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UAE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장으로 나서야 할 때! | ||||
---|---|---|---|---|---|
작성일 | 2013-05-12 | 국가 | 아랍에미리트 | 작성자 | 권재현(두바이무역관) |
-->
-->
UAE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장으로 나서야 할 때! - 분리수거 미정착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문제에 봉착한 UAE - - 가정용, 업소용 음식물처리기뿐만 아니라 B2B 겨냥한 친환경 관리설비도 노려야 – UAE 음식물 쓰레기 매립지 자료원: GulfNews □ UAE 음식물 쓰레기 처리문제 점점 심각해져 ㅇ 분리수거 문화 미정착 및 부적절한 생활 습관으로 야기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때문에 UAE 경제는 매년 15억 아랍에미리트 디르함(4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음. - 두바이 1인당 일일 쓰레기 배출량은 약 2.7㎏으로 선진국 평균 1.54㎏의 1.8배에 이르는 수치이며, 생활 쓰레기 배출량은 하루 평균 8000톤에 육박함. - 하지만 높은 생활쓰레기 배출량보다 더 시급한 문제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리수거되지 않은 채 버려져 생활 쓰레기의 80~90%가 매립됨. - 아부다비 폐기물관리센터(The Center of Waste Management, CWM)는 음식물 혼합 쓰레기가 재활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매립 시 메탄 등 오염물질 배출되기 때문에 우려를 표시함. 2011년 UAE 생활 폐기물에서 음식물이 차지하는 비중 자료원: Statistics Center of Abu Dhabi ㅇ 분리수거에 관한 시민의식과 UAE 정책 부재로 음식물 혼합 쓰레기의 절대량이 상당수준이고 생활 쓰레기 재활용 13% 수준인 74만 톤에 그침. - 정작 아부다비와 사쟈를 제외한 5개 토후국(두바이 포함)에서는 생활 쓰레기에 대한 재활용이나 기타 친환경적 처리가 전무한 실정임. 2011년 UAE 전체 종류별 폐기물 처리 방식 자료원: United Arab Emirates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ㅇ 특히, 라마단(7월 10일)이 2달 남짓으로 다가와 관련 정부 부처와 언론에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경계하는 캠페인과 환경 문제를 재조명함. - 라마단 기간 두바이 하루 평균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은 1850톤, 아부다비는 500톤으로 집계될 정도로 상당한 사회적 관심을 받는 중임. 이는 평소보다 20% 증대한 수치임. - 두바이 폐기물관리센터에 따르면 라마단 한달 동안 준비한 음식물의 40%는 손도 대지 않은 채 낭비됨. □ 음식물 쓰레기 양산에 대한 배경과 원인 ㅇ 지역 종교 문화적 측면 - EuroMonitor에 따르면 UAE를 비롯한 아랍 문화권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관심보다는 눈과 입을 즐겁게 하는 성대한 양의 음식을 차리는 경향이 유독 심함. - 특히, 라마단과 이외 무슬림 행사 중 Iftar(일몰 이후 금식을 끝내고 먹는 식사를 지칭)에서 자기 위로와 손님에게 과시욕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음식을 차리기 때문에 그 기간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급증함. ㅇ 설문조사를 통해 본 UAE 시민의 현주소: 음식물 쓰레기 심각성 인지 수준 낮아 - 마케팅회사인 YouGov가 두바이 시민 75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3명 중 2명 이상(78%)은 환경 오염 및 사회적 비용에 대한 걱정 없이 음식을 낭비한다고 조사됨. - 또한, 설문자 15%는 이미 충분한 음식량이 준비됐음에도 의도적으로 요리를 한다고 체크함. ㅇ UAE는 음식 수입량이 90%에 육박할 정도로 해외 의존도가 높지만, 지역 종교 문화의 영향으로 인한 소비자 습관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과다 생산과 혼합 쓰레기 재활용에 큰 애로를 겪음. □ UAE, 쓰레기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 이어져: 의식 개혁부터, 시민의 잘못된 관행에 초점 ㅇ 2012년 1월 두바이 당국은 ‘2030 Zero Land Filling’라는 폐기물 처리 비전을 발표함. - 통합 폐기물 관리계획 하에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시스템을 활용해 2030년까지 매립지로 향하는 쓰레기를 제로로 달성하는 것이 목적임. - 본 비전의 주안점은 시민의식을 일깨우면서 쓰레기 배출량을 최대로 줄이고 재활용 및 분리수거 비중을 최대로 하는 것에 있음. ㅇ 비전의 일환으로 관련 부처에는 ‘Think Twice When You Shop’ 및 ‘Think Before You Waste’ 등의 캠페인 활동을 시행함. - 음식물 쓰레기 낭비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면서 UAE 시민의 자발적인 의지로 분리수거시행과 배출량 감축을 목표로 함. - 학교와 여성단체를 캠페인 초기단계에 개입시켜 쓰레기로 인한 환경파괴 등에 대한 인지 교육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도모함. ㅇ 두바이 폐기물처리센터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첫 단계로 2012년 12월에 주거단지 및 쇼핑몰에 Green(일반용)과 Black(음식물용) 쓰레기통 8000여 개를 배치함. - Mizahar와 Nad Al Hammar 지역에 우선 배치해 추이를 살핀 후 2단계로 Bur Dubai, Jemeriah 그리고 Al Barsha와 같은 주요 주거단지에 도입할 예정임. ㅇ 특히, ‘My City, My Environment’ 프로그램을 도입해 두바이 음식물 쓰레기의 35% 이상을 배출하는 쇼핑센터와 호텔에 대해 분리수거 의무화를 강화함. - 매달 분리수거된 쓰레기 배출량 보고서 제출 및 불이행 시 벌금 과금 등 강제성을 동반한 법규 제정 □ 시사점 ㅇ UAE 전역의 생활쓰레기 중 음식물 쓰레기 비율이 30%를 상회하는 심각한 상황 속에서 분리수거조차 되지 않아 각 토후국의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각종 캠페인과 정책이 이어질 전망임. - 음식물 분리수거가 아직 초기 정착 단계임을 감안했을 때, UAE 내에서는 아직까지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보급 수준이 낮은 상태로 나타났음. -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정부와 시민의 동반 노력이 점차 가속화될수록 가정용, 업소용 음식 처리기 수요는 앞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돼 한국 기업의 수출 노력이 요구됨. ㅇ 하지만 가정 생활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정부 정책에 강제성이 없는 까닭에 UAE 시민의 습관 변화에 영향이 미비할 수도 있음. - 이럴 경우 소비자들의 음식물 처리기에 대한 필요성과 인지 수준이 낮아 자칫 시장 진입 초기에 막대한 마케팅 비용 소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ㅇ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는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을 통해 진출 여부를 판단해야 하지만, B2B를 겨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설비시장 진출 타진은 발빠른 움직임이 요구됨. - 2013년 4월 Westin Abu Dhabi Golf &Spa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천연퇴비로 변환하는 설비 도입을 해 각 언론사의 주목을 받았음. 해당 기기는 한국의 A업체로 밝혀짐. - 음식물 쓰레기가 이슈가 되는 현지에서, 이 호텔의 음식물 배출량 감소와 지속가능한 경영 및 CSR의 일환으로 해당 기기 도입이 큰 홍보 효과를 가져다 주고 있음. - 최근 정부의 분리수거에 대한 압박과 기업의 CSR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대형 쇼핑몰과 호텔에서 쓰레기 처리설비에 대해 고려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한국 업체의 R &D활동과 현지 디스트리뷰터와의 연계를 염두해야 할 시점이라 판단됨. Westin Abu Dhabi Golf &Spa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설비 자료원: ConstructionWeekOnline 자료원: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Statistics Center of Abu Dhabi, Gulf News, TheNational, AMEinfo, EuroMonitor international, 코트라 두바이 무역관 자체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