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회 탑승까지 10㎞이내 900원, 이후 매5㎞마다 100원씩 추가
7월1일부터 경기버스와 서울버스·수도권 전철 간 통합환승할인제가 시행된다. 이에 따라 경기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도 1통행당 평균 650원 정도의 환승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오는 7월 1일 첫차부터 적용되는 통합요금제는 교통카드로 서울버스와 경기도 일반형 시내버스·마을버스, 수도권 전철 간 통행거리를 합산해 기본구간 10㎞까지는 900원, 10㎞를 초과하면 5㎞마다 100원씩이 추가하는 방식이다.
이 제도는 2004년 7월 1일 서울시가 대중교통체계를 전면 개편하면서 도입한 제도로, 그동안 경기버스에는 적용되지 않아 경기에서 서울로 오가는 이들에게는 적지않은 부담을 안겼다.
그러나 다음달부터 통합환승할인제가 서울 경기간으로 확대됨에 따라 서울을 오가던 경기도민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서울과 경기 및 경기도를 오가는 경기버스 6770대(일반형 시내버스 5533대, 마을버스 1237대)의 하루 평균 이용건수는 83만건, 이를 1인으로 계산하면 평균 650원 정도의 할인혜택이 개인에게 돌아가게 된다.

다만, 기존에 적용됐던 동일 노선번호 버스 간의 환승시 할인은 경기도와의 협의를 통해 폐지된다.
시는 동일노선의 환승할인제가 환승목적이 아닌 이유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 이번 경기도와 협의과정에서 폐지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 좌석버스 → 경기도 일반형버스 → 서울버스(수도권전철)와 같이 경기도 좌석버스 이용에 따른 정액환승할인을 받은 경우 시스템 개발에 시간이 필요하여 당분간은 통합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어떻게 적용되나?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할인요금체계를 살펴보면, 우선 이용수단·횟수에 상관없이 5회 탑승까지 10㎞이내 900원, 이후 매5㎞마다 100원이 추가 책정된다.
예를 들어 ▶ 버스(4㎞)+버스 또는 지하철(6㎞) 총 10㎞ 통행시 900원+무료=900원만 내면 되지만, ▶ 버스(6㎞)+지하철(13㎞) 총19㎞ 통행시에는 900원+(추가)200원=1,100원이 부과된다.
또한 갈아탄 대중교통 통합거리가 10㎞이내이면 이용교통수단 중 높은 쪽의 기본요금을 부과하고 나머지는 무료로 환승된다.
예를 들어 ▶ 마을버스(3㎞)+마을버스(4㎞) 총 7㎞ 통행시에는 두 교통수단의 가격이 같아 600원+무료=600원이 부과되지만, ▶ 마을버스(3㎞)+시내버스(6㎞) 총 9㎞ 통행시에는 600원+300원=900원이 부과된다. 이 때에는 마을버스비가 600원이지만, 시내버스 가격이 900원이므로, 높은 쪽의 가격을 내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300원이 추가된 경우다.
그러나 환승거리 10㎞를 초과한 경우, 아무리 장거리를 가더라도 이용금액이 각 수단별 요금 합보다 많지 않게 하였다.
예를 들어, ▶ 버스+버스 총60㎞통행시 : 900원+(추가)1,000원-(감액)100원=1,800원이 되는데, 이는 거리로 계산했을 경우 버스 기본요금 900원에 5km당 100원씩이 추가돼 1900원을 내야 하나, 각 수단별 요금 합보다 많지 않아야 하므로 버스 기본요금(900) x 2를 넘지 않기 위해 100원이 할인된 경우다.
이러한 할인은 앞 교통수단 하차후 다음 교통수단 승차시까지의 갈아타는 시간이 30분 이내에서만 적용된다. 단 21시~07시까지는 60분의 여유를 두었다.
또 환승지하철 게이트에서 나온 후 다시 지하철로 환승할 때에는 통합환승할인이 안되므로 참고해야 한다.
이는 지하철역사내에서는 지하철게이트 진출입없이 호선간 환승이 가능하므로 지하철게이트를 통한 환승은 별도 목적통행(쇼핑, 업무 등)으로 간주하여 할인이 제외되었다.
대중교통 이용자가 이 같은 할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승·하차시 모두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접촉하여야 한다. 더욱이 대중교통간 환승 후 하차 시 교통카드를 태그 하지 않을 경우 패널티 요금이 부과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통합환승할인제 문의 ○ 경기도 요금정책 관련 : 031-249-3000 (콜센터) ○ 경기도 카드이용 관련 : 577-1472(eB카드사) ○ 서울시 요금정책 관련 : 120 (콜센터) ○ 서울시 카드이용 관련 : 1644-0088(한국스마트카드사) | | | |
하이서울뉴스/조선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