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년고도 경주 "
경북 경주시 (보문동 신평동 황성동 동천동)
보문단지 . 황성공원 . 안압지 . 경주월성 . 경주교동최씨고택
탐방일:2025년 03월 23일 가족 탐방
탐방 코스:보문단지-황성공원-안압지-경주월성-경주교동최씨고택
탐방 시간 3시간 소요 된다.
*** 보문단지 ***
보문단지는
경북 경주시 보문동 신평동
천군동 손곡동 일대를 포함하여 경주
국립공원에 속해 있으며 명활산 성터 밑에
자리하고 이곳을 찿는 관광객들에게 충분한 숙
박과 각종 편의시설을 제공하기 위해 1974년 개발을
시작하여 1979년에 1단계 공사를 마무리 개장하였고 단
지에는 전형적인 한국 건축양식으로 건설되어 대규모 행사를
유치할 수 있는 국제회의장인 관광센터와 경주 조선호텔 힐튼호
텔 콩코드호텔 등의 숙박시설 골프장 테니스장 등 운동시설과 위
락편의시설 토산품점 쇼핑쎈터 등이 건설되어 있으며 그밖에 야외
극장과 5층 육각정 보문탑 등이 있고 또한 보문호에서는 백조유람
선과 수상 스키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년 6월과 10월에 경
북미술대전과 신라문화재가 각각 열리고 있는 고도천년의 경주를
알리는 계기가 되고 있어 전국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유명하다.
네비:경북 경주시 신평동 719-203 "보문단지"
*** 코모도 호텔 ***
*** 물레방아 ***
*** 5층 육각정 ***
*** 보문호(普門湖) ***
보문호는
경북 경주시 신평동 천군동
북군동 보문동애 걸쳐 있는 저수지로
1963년에 설치되었으며 1979년 보문호 둘
레에 보문관광단지가 조성되었고 무장산 쪽의
덕동천과 토함산 쪽의 계곡물이 덕동호에 모였
다가 바로 아래 보문호를 거쳐 북천으로 흘러 금
장대 근처에서 형산강과 합류하여 포항제철 쪽
바다로 흘러간다.
*** 코모도 호텔과 보문호 전경 ***
*** 보문호 둘레길 ***
*** 보문호의 백조유람선 ***
*** 황성공원 ***
황성공원은
신라시대 화랑들이 훈련장으로
쓰일만큼 역사가 오래된 공원으로 넓은
공원 전체에 빼곡히 자리잡고 있는
소나무 군락지가 매력적이다
네비:경북 경주시 황성동 산 1-1 "황성공원"
*** 황성공원 ***
*** 김유신 장군 동상 ***
*** 충혼탑 ***
*** 소나무 군락지 ***
*** 안압지(동궁과 월지) ***
안압지(동궁과 월지)는
신라 왕국의 별궁터로 신라는
3국을 통일한 후 문무왕 14년(674년)에
큰 연못을 파고 못 가운데 3개의 섬과 북.동쪽으로
12봉우리의 산을 만들고 여기에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심고
진귀한 짐승을 길렀으며 문무왕 19년(679년)에는 동궁을
지었다고 하며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이 맞이할 때 이곳에서 연회를 베풀었다고 한다.
네비:경북 경주시 원화로 102 "안압지"
*** 동궁 ***
*** 월지 ***
*** 석조 유구 ***
*** 경주월성 ***
경주 월성은
신라의 궁궐 유적으로
반월성(半月城)이라고도 불리고
(대한민국 사적 제16호)로 지정되어
있고 원래 자연지형에 흙벽을 쌓아 보강해
만든 토성으로 신라의 법궁으로 사용하였고 고
려의 만월대는 고려가 멸망한 이후에 붙은 이름인
반면 월성은 궁궐 터의 지형이 초승달처럼 생겼다 하
여 신라때부터 신월성 또는 월성이라 했으며 혹은 반달
모양에 가깝다고 반월성이라고도 하며 신라 당대에는
임금이 사는 성이라 재성(在城)이라고도 하였고 조선
시대부터 지금까지는 반월성이라고 부르고 있다.
네비:경북 경주시 인왕동 387-1 "경주 월성"
*** mBC 드라마 선덕여왕촬영지 ***
*** 경주 월성 ***
*** 경주 석빙고 ***
*** 첨성대 ***
첨성대는
천문학은 하늘의
움직임에 따라 농사 시
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농업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관측 결
과에 따라 국가의 길흉을 점치던 점성술
(占星術)이 고대국가에서 주요시되었던 점
으로 미루어 보면 정치와도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일찍부터 국가의 큰 관심사가
되었으며 이는 첨성대 건립의 좋은 배경이 되었
을 것으로 여겨지며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
7) 때 건립된 것으로 추측이되며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그 가치가 높으며 당시의 높
은 과학수준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
이라 할 수 있다.
*** 경주 교동 최씨 고택 ***
경주 교동 최씨 고택은
흔히'경주 최 부잣집'이라고
불리는 경주 최부자댁은 1700년 경에
건립된 경주 최씨의 종가로 조선 시대 양반집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원래는 99칸이 있는데 사
랑채와 별당은 1970년에 불타고 주춧돌만 남았으며 최씨
집안이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에서 이곳으로 이주하여 정
착한 것은 조선 중기 무렵이었는데 여기에서 12대 동안
만섬지기 재산을 지켰고 9대에 걸쳐 진사(進士)를
배출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네비:경북 경주시 교촌안길 19-23 "경주 교동 최씨 고택 "
*** 솟을대문 ***
*** 경주 최부자집의 가르침 ***
9대 진사
12대 만석꾼의 철학이
있는 곳
*** 경주 교동 최씨 고택 ***
*** 경주 최부자 집의 가훈(家訓) ***
" 가거십훈(家居十訓) "
1.명인륜(明人倫) 인륜을 밝힌다
2.사친효(事親孝)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를 다한다
3.애군충(愛君忠) 임금을 사랑함에 충성을 다한다
4.의실가(宜室家) 가정을 잘 다스린다
5.우형제(友兄第) 형제 사이에 우애가 있다
6.신붕우(信朋友) 친구 사이에 신의가 있다
7.원여색(遠女色) 여색을 멀리 한다
8.계취주(戒醉酒) 술에 취함을 경계한다
9.과농상(課農桑) 농업과 잠업에 힘쓴다
10.강경학(講經學) 경학을 익힌다
*** 안채 ***
*** 최부잣집 전통 ***
치부잣집 전통은
진사 이상의 벼슬을 금지했고
만석 이상의 재산을 모으지 말라고
했으며 또한 찿아오는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고 흉년에 남의 논밭을 사들이지
못하게 했으며 그리고 며느리는 3년 동안
무명옷을 입고 사방 100리 안에 굶어서 죽
는 사람이 없게 하라고 했으며 최부잣 집의
1년 쌀 생산량은 약 3천 석이었는데 1천 석
은 사용하고 1천 석은 과객에게 베풀고 나
머지 1천 석은 주변에 어려운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 곳간 ***
*** 사랑채 ***
*** 교동 법주 ***
*** 독립유공자 최완선생 생가 ***
*** 요석궁 ***
요석궁은
300년 전통 최부잣집
반가음식(손님음식)으로 계절마다
조금식 차이는 있지만 요즘 말로 계절 한식
다이닝 음식점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아무래도
고풍스러운 외내부와 국내인 외국인 모두 좋
아할 한식이라 상견례나 외국인 초청 식사
자리로 안성맞춤인 '용석궁'이다
*** 경주 향교 ***
*** 경주 향교 ***
*** 내물왕릉(奈勿王陵) ***
내물왕릉은
신라 17대 내물왕(재위 356-402)의
무덤으로 김씨 왕으로는 두 번째로 왕위에
올랐으며 이후 김씨 성에 의한 독점적 왕위 계승을
이루었으며 마립간이란 왕 명칭을 처음 사용하였고 중
국 전진(前秦)과의 외교관계를 통해 선진 문물을 수입하여
백제와 왜의 연합세력이 침입하자 고구려 광개토대왕에 도움을
요청하여 위기를 모면하였으며 국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시기로
높이 5-3m 지름 22m의 둥글게 흙을 쌓은 원형 봉토 무덤으로 밑 둘
레에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둘레석을 돌렸으며 무덤 주변을 사각형
으로 둘러싸고 있는 담장터 흔적이 있어 일찍부터 특별히 보호된
것으로 보이며 당시 신라 무덤의 내부 형태는 거대한 규모의
돌무지 덧널무덤이나 이 무덤은 규모가 작고 둘레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굴식 돌방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 첨성대 ***
*** 유수정 불고기 쌈밥 ***
경주 나들이 후
불국사 근처에 있는 유수정
불고기 쌈밥 식당에서 식사 후
대구로 귀가
네비:경북 경주시 보불로 24-7 "유수정불고기쌈밥"
전화;054) 771-0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