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길도는 대표적인 남도의 섬 여행지로 꼽는 곳이다. 완도 남서쪽 32km 해상에 위치한 동서 12km, 남북 8km의 아담한 섬으로, 온대상록수림이 섬 전체를 융단처럼 감싸 이색적인 분위기가 짙은 곳이다. 완도군에 속해 있으나 해남 땅끝에서 가까워 여객선을 타면 1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보길도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고산 윤선도(1587-1671)의 생애다. 그는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8세 때 큰집에 양자로 가게 되어 해남윤씨 집안 대종을 잇는다. 그는 30세 되던 해 이이첨 일파에 대한 탄핵으로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고, 이때부터 유배와 은둔으로 이어지는 일생을 보낸다.
그는 1637년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통분하여 세상을 등지기로 결심하고 제주도로 향했다. 하지만 그는 중간에 머문 보길도의 수려한 풍광에 매료되어 이곳에 정착하기로 하고 부용동 정원을 꾸미기 시작했다. 고산은 자연을 노래한 많은 작품을 창작했고, 풍수지리, 천문, 음악 등에도 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와 ‘오우가(五友歌)’ 등 교과서에 등장하는 윤선도의 주옥같은 한시를 이곳에서 지었다고 한다. 그는 85세에 보길도에서 생을 마감했다.
격자봉으로 오르는 도중에 조망되는 부용리 일원의 조망.
윤선도가 기거했다고 알려진 부용동 원림유적(사적 제368호)에는 조선조 전형적인 정원 양식을 취한 낙서재(樂書齋), 세연지(洗然池), 동천석실 등이 남아 있다. 또한 송시열의 글이 쓰인 바위, 천연기념물 40호 예송리 상록수림과 해변 등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이 어우러진 여행지로 오래전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보길도는 섬 중앙에 대형 운동장을 연상케 하는 분지가 형성돼 있고, 분지 한가운데에 부용리 주민들의 식수원인 수원지가 자리하고 있다. 섬의 최고봉인 격자봉(格子峰·430m)은 이 분지 남쪽에 솟아 있다. 멀리서 바라보면 황소가 드러누운 듯한 산세를 지닌 격자봉은 산 전체가 온통 상록수인 동백나무로 우거져 있다. 예송리 상록수림과는 다른 밀림 속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주능선에 올라서면 암봉이 줄지어 나타나며 시원한 조망을 즐길 수 있어 산행하는 재미가 남다르다. 특히 격자봉 정상에서 북쪽으로 윤선도 유적지가 남아 있는 부용리 일원과 쪽빛 바다, 바다 건너 해남 땅끝과 달마산이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다.
산행은 부용동 세연정(洗然亭)을 기점으로 삼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길도의 관문인 청별나루에서 도보로 20분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 세연정에서 보길초교 앞을 지나 1km쯤 가면 ‘낙서재 0.7km, 동천석실 0.5km, 곡수당 0.65km’ 이정표가 서 있는 부용동사무소 앞에 닿는다. 이정표 앞에서 낙서재를 향해 5분쯤 가면 개울가에 곡수당(曲水堂) 터가 나타난다.
곡수당은 고산 윤선도의 아들 학관이 기거했던 곳으로, 지금은 옛 모습은 사라지고 논밭으로 변해 있다. 곡수당 터를 뒤로하고 약 100m 더 올라가면 고산 거처지인 낙서재(樂書齋) 터에 닿는다. 여기서 서쪽으로 200m 떨어진 산신당골로 들어서다가 격자봉 주능선으로 오른다. 낙서재 터를 거치지 않고 산신당골에 이르려면 부용리사무소 앞에서 곡수당으로 가다가 오른쪽 마을을 경유해 산신당골 입구에 이르면 된다.
산신당골 입구에서 시작하는 남쪽 사면의 뚜렷한 산길은 하늘이 보이지 않을 만큼 울창한 동백림으로 둘러싸여 있다. 답답할 정도로 빽빽한 숲 속으로 이어지는 가파른 산길을 따라 1시간가량 오르면 격자봉 정상인 누룩바위가 모습을 드러낸다. ‘뽀래기재 1.56km, 큰길재 1.82km, 예송리 2.72km’ 이정표가 세워진 정상 일대는 온통 상록수림으로 뒤덮여 있는데, 정상 오른쪽엔 추자도와 작은 섬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자리하고 있다.
산은 대개 동쪽 주능선을 타고 20분 거리인 안부에 이른 다음, 북쪽 낙서재로 내려선다. 아니면 정상에서 계속 동쪽 능선을 타고 진행해 큰길재에서 부용리나 예송리로 내려설 수도 있다. 천연기념물 제40호인 예송리 상록수림은 약 300년 전에 태풍을 막기 위해 이곳 주민들이 만든 숲으로 길이가 약 740m, 폭이 30m쯤 되는 반달모양의 매우 아름다운 숲이다. 숲을 이루고 있는 식물은 후박나무, 메밀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참가시나무,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팽나무, 작살나무, 구지뽕나무, 졸참나무 등이다. 상록활엽수림이라고 하지만 상당수의 곰솔이 자라고 있고 굵은 나무가 있다.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강한 바닷바람으로부터 마을과 농경지를 보호하는 방풍림의 기능은 물론, 물고기가 서식하기에 알맞은 환경을 제공하여 물고기떼를 유인하는 어부림의 구실도 한다. 해안에 발달해 있는 둥근 자갈 해변이 숲과 어울려서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 낸다. 예송리를 산행기점으로 삼아 들러도 좋다.
A.보길우체국~보길분소~윤선도문학관~세연정매표소~동천석실갈림길~곡수당~큰길재~수리봉~격자봉~누룩바위~뽀래기재~망월봉~망끝전망대 13Km (약5시간 소요)
B.예송리갯돌해변~큰길재~수리봉~격자봉~누룩바위~뽀래기재~망월봉~망끝전망대 6Km(3시간 소요)
^^ 마산역 기준 6시 출발.
● 준비물 : 점심및생수,기호식품,기타여벌에 옷.
● 회 비 : 60.000(조, 석식, 선비포함)
● 산행예약
★ 회 장: 010-6500-6569
★ 여총무: 010-8530-3434
입금계좌번호: 농협 302-8530-3434-81
장정혜 (경남월요산악회)
○ 버 스: 대성고속관광 경남72바 9503
배재현( 010-9319-5589)
○ 차량시간표: 대방동버스종점(04:55)~남양초등학교 (04:58) - 주상가(대동백화점)(05:05) - 창원시청(05:07) -일동아파트(05:09) - 사림동사무소(05:15) - 대동그린코아(05:18) -지귀상가(05:20) - 명서다리(05:22) - 도계주유소(05:28) - 39사단(05:30) -윤병원(05:32)창원역(05:35) - 한전(05:40) - 마산역(06:00) - 중리동신(6시15분)
첫댓글 1등 신청합니다 ^^
산행 예약시 좌석 지정은 불가하오니
산우님의 양해를 구합니다,
강정만창원역 김상문 주상가신청
선하영 외 1명 마산역 탑승입니다
신청합니다
신청합니다
신청합니다
신청해요
지원이랑 신청합니다
정민 신청합니다
신청합니다.
게스트1명 주상가
대방동종점 2명
이혜원외 1명 중리역 신청합니다
배순환 신청합니다
김용태 정일호 장정혜 신청
김미희 신청 마산역
조원형 신청 창원역탑승
남초2명예약합니다
남양초1명
주상가1명탑승입니다
김귀만 외 4명 신청
박승범 신청합니다
윤필순. 유현태. 백장미. 강창일. 표점연 신청
거침없이 마산역신청합니다
박응천신청
트리비앙탑승합니다
신청합니다
예약완료입니다
지금부터 취소자를 대비하여 대기신청받겠습니다
항상 월산을 성원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보길도신청하신분들은 성함. 연락처. 생년월일 회장님또는 총무에게 문자바랍니다
보길도 신청하신분께서는 배 예약관계로 회비는 선납이며 회원포함 게스트분들도 입금부탁드립니다
진동현 트리비앙탑승
이외용 신청합니다
진동현지인한분 신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