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2176E04958F1FBE032)
출처 : 여성시대 유한양해롱해롱
4년이면 돌아오는 하계/동계 올림픽, 월드컵, 아시안게임은 사람들이 대부분 알지만
사실 아시안게임 역시 동계와 하계로 구분되어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아시안게임”은 하계이고 (8월 자카르타에서 또 합니다!!!)
알게 모르게 은~근히 동계 아시안게임 역시 30년의 역사를 가지고 진행되어 오고 있음
동계 아시안게임을 열자는 아이디어를 처음 낸 건 일본
일본은 1972년 아시아최초로 삿포로에서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던 경험을 살려서
“아시아도 동계 게임해보자!!”라고 의견을 내면서 시작됨
<1986년 제1회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91C3A5AEA779C1A)
제1회 동계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자기내들이 의견을 냈기 때문에 삿포로에서 제1회 아시안게임을 개최하게 됨
시설이 모두 준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ㅇㅇ
1회 아시안게임에는 일본 중국 한국 북한 인도 몽골 홍콩 등 7국가만이 참여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827395AEA77E91D)
당시 압도적인 차이로 일본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한국은 금메달은 1개만 획득하게 됨
여기서 재밌는 사실은 쇼트트랙 강국인 한국이기 때문에 쇼트트랙에서 나온 금메달인가 싶지만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나온 금메달이었다는 사실!
물론 은메달과 동메달 개수의 절반은 쇼트트랙에서 가져옴!
그러나 스피드와 쇼트트랙 외에도 스키나 하키에서도 메달을 따옴
<1990년 제2회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B5F4C5AEA791319)
제2회 동계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왜 또 삿포로에 같은 마스코트냐고 하겠지만...
애초에 2회 동계 아시안게임을 열기로 했던 인도 측에서 자기네 재정이나 인프라 문제가 해결이 안된다고 취소하는 바람에 다시 일본 삿포로가 맡게 됨 ㅋㅋㅋㅋㅋㅋㅋ
2회때는 이란 대만 필리핀 등의 국가들도 참여하면서 대회의 규모가 조금씩 커졌음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88C425AEA79C125)
역시나 종합 순위 1위는 일본
그러나 한국 역시 금메달 개수가 늘어나게 됨
1회때 유일한 금메달리스트인 스피드 스케이팅 1000m의 배기태는 같은 종목에서 2연패를 했고, 더불어 1500m에서도 금메달을 추가함
2회 아시안게임에서는 쇼트트랙 역시 큰 활약을 해주는데 우리에게 유명한 김기훈, 전이경 등이 참가함
쇼트트랙에서는 김기훈이 3관왕(1000m 15000m 계주)에 올라 우리나라 최초 동계 아시안게임 3관왕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됨
<1996년 제3회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838455AEA7A7F25)
제3회 동계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86년과 90년에 열었던 동계 아시안게임을 당초 3회는 95년에 열 것으로 합의를 보게 됨
그 이유는 동계 올림픽의 열기를 이어가보고자 94년에 열리는 동계 올림픽의 딱 1년 뒤에 개최하는 것으로 합의를 봤기 때문
그렇게 95년에 개최할 것으로 합의를 하고 제3회 개최지는 무려 “북한”..
그러나 도중에 북한 역시 철회를 하면서 다시 제3회는 어디서 개최할 것인가 개최지를 모집했는데 중국 하얼빈과 한국 강릉이 후보지에 오름
이때 경쟁에서 중국 하얼빈이 제3회 개최지로 결정되었고, 동시에 한국 강릉은 제4회 개최지로 결정됨
그리고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95년에 열기로 한 제3회 동계 아시안게임을 96년으로 미뤄서 2회에서 3회까지의 텀이 6년이 생김
3회부터는 “~스탄”이 붙는 국가들 역시 참가하게 되었음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C31405AEA7B8936)
홈버프를 받은 중국이 종합순위 1위 + 카자흐스탄의 급부상
쇼트트랙이 역시나 큰 활약을 보여주는 가운데 처음으로 빙상종목이 아닌 스키에서도 금메달이 탄생!!!
그리고 쇼트트랙의 김동성도 이 동계 아시안게임에 나와 계주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면서 만 16세에 병역면제를 받게 됨
(김동성 1980년 2월생으로 거의 딱 만 16세가 되는 시점에 면제.)
<1999년 제4회 강릉 동계 아시안게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E38465AEA7D0B31)
제4회 동계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앞서 3회때 개최하고자 했으나 중국 하얼빈에 밀려 4회를 개최하게 됨
당초 3회는 95년, 4회는 99년에 열 계획이었으므로 3회가 96년으로 밀렸어도 4회는 99년에 열게 되었음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D9A485AEA7D9320)
한국이 처음으로 종합 2위에 오르게 됨
일본의 부진에 대해 일본은 당시 2군 선수들 위주로 보내서 폭망했다는 말이 있음
제4회 동계 아시안게임때 스키에서만 금메달이 3개나 나오는 기염을 토했고 (허승욱 선수의 2관왕)
쇼트트랙에서는 김동성 김윤미 김문정 선수의 2관왕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는 최재봉 선수의 2관왕이 이어졌음
그리고 피겨스케이팅 아이스 댄싱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최초로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서 메달을 가져오게 됨
<2003년 제5회 아오모리 동계아시안게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1903E5AEA7E8B26)
제5회 동계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일본-중국-한국을 거쳐 다시 일본으로 가게 된 동계아시안게임
삿포로가 아닌 아오모리에서 개최하게 됨 (동계종목을 열 곳이 여러 곳)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379355AEA7F1830)
홈버프로 다시 1위를 탈환하게 되었고 한국은 종합 순위 2위를 지키게 됨
쇼트트랙의 전설이라 불리는 안현수가 대회 3관왕을 하면서 이전의 김기훈과 타이기록을 세움
뿐만 아니라 남녀 계주 모두 금메달을 따오는 등 쇼트트랙의 강국 면모를 잘 보여줌
스피드 스케이팅의 이규혁 역시 1000m 1500m에서 2관왕에 올랐고
컬링에서도 남자부 금메달이 나옴
이 대회에서는
쇼트트랙 여자 1500m (최은경 조해리 고기현)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500m (이규혁 문준 여상엽)
종목에서 금은동을 모두 한국이 휩쓸어옴
<2007년 6회 장춘 동계 아시안게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1303E5AEA814D11)
제6회 동계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또 중국으로 가게 됨.....
이전 대회에서 금은동을 한 국가가 휩쓸어가는 종목이 몇 개 나오게 되자 이제는 금은동을 한 국가가 모두 가져가지 못하는 조치를 취하게 됨
즉, 동메달까지 같은 국가일 경우 그 동메달 선수 대신 4위 선수가 동메달을 받게 되는 것
(이건 한국에 대한 견제가 아니라 당시 다른 국가도 금은동을 쓸어간 종목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한 것)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273375AEA81D70A)
중국으로 오게 되자 다시 중국이 종합 순위 1위를 하게 되고 한국은 3위로 떨어짐
쇼트트랙 안현수가 지난대회에 이어 이번에는 2관왕을 하게 됨
그러나 이때 찝찝한 것이 남자 500m에서 안현수를 실격처리 시키면서 대회 연속 3관왕에 실패함
스피드에서는 남자 단거리 종목에서 500m 1000m 1500m 금메달을 휩쓸어오고
한국 여자 빙속 레전드 이상화 역시 여자 500m 은메달을 획득
컬링에서도 남자 여자 모두 금메달을 가져오게 됨
이 대회에서 한 국가가 금은동을 모두 가져갈 수 없다는 조항때문에 피해를 본 선수, 혜택을 본 선수 모두 나오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피해를 본 선수는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m의 최재봉 선수
금 이규혁 은 문준에 이어 동메달의 기록이지만
해당 규정에 따라 동메달을 일본 선수에게 넘어감
혜택을 본 선수는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0m의 김유림 선수
중국이 금은동을 휩쓰는 과정에서 동메달을 김유림 선수가 받게 됨
비록 메달에서 피해를 본 최재봉 선수지만
당시 기사에 따르면 국가에서 주는 연금 포인트나 포상금은
동메달에 해당하는 그대로 지급되었다고 함
#1. 안현수의 500m 실격
500m 경기에서 안현수가 결승선을 1위로 통과하게 됨
그러나 이내 실격판정이 나오면서 중국 선수에게 금메달이 돌아가게 됨
심판은 경기 도중 중국 선수가 넘어진 것이 안현수 때문이라는 것
안현수는 항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실격으로 끝나게 됨
2022년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이 심히 걱정되는 대표적인 사례
<2011년 제7회 아스타나-알마티 동계 아시안게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FB9465AEA83E209)
제7회 동계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카자흐스탄으로써는 최초로 국제대회를 열게 되었고
아스타나와 알마티 공동개최로 결정됨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C81505AEA848D0D)
홈버프의 위력을 보여준 카자흐스탄 종합 1위
한국은 금메달 개수는 13개로 일본과 같았지만 은메달 개수에서 밀려 종합 3위를 하게 됨
(빙상연맹이 일만 제대로 했어도 한국 금메달 14개, 일본 금메달 12개로 한국 종합순위 2위 가능)
쇼트트랙에서 노진규 선수의 2관왕(1500m, 계주)
스피드 스케이티에서 노선영 선수의 2관왕(매스스타트, 팀추월) 에 이어 쇼트트랙이 아닌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이승훈 3관왕이 나옴(5000m 10000m 매스스타트)
그러나 주목해야 할 점은 스키에서도 금메달이 4개나 나왔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스키 종목에서 은메달 동메달 역시 여러 개가 나오면서 역대 금메달 개수는 물론 금은동 합계 개수 역시 최다 기록을 세움
# 1. 빙상연맹이 빙상연맹짓 하다가 금메달 날리고 종합순위 2위도 날린 사건
이 대회에서 처음 팀추월이 도입되는데 빙상연맹은 여자 팀추월은 잘 해놓고 남자 팀추월에서 뻘짓을 하면서 금메달을 일본에게 내주면서 종합 순위 2위도 내줌
장거리 최강자 이승훈을 확정멤버로 두고 나머지 두 명의 선수를 누구로 할 것이냐 가지고 연맹에서 분란이 생김
규정이 있었는데 규정이 도중에 바뀌고 하면서 문제가 생긴 것
특히 이규혁은 처음에 확정멤버였다가 좋은 마음에 후배한테 양보하겠다 했는데 도중에 규정 바뀌면서 개판되는 바람에 이럴 바엔 그냥 내가 타겠다라고 함
결국 경기 30분 전에 이승훈 모태범 이규혁으로 확정짓고 팀추월 내보냈지만 단거리 주자들인 모태범 이규혁이기 때문에 이승훈이 8바퀴를 내내 선두에서 달림
덕분에 0.03초 차이로 일본에 지고 금메달을 일본에게 갖다 바친 수준
이것만 금메달 땄으면 종합순위 2위인 것을...
<2017년 제8회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FF73F5AEA8D0628)
제8회 동계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다시 삿포로로 돌아옴..
그 조짐이 이전부터 슬슬 보이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폭탄돌리기가 되어버린 동계 아시아게임
동계 아시안게임을 개최할 만한 국가 수준과 인프라와 재정이 되는 아시아 국각가 거의 한중일 3 국가 밖에 없는 수준..
2015년이 아닌 2017년으로 개최 시기가 조정된 이유는 또 동계 올림픽 때문
동계 올림픽열기를 이어가보겠다고 90년대 중반에 개최시기 조정해놓고는 그 열기가 안 이어지니까 이젠 그러면 한 해 전으로 조정해보자 해서 2014년 소치 올림픽 한 해 후인 2015년이 아니라 2018년 평창 올림픽 한 해 전인 2017년으로 개최시기를 조정하면서 또 6년의 텀이 생김
도대체 언제쯤 동계 아시안게임은 제대로 정착될지..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7834C5AEA8DB639)
일본으로 오자마자 다시 1위한 일본과
역대 최다 금메달 최다 메달 개수를 다시 갱신한 한국
쇼트트랙에서 평창 올림픽 선수들인 최민정 심석희 서이라는 물론 비록 평창에는 나오지 못했지만 박세영 이정수 선수들의 활약이 이어짐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는 이승훈 김민석 김보름 선수들이 금메달 6개를 획득하게 되었고 이상화 차민규 선수 역시 메달을 획득하면서 스피드 스케이팅은 평창 멤버들의 활약이 돋보였음
특히 이승훈은 5000m 10000m 팀추월 매스스타트 전관왕을 차지하면서 한국 최초 동계아시안게임 4관왕을 달성함
빙상 종목 외에도 최다빈 선수가 피겨스케이팅에서 최초 금메달을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주목 받은 김마그너스 선수가 크로스컨트리에서 금메달을 획득
뿐만 아니라 배추보이 이상호는 2관왕에 올랐고
팀킴 역시 이때 은메달을 차지하였음
전반적으로 평창 올림픽 직전 테스트용으로 우리나라는 잘 써먹은 느낌
(물론 화제성은 없었지만...)
이제 2021년 제9회 동계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있는데 아직도 개최지가 안 정해짐
그러나 이미 직감적으로 이제 한국 차례라는 걸 느끼고 있음 (차라리 평창 올림픽 끝나고 시설 있을 때 해치워버리는 게 낫다는 생각)
그리고 얼마전부터 슬슬 논의가 나오고 있음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701485AEA903536)
항간에서는 베이징 올림픽이 2022년이니 2021년에 시범적으로 해보려고 아시안 게임을 베이징에 유치하려고 하지 않겠느냐는 말도 있지만 그보다는 강릉이 오히려 가능성이 있어보임
첫댓글 진짜 무슨 폭탄돌리기 게임같음;
아 강릉마스코트 너무 귀여운거아닝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