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이상한 생각을 합니다.
이번엔 경인선을 여객열차 운행하면 어떨까란 생각이 듭니다.
문제는 경인선은 전동차 전용라인이지요. (가끔가다 화물 열차도 봅니다.)
그리고 철도 용지 확보도 문제 입니다.
특히 부천역과 부평역은 엄청난 보수공사를 해야 겠지요.(쇼핑몰 있음)
그리고 인천역도 문제가 많습니다.
역사는 손도 못대고(인천역 건물은 문화재 ㅡㅡ) 특히 선로 놓을 공간도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하지만 이게 실현된다면 서울쪽의 과밀화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우선 먼저 개봉 구로 사이에 선로를 새로 놓아야 되지요.
이 선로를 놓으면 부천이나 부평서 바로 안양 수원으로 직결 운행이 됩니다.
그리고 경인선 선로 부지 확보와 역사를 보수공사 해야 되지요.
물론 이거 진짜 난공사입니다.
하지만 성공한다면 인천 부천에서 바로 여객열차를 이용할수 있을텐데요.
그리고 현 인천역 역사는 구 서울역 역사처럼 보존하고 새로운 인천역 건물을 만드는 것도 좋을텐데요.
그리고 주안역과 부평역 부천역은 일반열차 정차 가능한 역으로 만들고요.
나중에 필요한 곳은 상황을 지켜본 후에 하는게 좋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이게 실현된다면 인천~부산, 인천~목포, 인천~광주, 인천~장항 직통열차도 생겨서 서울의 과밀하를 줄이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거 같네요.
첫댓글현재 가리봉-개봉간 고가선로가 단선으로 놓여 있습니다. 다만 현재 경인선 다이아는 과밀상태로 여객열차가 들어올만치 여유롭지 않다는게 제 생각입니다.(물론 급행 라인은 낮시간엔 많이 비었지만..) 위 생각보단 앞으로 공사할 수인선을 이용하는게 더 효율적일 겁니다. 단 부천은 영등포에서 거리가 가까우므로 제외
저는 경인선에서 직통으로 연결되는 간선열차보다는, 인천-서울간 특급형 열차를 운행하면 어떨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지금의 급행보다 역은 훨씬 적게(한 3,4개?)하면서, 리클라이닝 좌석을 하는 열차요.. 부산-대구간 NDC나 경춘선 무궁화처럼 단구간을 운행하는 특급의 개념이요..
경인선에서도 여객열차가 운행되는 경우가 가끔씩 있는데 물론 관광열차입니다. 주로 부평역,부천역에서 발차하는데 경부,호남,전라,장항선 방면열차는 개봉~가리봉간 삼각선을 이용하고 중앙,영동,태백선 방면열차는 용산삼각선을 이용해 운행합니다. 경인선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아실겁니다...
개봉-가리봉간 삼각선이 그럴때 쓰이는군요. 맨날 지나갈때마다 저건 대체 왜 만들어놨을까 했는데 -_-;; 가끔 그래서 부평에서 출발하는 태백선 관광열차를 부평에서 청량리까지만 타보고싶더라고요~ 특별편성이 아니면 여객열차로 지나갈 수 없는 구간이니까요^^ 물론 그렇게는 표를 안팔겠지만 -_-;;
첫댓글 현재 가리봉-개봉간 고가선로가 단선으로 놓여 있습니다. 다만 현재 경인선 다이아는 과밀상태로 여객열차가 들어올만치 여유롭지 않다는게 제 생각입니다.(물론 급행 라인은 낮시간엔 많이 비었지만..) 위 생각보단 앞으로 공사할 수인선을 이용하는게 더 효율적일 겁니다. 단 부천은 영등포에서 거리가 가까우므로 제외
저는 경인선에서 직통으로 연결되는 간선열차보다는, 인천-서울간 특급형 열차를 운행하면 어떨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지금의 급행보다 역은 훨씬 적게(한 3,4개?)하면서, 리클라이닝 좌석을 하는 열차요.. 부산-대구간 NDC나 경춘선 무궁화처럼 단구간을 운행하는 특급의 개념이요..
10년 쯤 전에 경인선에도 무궁화호가 운행했던 것 같은데... 확실히는 모르겠군요.
관광열차는 1년에 몇번 등장하기는 합니다만... 인천역의 경우 만석고가차도 때문에 진짜 난공사가 아닐까 싶네요...
10년전쯤 경인선에 무궁화호 운행하지 않았습니다. 10년전이 아니라 20년전에도 수도권전철이 완전정착되어 일반여객열차는 다니지 않았습니다.
경인선에서도 여객열차가 운행되는 경우가 가끔씩 있는데 물론 관광열차입니다. 주로 부평역,부천역에서 발차하는데 경부,호남,전라,장항선 방면열차는 개봉~가리봉간 삼각선을 이용하고 중앙,영동,태백선 방면열차는 용산삼각선을 이용해 운행합니다. 경인선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아실겁니다...
그리고 현재로서는 경인선 다이아가 포화상태인 관계로 여객열차의 투입은 불가능하지만 수인선 복선전철이 개통된다면 인천발 수원경유 대전행이나 동대구행,장항행 여객열차의 운행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는 현재 수원~동대구,수원~장항간 여객열차다이아에 어느정도 여유가 생겼기에 추측해본 것입니다.
개봉-가리봉간 삼각선이 그럴때 쓰이는군요. 맨날 지나갈때마다 저건 대체 왜 만들어놨을까 했는데 -_-;; 가끔 그래서 부평에서 출발하는 태백선 관광열차를 부평에서 청량리까지만 타보고싶더라고요~ 특별편성이 아니면 여객열차로 지나갈 수 없는 구간이니까요^^ 물론 그렇게는 표를 안팔겠지만 -_-;;
그런데 글쓰신분 말씀대로 부평에서 개봉-가리봉간 삼각선타고 인천~부산/목포/광주 등의 열차 만들면, 경인선도 문제지만 가리봉에서 시흥사이는 정말 과포화돼서 터져버릴지도 -_-;; 아니면 시흥까지는 지하철 선로로? -_-;; 그러느니 수인선이 훨씬 낫겠는데요^^
정말 그러고보면 수인선은 반드시 복복선으로 만들어서 기존의 서울-수원간처럼 통행하게 하는게 낫겠네요. 그러면 인천/강화권과 지방과의 연결도가 훨씬 좋아지고 수도권 과밀화현상(특히 서울집중현상) 해소에도 도움이 될테니. 어차피 KTX선로와는 거의 겹치지도 않고.
전라선 쌍봉역님, 님께서 말씀하신 인천출발 수원경유 여객열차의 운행은 불가능합니다. 수인선과 분당선은 수원역에서 지하로 만나게 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