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ak Softly Love (속삭이듯 말해, 자기야)(대부 OST) / 101 Strings Orchestra & photo by 모모수계
https://youtu.be/rSxTdHnWHqY
101 Strings Orchestra 연주
《가을이면 왜 나무는 단풍🍁이 들까?》
출처: '친절한 과학사전
- 생명과학 편'에서
나무에게 단풍과 낙엽은 다가오는 겨울을 무사히 넘기기 위한 제 살 깎기와 같다.
낙엽수는 밤 기온이 섭씨 10도 이하로 떨어지면 가을이 왔다고 생각한다.
그때부터 뿌리로 흡수하는 수분의 양을 빠르게 줄이기 시작한다.
뿌리의 수분이 줄어들면 자연히 줄기와 가지에 흐르는 수분의 양도 줄어든다.
가지와 잎을 이어주는 잎자루에는 떨켜층이라는 칸막이가 생긴다.
잎으로 수분이 공급되지 않게 관다발을 막는 것이다.
추운 겨울이 되면 물이 든 나뭇잎은 꽁꽁 얼어 죽고 만다.
그 전에 나무는 잎을 말려서 땅에 떨어트리는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떨켜층이 완성되면 잎에는 더 이상 수분이 들어가지 않는다.
수분 공급이 차단된 잎에서는 녹색을 띠는 엽록소가 서서히 빛을 잃어간다.
대신 여름내 엽록소의 푸른빛에 가려 제 색을 드러내지 못하던 색소들이 얼굴을 내민다.
단풍잎에서는 안토시안 (anthocyan)이라는 붉은 색소가,
은행잎에서는 카로티노이드 (carotinoid)라는 노란 색소가 선명해진다.
낮 기온이 섭씨 5도 이하, 밤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뿌리는 수분 흡수를 완전히 멈춘다.
결국 나무는 잎은 다 떨구고 앙상한 가지만 남긴다.🍂
첫댓글
<iframe width="900" height="506" src="https://www.youtube.com/embed/rSxTdHnWHqY?autoplay=1&playlist=rSxTdHnWHqY&loop=1&autohide=1&showinfo=0&fs=0&rel=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allow="autoplay"></iframe>
음악 바 안 보이는 오디오 소스
<audio src="https://blog.kakaocdn.net/dn/mCj7a/btsAjVxlpiI/u64W4Og3XDtkPxKyjOWLtK/tfile.mp3"autoplay loop>"Speak Softly Love (스피커 소프틀리 러브) 속삭이듯 말해 자기야 - 대부 OST"</audio>
@사춘당 사춘당님 늘 고맙습니다
고운 하루 되세요
대부 ost
언제들어도 아름다워요
감사합니다
사랑차님 한결같은 마음 나눔 감사합니다
예쁜 가을 이미지 영상에
고운 연주에 머물다갑니다
포커스님 고맙습니다
건강 잘 챙기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