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성은 리아입니다.
오늘은 마포구 합정동 한경변에 있는 절두산 순교 성지를 소개합니다.
절두산은 조선시대 교통의 요지이자 병선의 훈련장이며 처형, 제사, 진휼(흉년에 곤궁한 백성을 구제함)을 하던 곳이던 양화진의 봉우리로 원래 잠두봉이라 불렸었지만 수많은 천주교인 참수형으로 목잘려 죽은 곳이라는 의미의 '절두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합니다.
흥선 대원군은 천주교에 대한 박해령을 내렸는데 이때 살아남은 프랑스 선교사 리델신부가 조선을 탈출하여 청나라로 건너가 조선 교회의 상황을 알린 후 로즈 제독의 함대가 1866년 9월 10일 두차례 걸쳐 조선을 침입하였습니다.
조선 정부는 프랑스 함대와의 교전 후 1866년 10월 23일부터 천주교 신자들을 새남터나 서소문 밖이 아닌 절두산에서 주로 처형 하였는데 그 이유는 9월에 프랑스 함대가 침략하여 양화진까지 거슬러 올라온 것이나 10월에 다시 강화도를 참략한것은 박해를 피해 중국으로 망명한 천주교 신자들이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라고합니다.
대원군을 비롯한 당국자들은 천주교 신자들을 체포하여 심문하면서 그들의 도움으로 프랑스 함대가 침략해 올 수 있었음을 분명하게 확인 하였습니다. 따라서 프랑스 함대가 정박 해 있던 양화진에서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함으로써 천주교 신자들의 책임을 확실히 묻고 본보기를 보임으로써 백성들이 프랑스 함대와 내통하는것을 막고자하였습니다.
절두산에서 수많은 신자들이 순교하였지만 안타깝게도 이곳에 순교한것을 기록상 확인된 신자수는 29명뿐이라고합니다.
이곳은 절두산 성지의 주차장입니다. 주차장의 하늘을 가로지르는 2호선라인이 정말 웅장하고 독특했답니다.
주차장 바로 앞에는 꾸르실료회관이 있었습니다. 저는 꾸르실료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는데 회관 앞의 자세한 기록을 읽어 보고 대충 알 수 있었습니다.
꾸루실료회관 맞은편에 있는 순교자 기념상입니다,
위 건물은 '한국 순교 성인 시성 교육 기념 교육관'입니다.
교육관 안에 예쁘게 꾸며 놓은 성탄 트리가 참 예뻤습니다.
교육관 벽에 붙어 있는 글 '피의 절벽' 읽는 내내 가슴이 아려왔습니다.
양화진의 특별한 순교 이야기가 오라토리오 '피의 절벽'으로 재 탄생, 절두산 순교 성지에서 병인 순교 150주년 기념 절두산 순교자 하느님의 종 13위 시복 기념 음악회를 통해 초연되었습니다. -이상철 신부-작곡
교육관을 나와 걷다 보면
성녀 마더 데레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임송자 작 2018년
위의 사진은 조선시대 교수형을 집행 하기 위해 고안된 형구입니다.
'세상에 빛으로 오심' 안경문 작 2011년
성경 속 잃어 버린 탕자의 비유와 같이 잃었던 아들이 되돌아 오는 모습을 보고 진심으로 기쁘게 맞이하는 그리스도의 모습을 표현 하였습니다.
'성인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상' 전뢰진작 1972년
여기서 부터는 십자가의 길(15처)입니다. 이춘만 작 2001년
작가는 옛 신앙 선조들이 암송하였던 '십자가의 길'의 옛말 '성로신공' 구문을 함께 적어 이곳을 방문한 순례자가 순교자의 길을 함께 걸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담았다고합니다.
'우리들의 친구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박정환, 신옥주 작 2004년
오성바위
병인 박해 때 순교한 다블뤼 안토니오 주교, 오메트르 베드로 신부, 위앵 루카 신부, 황석두 루카, 장주기 요셉 다섯 성인이 체포 되어 서울로 압송 될 때와 다시 서울에서 보경 갈뫼못 형장으로 끌려갈 때 쉬었다 간 바위라고 전해집니다.
현대의 성모상 최종태 작 1984년
성 요셉과 아기 예수상
병인순교 100주년 기념 성당입니다.
성당 옆에는 한국 천주교 순교자 박물관이 있습니다.
성당과 박물관의 설계는 서울대학교 이희태 교수가 맡았는데 절두산 주변 지형과 역사적 의미, 그리고 순교 정신을 조화롭게 살려 냈다는 평가를 받고있습니다.
성 미술 제작에는 서울대 교수였던 조각가 김세중을 중심으로 윤명로, 정찹섭, 이순석, 최의순, 이남규등 작가들이 참여 해 순교의 역사에 예술적 가치를 더했습니다.
박물관은 사진 촬영이 금지 되어 있어 사진으로 담지를 못해 아쉬었습니다.
성당의 내부입니다.
양쪽으로 십자가의 길이 있고 오른쪽의 앞으로 걸어 가면 제대 아래에 지하로 연결 된 계단이 있습니다.
계단으로 내려 가면 27위의 한국 순교 성인과 1위의 무명 순교자 유해를 모시고있습니다.
절두산 순교 성지의 가장 클라이막스가 바로 이곳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천주교 신자로서 절두산 성지를 방문한다면 꼭 이곳을 들려 기도를 바치는것이 큰 의미가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