다면 지난해 문가 정권은 한 자릿수 지지율로 두 발 저는 오리 신세, 어쩌면 내시 등과 더불어 콩밥 드시고 있었겠지?
이하, 미끼, 삐끼용으로 부동산 등 경제 관련 모니터링 자료다.
2020년 9월에 모니터링 한 우리나라 전용면적 25평 아파트 실거래가격 순위다.
현재, 2021년 7월... 불과 10개월 만에 가격도 순위도 다소 변동이 있었다.
10년, 20년 후에는 얼마나 변해 있을까?
어제의 흔적 보관 글 과거와 미래의 집값 추이, 예상과 관련하여...
이하는 우리나라 장기 집값 상승과 관련, 2021년 6월 19일 자 모니터링된 자료 중 일부다.
IMF 환란이 지난 지 24년이 흘렀구나.
1997년~2021간 어느 지방, 어느 집값이 얼마나 올랐나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이 또한 대충이다
하긴 24년간 국민 소득, 자산 증가폭, 돈가치 하락 폭도 만만찮을 것이고..
또, 최악 뭉가 패거리 정권 들어 특히, 십수 년간 건축비만 해도 열 배 올랐으니..
강남 청담 삼익은 1997년 1.7억에서 28억으로 올랐다.
강남 대치은마는 1.5억에서 24.8억,
서초 반포미도는 1.8억에서 22.5억,
송파 잠실 주공5단지는 1.35억에서 24.3억,
강동 고덕 아남은 1.67에서 12.6억,
반면에 1.7억 내외로 1997년 대치 은마, 잠실주공보다 조금 비쌌던
동작구 본동신동아, 서대문구 홍제한양, 동대문구 회기신현대 등의 현재 가격은 10억 내외에 불과하다.
심지어 10억 이하도 있다.
노원구 상계주공 14단지도 1.55억에서 8.4억 일뿐이다.
일산신도시 강촌우방도 1997년에는 1.78억으로 청담삼익, 대치은마보다 비쌌으나
2021년에는 7.5억에 그친다.
반면에 분당신도시 시범현대, 시범우성, 이매청구 등은 1.67억에서 14억 내외로 올랐다.
다음은 2020년 9월에 모니터링 한 우리나라 전용면적 25평 아파트 실거래가격 순위 2.
현재, 2021년 7월... 불과 10개월 만에 가격도 순위도 다소 변동이 있었다.
10년, 20년 후에는 또 얼마나 변해 있을까?
51위 / 상위 0.33% 삼성래미안, 서울 강남구 / 84.89㎡ (219800)
52위 / 상위 0.34% 동아, 서울 서초구 / 84.91㎡ (219000)
53위 / 상위 0.34% 우성4, 서울 강남구 / 84.6㎡ (218000)
54위 / 상위 0.35% 우성9차아파트 901동, 902동, 서울 강남구 / 84.9㎡ (217123)
55위 / 상위 0.36% 청담린든그로브, 서울 강남구 / 84.9979㎡ (217000)
56위 / 상위 0.36% 롯데캐슬클래식, 서울 서초구 / 84.98㎡ (217000)
57위 / 상위 0.37% 서초롯데캐슬프레지던트, 서울 서초구 / 84.97㎡ (215000)
58위 / 상위 0.37% 신반포청구, 서울 서초구 / 84.84㎡ (215000)
59위 / 상위 0.38% 파크리오, 서울 송파구 / 84.97㎡ (212000)
60위 / 상위 0.39% 반포푸르지오, 서울 서초구 / 84.82㎡ (210000)
61위 / 상위 0.39% 한신, 서울 서초구 / 84.52㎡ (210000)
62위 / 상위 0.40% 쌍용대치아파트1동, 2동, 3동, 5동, 6동, 서울 강남구 / 83.56㎡ (210000)
63위 / 상위 0.41% 한양1차(영동한양), 서울 강남구 / 83.04㎡ (210000)
64위 / 상위 0.41% 미성1차, 서울 강남구 / 84.88㎡ (209500)
65위 / 상위 0.42% 서초 교대 e편한세상, 서울 서초구 / 84.97㎡ (209000)
66위 / 상위 0.43% 대치우성아파트1동, 2동, 3동, 5동, 6동, 7동, 서울 강남구 / 84.69㎡ (208000)
67위 / 상위 0.43% 대치현대, 서울 강남구 / 85㎡ (205000)
68위 / 상위 0.44% 롯데캐슬아르떼, 서울 서초구 / 84.974㎡ (205000)
69위 / 상위 0.45% 래미안그레이튼, 서울 강남구 / 84.97㎡ (205000)
70위 / 상위 0.45% 레이크팰리스, 서울 송파구 / 84.82㎡ (205000)
71위 / 상위 0.46% 한신(개포), 서울 강남구 / 83.86㎡ (205000)
72위 / 상위 0.47% 반포미도, 서울 서초구 / 84.96㎡ (204000)
73위 / 상위 0.47% 래미안삼성1차(105), 서울 강남구 / 84.95㎡ (203500)
74위 / 상위 0.48% 개포주공 7단지, 서울 강남구 / 83.7㎡ (202000)
75위 / 상위 0.48% 레미안삼성1차(104), 서울 강남구 / 84.99㎡ (200000)
76위 / 상위 0.49% 청구아파트, 서울 강남구 / 84.99㎡ (200000)
77위 / 상위 0.50% 서초두산위브트레지움, 서울 서초구 / 84.96㎡ (200000)
78위 / 상위 0.50% 한신타워, 서울 서초구 / 84.93㎡ (200000)
79위 / 상위 0.51% 방배아트자이, 서울 서초구 / 84.9152㎡ (200000)
80위 / 상위 0.52% 역삼2차아이파크, 서울 강남구 / 84.587㎡ (200000)
82위 / 상위 0.53% 한강, 서울 서초구 / 84.53㎡ (199500)
83위 / 상위 0.54% 삼성동중앙하이츠빌리지, 서울 강남구 / 84.55㎡ (197000)
84위 / 상위 0.54% 신반포25, 서울 서초구 / 84.49㎡ (196000)
85위 / 상위 0.55% 신동아, 서울 강남구 / 84.94㎡ (195000)
86위 / 상위 0.56% 래미안(201동), 서울 강남구 / 84.9㎡ (195000)
87위 / 상위 0.56% 도곡1차아이파크, 서울 강남구 / 84.122㎡ (195000)
88위 / 상위 0.57% 서리풀e편한세상, 서울 서초구 / 84.97㎡ (193700)
89위 / 상위 0.58% 한가람, 서울 용산구 / 84.89㎡ (192500)
90위 / 상위 0.58% 현대2, 서울 강남구 / 84.81㎡ (192000)
91위 / 상위 0.59% 아크로힐스논현, 서울 강남구 / 84.074㎡ (192000)
92위 / 상위 0.59% 녹원한신, 서울 서초구 / 84.87㎡ (191000)
93위 / 상위 0.60% 서초래미안, 서울 서초구 / 84.95㎡ (190000)
94위 / 상위 0.61% 풍림(1차), 서울 강남구 / 84.78㎡ (190000)
95위 / 상위 0.61% 아크로리버하임, 서울 동작구 / 84.7536㎡ (190000)
96위 / 상위 0.62% 테헤란아이파크, 서울 강남구 / 84.641㎡ (190000)
97위 / 상위 0.63% 청강(건영), 서울 강남구 / 84.595㎡ (190000)
98위 / 상위 0.63% 블루힐하우스, 서울 서초구 / 84.54㎡ (190000)
(19억) ----------------------------------------------------
99위 / 상위 0.64% 금호베스트빌, 서울 서초구 / 84.97㎡ (189500)
100위 / 상위 0.65% 옥수파크힐스101동~116동, 서울 성동구 / 84.96㎡ (189000)
[출처] 지방에도 비싼 아파트 많습니다. (아파트 가격 전국 버전) (부동산 스터디') | 작성자 reflex
오늘 마지막으로, 2020년 12월 30일에 모니터링 된 강남 4구 아파트 동향.
강남 4구.
1.
2020. 12. 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대치동 ‘미도2차’ 전용면적 84㎡는 지난 7일 24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썼고 지난달 ‘선경’ 전용 136㎡와 전용 127㎡는 각각 39억원과 35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대치동 학원가 중심에 있는 ‘대치삼성’ 전용 97㎡도 6월 23억원에서 지난달 1억6000만원 오른 24억6000만원에 매매계약서를 썼다. 이외 ‘동부센트레빌’ ‘대치아이파크’ 등에서 신고가가 나왔다.
강남구 삼성동 '월성빌라트' 전용 82㎡(2층)도 최근 14억원에 거래돼 종전 최고가인 5억5000만원을 훌쩍 뛰어 넘었고 우성’ 전용 96㎡도 이달 초 19억4500만원에 거래돼 고점을 경신했다. 삼성동 ‘래미안삼성1차’ 전용 106㎡는 지난달 23억원에 거래돼 3년 전 거래가격 14억5000만원보다 한번에 8억5000만원이 뛰었다. 청담동 ‘진흥’ 전용 145㎡도 지난달 신고가(26억7000만원)에 팔렸다.
지난 7일 거래된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한보미도맨션2'는 전용 84㎡가 24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종전 최고가(24억2000만원)를 넘어섰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5차(전용면적 115.24㎡)는 지난달 9일 30억5000만원에 매매계약이 체결돼 종전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전 최고가는 27억8000만원으로 3개월만에 약 3억원 올랐다. 또 지난달 7일 19억원에 거래된 개포 주공5단지(전용면적 53.98㎡)는 불과 일주일 사이 1억원이 오르며 손바꿈됐다.
전세계약도 나오고 있다.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전용 59㎡)의 전세계약은 이달에 10억5000만원에 나왔고, 수서동 강남데시앙포레(84㎡)는 전셋값이 12억에 나왔다. 자곡동 LH강남브리즈힐은 9억원에 래미안강남힐즈(101㎡)는 13억원으로 2년 전보다 4억원이 오른 가격에 거래가 성사됐다. 압구정 현대8차(84㎡)는 9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9월 기준 서초구와 강남구에서 평당 1억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된 건 모두 소형 평수였다. 개포주공1단지 전용 56㎡의 경우 지난 3월 30억9500만원, 평당 1억8000여 만원에 거래된 바 있다. 그나마도 재건축 예정 단지로, 완공 후 예상 평수를 고려하면 평당 가격은 1억원에 다소 못미친다는 분석이다.
신축 아파트 중에서는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30평형 대 주택이 평당 1억4000만원,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가 1억3000만원 정도로 거래 중이다.
서울 대표 신축 아파트로 꼽히는 서초구 '아크로리버파크' 84㎡(이하 전용면적)의 2017년 5월 평균 실거래가는 19억9000만여원이었는데 10월 기준 평균가는 35억4000만원으로 15억5000만원(77.8%) 올랐고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154.97㎡가 지난 8일 54억원(25층)에 신고가 계약서를 썼고, 방배동 롯데캐슬아르떼 중소형 59.97㎡는 지난 5일 18억원(8층)에 신고가로 매매됐다.
서초구 분양가를 보면 말 그대로 로또다.
서초자이르네의 3.3㎡당 분양가는 3,324만 원이다. 이는 4년 전인 2016년 10월에 선보인 ‘방배마에스트로(3.3㎡당 3,160만 원)’ 이후 가장 낮은 가격이다. 서초구에서는 2019년 ‘디에이치라클라스’와 ‘방배그랑자이’ ‘서초그랑자이’ 등이 3.3㎡당 5,000만 원 이상에 분양되기도 했다. 고덕아르테스 미소지움의 분양가도 3.3㎡당 2,611만 원에 불과했다.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청담동도 비슷한 분위기다.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 119㎡는 지난 3일 27억원 신고가에 손바뀜했다. 송파구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잠실동 ‘리센츠’(전용면적 59.99㎡)가 지난 12일 18억8000만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 대비 8000만원 올랐고,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100.31㎡)이 지난 5일 20억5000만원에 최고가로 매매되는 등 집값이 강세를 보였다.
“인근 송파 헬리오시티부터 파크리오까지 20억원대 아파트가 흔해졌다”고 했다.
'고덕 마지막 주공 재건축' 9단지, 1차 안전진단 통과
1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강동구 명일동 고덕주공9단지는 지난 9월부터 재건축 1차 안전진단(정밀안전진단)을 받아 최근 강동구청으로부터 ‘조건부 재건축’이 가능한 D등급(51.29점)을 받았다.
고덕지구는 고덕동 명일동 상일동 일대에 있다. 과거 고덕주공1~9단지와 고덕시영 등 노후 아파트가 모여 있다가 재건축을 통해 신축 아파트촌으로 탈바꿈 중이다.
가장 먼저 재건축을 완료한 고덕주공1단지(고덕아이파크)를 시작으로 2017년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시영)와 고덕숲아이파크(주공4)가 입주했다. 지난해와 올해 초에는 고덕그라시움(주공2) 고덕센트럴아이파크(주공5) 고덕롯데캐슬베네루체(주공7) 고덕아르테온(주공3) 등도 집들이를 했다. 고덕자이(주공6)는 내년 초 준공을 앞두고 있다. 주공8단지는 공무원 임대아파트로 재건축될 예정이다.
강동구 고덕동 고덕그라시움 전용 59㎡의 경우 지난 8월8일 14억원(16층)에 거래됐다. 하지만 지난해의 경우 같은 평형대가 9억~10억원대에 거래됐다. 지난해 7억원대에 거래됐던 광진구 광장동 현대8단지 전용 59㎡도 지난 8월5일 10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7월 말 이후 현재까지 서울의 상한제 지역에서 선보인 아파트는 10월 분양한 강동구 상일동의 ‘고덕아르테스 미소지움’과 서초구 서초동의 ‘서초자이르네’가 유일하고 강동구와 현대건설·계룡건설 컨소시엄은 고덕강일 2지구 5블록 ‘힐스테이트 고덕강일’ 분양가격을 3.3㎡당 2230만원로 책정했다.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리버뷰자이’ 전용 102㎡는 지난 10월 13억 6500만원에 거래됐다. 인근 ‘미사강변스타힐스아파트’ 전용 84㎡의 경우 지난달 9억 7000만원에 거래된 점을 고려하면 전용 84㎡를 분양받아 얻을 수 있는 시세차익은 2억원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