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카페 회원이신 오룡도사님 글입니다.

산나물의 제왕으로 불리우며 오묘한 약성으로 각광받고 있는 곰취는 곰이 동면에서 깨어나
제일 먼저 찾는 산야초라 하여 그 이름이 곰취로 명명되었다고 한다.
깊은 산 오지에서 자생하는 산야초이다.
▶ 환경조건
일교차가 크고 부엽토층이 두꺼우며 비교적 서늘한 고냉지가 좋으며 차광이 30%-50%
이루어지는 환경이 최적이다.
또한 배수및 통기성이 좋지 않고 고온다습한 경우는 뿌리썪음병이 잘 발생된다.
따라서 노지에서 재배할 경우에는 충분히 골을 타고 두둑에 비닐멀칭후 차광망을 씌어주는것이 생장에 좋으며 거름을 많이 타므로 경작전에 충분히 부숙비료를 넣어 주는게 좋다.
▶ 파종
3월초에 연결트레이에 상토를 넣고 한 구멍에 3-5개정도를 파종한다.
파종상에 파종한다해도 정식시에는 통상 3포기정도를 모아심기 하므로 이 방법이 더 효율적이다.
파종전에 지베렐린에 30분정도 침전후 파종하면 발아율을 높일 수 있다.
▶ 정식 및 성장
본잎이 나오면 이랑넓이 50cm, 포기사이 25cm로 정식을 한다.
정식 첫해는 꽃대가 잘 발생하지 않으나 이듬해부터 6월경이면 꽃대가 올라오며 채종을 목적으로 하지않는경우엔 꽃대를 제거해주면 더 많은 잎을 수확할 수 있다.
▶ 수확
이렇게 심은 곰취는 1~2m까지 성장을하며 3월 하순부터 5월 하순까지 꽃대가 올라오기 전까지 꾸준히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시마다 주당 2-3개 정도의 잎을 남기고 수확하되 포기당 20잎 정도의 수확이 가능하다.
▶ 포기나누기
씨앗에 의해 번식시키지만 3-4월경 잎이 나오기 이전, 또는 9월중순-11월중순 잎이
진 후 오래된 포기를 파서 3-4등분하여 포기나누기를 하여 개체수를 늘릴 수 있으며 잎자루 삽목도 가능하다.
▶ 식용
생잎으로 먹기도하고 데쳐먹어도 좋으며 깻잎처럼 소금에 절여먹기도하는가 하면 수확한 잎을 삶아서 말린후 진공상태로 냉동 저장하였다가 수시로 나물로 무쳐 먹어도 좋다.
특히 삼겹살에 생잎을 쌈으로 싸서 먹으면 산성인 삼겹살과 알칼리성인 곰취가 어우러져 최상의 음식 궁합으로 거듭난다고 한다.
특히 약리성분은 줄기에 더 많다고 하니 수확시 줄기까지 수확하는게 좋으며 예로부터 여러가지 우수한 약성을 지녀 한방재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만큼 재배여건만 충족된다면 텃밭에서 나는 효자종목이 될 수 있다.
▶ 곰취의 특징
곰취는 반그늘을 좋아한다. 5월 중순부터 차광막을 씌워 그늘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토질은 기름지고 물기가 축축한 땅을 좋아한다.
그러나 비가 올 때 물이 고이는 밭이면 뿌리가 쉽게 상함으로 물 빠짐이 좋아야 한다.
낙엽 썩은 퇴비를 많이 주어야 한다.
이식 후 나무껍질을 잘게 부슨 바크를 올려주면 잡초 발생을 줄일수 있고 지속적으로 양분을 공급해 줄수 있다.
곰취의 번식은 포기나누기와 씨앗파종으로 한다.
씨앗파종은 가을에 직파한 후 볏짚이나 낙엽을 덮어주고 봄에 파종할 때는 휴면타파 후 파종하는데 파종하기 15일전에 씨앗을 6시간쯤 물에 불렸다가 젖은 수건으로 감싸 영상1도-2도에서 15일간 보관한다.
( 이 기간은 휴면타파기간으로 최소 330시간을 넘기면 발아율이 좋다.)
냉장고 냉장 온도는 보통 5도 정도여서 영상 1도를 유지하려면 김치냉장고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15일 경과 후 파종한다.
바로 연결트레이에 파종하는 것보다는 먼저 삼목상자에서 일정기간 키웠다가 연결트레이에 옮겨심기한다.
파종 후 흙덮기(복토)는 0.5cm가 넘지 않도록 살짝 덮어주고 물을 흠뻑 준 후 겉흙이 마르지 않게 이틀에 한 번꼴로 물주기를 해준다.
발아되어 떡잎이 올라온 후 본 잎이 보이기 시작하면 연결트레이에 옮겨심기하고 본 잎이 4-5장 발생하고 뿌리활착이 잘 되었을 때 밭에 내다 심는다. 보통 연결트레이로 옮겨심기한 후 40-50일후에 정식한다.
너무 자란 잎은 잘라주어야 쉽게 적응한다.
뿌리나누기는 정식 후 4년째 되는 해 봄에 뿌리가 손상되지 않게 커낸 후 뿌리를 조각내 이식한다.
첫댓글 좋은 자료입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
저도 Good입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제 호두밭에도 반그늘 휴경지가 조금 있는데, 그늘이 져서 호두나무를 심지 않았거든요.
곰취가 반그늘. 습기가 있는 땅을 좋아한다니 검토를 해볼까 합니다. 산채향기님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곰취, 눈개승마, 산마늘, 곤드레, 어수리, 참나물, 부지갱이...산나물류는 대다수가 반음지성 식물로
추위에 강하고, 더위에 약하며 서늘한 기후를 좋아합니다.
휴경지뿐만 아니라, 호두나무 밑에가 더 좋습니다.
과수 하시는 분들은 과수밑에 산나물을 활용해 볼 만 합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산채향기 그렇군요. 활용방법을 검로 해 보아야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곤달비와 곰취 조금심어보고 싶은데 가능한지요 가격은 어떻게되는지요
네~
가능합니다.
야생화들꽃님,
제가 지난 겨울에 방풍씨앗 구매한적이 있어서 전화번호 있으니
명절 지나고 전화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이렇게 반가운 분이 바로 곁에 계신다고 생각하니 무지 기쁘네요 저도 교사인데 정년 대비해서 며칠전에 평창에 산을 준비했습니다 찾아 뵐게요
저도 반갑습니다.
제가 잠시 근무했던 학교가 안산이었는데...
전화 미리 주시고 오십시오.
제가 지금은 평촌에서 학원을 하고 있어서 주말밖에 시간이 없습니다.
모종은 형제들 도움으로 하고 있고요.
@산채향기 아 그러시군요? 네 알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따뜻한 남부지방의 텃밭에서도 곰취나물, 명이나물 등이 재배가 가능 할까요? 현재 텃밭에 50평 정도의 비닐하우스도 있습니다.
하우스 안에 80~90프로 차광막하면 아주 잘 자랍니다.
바쁘신 와중에서도 알려 주시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