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방[3859]樂不可極(락불가극)-즐거움은 끝까지 해서는 안된다.
원문=增廣賢文[증광현문] 270.
樂不可極 樂極生哀. 欲不可縱 縱欲成災
(낙불가극 낙극생애. 욕불가종 종욕성재)
즐거움은 끝까지 해서는 안된다.
즐거움에 끝에 이르면 슬픔이 생긴다.
욕심은 마구 풀어 놓아서는 안 된다.
욕심을 풀어 놓으면 재앙이 생긴다.
원문=소학(小學) 경신제삼(敬身第三)
소학소학(小學) 경신제삼(敬身第三)
曲禮曰, 毋不敬, 儼若思, 安定辭, 安民哉.
곡례왈 무불경 엄약사 안정사 안민재
곡례에서 이르기를, 경건하지 않는 것이 없고,
엄정하여 생각을 하고 있는 듯하며,
언사를 안정되게 하면 백성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敖不可長, 欲不可從, 志不可滿, 樂不可極.
오불가장 욕불가종 지불가만 락불가극
오만함을 기르지 말고, 욕심을 쫒지 않으며,
뜻을 끝까지 채우려 하지 말고
즐거움이 끝간 데 없도록 하지 말아야 한다.
賢者, 狎而敬之, 畏而愛之,
현자 압이경지 외이애지
어진 현자는 친밀하지만 경건히 대하고,
두려워하지만 사랑한다.
愛而知其惡, 憎而知其善,
애이지기악 증이지기선
사랑하지만 그 사람의 악한 잘못을 알고,
미워하지만 그 사람의 선한 것을 안다.
積而能散, 安安而能遷.
적이능산 안안이능천
재물을 모으면서 능히 베풀 줄 알고,
안정된 것을 편안히 여기지만 능히 버릴 줄 안다.
臨財毋苟得, 臨難毋苟免, 狠毋求勝, 分毋求多.
임재무구득 임난무구면 흔무구승 분무구다
재물을 보고 구차히 얻으려 하지 않고,
어려움을 만나면 구차히 면하려 하지 않고,
이기려고만 하여 사납게 싸우지 않고,
나눌 때는 많이 차지하려고 하지 않아야 한다.
疑事毋質, 直而勿有.
의사무질 직이물유
의심나는 일에 대해서는 혼자서만 바로 잡으려 하지 말고,
바르게 말하되 고집을 부리지 말라 고 하였다.
(註1) 儼(의젓할 엄), 敖(놀 오), 狎(익숙할 압),
憎(미워할 증), 遷(옮길 천), 臨(임할 임),
苟(진실로 구), 免(면할 면), 狠(사나울 한), 疑(의심 의)
(註2) 의사무질(疑事毋質)은 혼자서만 해결하려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고,
직이물유(直而勿有)는 생각한 바를 바르게 말하되 선입견을 가지고 고집하지 않는 것이다.
락불가극(樂不可極)은 즐거움을 끝간 데 없이 하지 않는 것이니 중용의 도를 설명한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즐거움을 끝까지 누리고 싶어하지만,
그것이 탐욕이나 도를 넘어선 경우에는 반드시 재앙을 초래하게 된다.
자신의 즐거움을 한없이 추구하고 자신의 입장만을 강변하고
주장만을 고집하는 것은 어리석고도 어리석은 일이다.
출처: https://mong-grim.tistory.com/711 [할아버지가 읽어주는 고전이야기: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