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제품에 대하여 예상 가능한 모든 고장의 형태가 고객에게 어떤 영 향을 미치며 고장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추정하여 해석해 가는 수법으로서 설계단계에서 실행하여 목표 품질의 조기 확보와 양질의 제 품을 고객에게 인도하기 위한 수단
2. 목적
- 잠재 고장 모드를 확인하고 그 영향에 대한 중요도 평가
- 중요 관리특성을 확인
- 공정/ 설계의 잠재결함에 대한 순위를 결정
- 제품/ 공정상 문제들의 제거 및 문제 예방에 도움
3. 종류
1) 설계 FMEA
- 제품들이 양산되기 전에 제품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
- 설계 결함에 기인되는 제품의 잠재적인 고장모드에 중점
2) 공정 FMEA
- 제조 및 조립공정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
- 제조 및 조립공정상의 결함에 기인된 제품의 잠자고장모드에 중점
4. FMEA 적용이점
1) 일반사항
- 제품에 대한 품질 신뢰성 및 안정성 증진
- 회사 이미지 제고 및 경쟁력 확보
- 고객만족 확대
- 제품 개발시간 및 비용절감
- 고장을 줄이기 위해 취해진 행위를 문서화시키고 추적 가능케 함
2) 설계 FMEA
- 제품개발 초기 단계에서 제품의 잠재고장모드의 확인을 용이하게 함
- 제품의 모든 잠재고장모드 및 조립에 미치는 그것들의 영향의 예측 가능성을 증진
- 안전상의 문제들을 제거할 수 있는 제품설계 행위들을 확인함으로써 잠정 안전문제들을 밝혀내는 것을 용이하게 함
- 설계 요인들 및 대안들에 대한 평가를 용이하게 함
- 제품에 대한 철저한 설계검증 계획을 용이하게 해주는 정보를 제공
- 중요관리 특성을 쉽게 확인
- 설계 개선조치들간에 우선순위를 설정
- 향후 제품설계 개발을 유도하며, 제품설계 변경 후 그 근거의 문서화
3) 공정 FMEA
- 신규제조 및 조립공정의 해석을 용이하게 함
- 제조 및 조립공정상의 잠재 고장모드와 그 영향이 검토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진
- 엔지니어들로 하여금 불량발생을 절감하거나 불량 탐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관리수단 또는 방법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공정 결함을 밝혀냄
- 중요 관리 특성을 밝혀내고 제조관리계획 개발을 용이하게 함
- 공정개선조치들간에 우선순위를 설정
5. FMEA의 OUT PUT
1) 설계 FMEA
- 제품에 대한 잠재고장 모드의 리스트
- 중요 관리 특성의 리스트
- 제품 고정모드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발생율을 줄이기 위한 설계 활동 리스트
2) 공정 FMEA
- 공정에 대한 잠재고장 모드의 리스트
- 중요 관리 특성의 리스트
- 제품 고장 모드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발생율을 줄이기 위한 공정 활동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