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 위빳사나 수행방법이 이미 국내에 소개되어 있어 수행자들이 다양한 위빳사나 수행법을 접할 수 있지만 막상 그것이 바른 수행법인지는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마하시 사야도께서 지으신 이 책은 바른 수행법을 찾는 많은 수행자들에게 위빳사나 수행법에 대한 '기준'을 분명하게 제시해 주는 '위빳사나 수행의 지침서'이다.
이 책에서는 불교 수행의 진수라고 할 수 있는 위빳사나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근거와 함께 설명한다. 1권에서는 위빳사나 수행의 바탕이 되는 계와 삼매를 설명한 뒤, 실재와 개념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통해 위빳사나의 대상을 밝히고, 성전근거를 통해 관찰방법에 대한 이론을 설명한다.
2권에서는 실제로 위빳사나 수행을 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 뒤, 여러 성전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함께 실제 수행자에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면서 위빳사나 지혜가 향상되는 모습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수행이나 그 근거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해석들도 곳곳에서 지적하면서 바른 방법을 알려준다.
[알라딘 제공]
저자소개
저자 : 마하시 사야도
저자 마하시 사야도 우 소바나(SOBHANA)는 제6차결집 질문자이자 최승대현자이신 마하시 사야도는 1904년 7월 29일, 미얀마의 세이쿤에서 출생하여 1916년에 사미계, 1923년에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1929년부터 따운와인갈레이 강원에서 강사로 지내다가 1931년에는 밍군 제따완 사야도의 가르침을 받아 위빳사나 수행을 직접 실천하였다. 1941년에는 사사나다자 시리빠와라 담마짜리야에 합격하였다. 1949년부터는 양곤의 마하시 수행센터에서 위빳사나 수행을 지도하며 국내는 물론 국외로도 바른 위빳사나 수행법을 널리 선양하였다. 1954년의 제6차 경전결집 때에는 질문자와 최종결정자의 역할을 맡았고, 1957년에는 악가마하빤디따(최승대현자)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1982년 8월 14일, 세람 78세, 법랍 58세로 마하시 수행센터에서 입적하였다. 『VIPASSANA SHUNIKYAN(위빳사나 수행방법론)』, 『VISUDDHIMAGGA MAH..IK. NISSAYA(위숫디막가 대복주서 대역)』를 비롯하여 70권이 넘는 저서와 법문집이 있다.
역자 : 비구 일창 담마간다
역자 비구 일창 담마간다(DHAMMAGANDHA)는 1996년 서울대 화공과를 졸업하고 해인사 백련암에서 원융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범어사 강원을 졸업하였고 2000년과 2005년 두 차례 미얀마에 머물면서 미얀마 어와 빠알리 어 등을 공부하고 찬매 센터, 파옥 센터, 마하시 센터 등에서 수행하였다. 현재 진주 녹원정사에서 초기불교에 대해 정기적으로 강의를 하고 있으며, 한국마하시선원에서 지내며 우 소다나 스님의 통역을 도와 드리고 있다. 저서로 『부처님을 만나다』가 있다.
감수 : 우 소다나 사야도
감수자 우 소다나(SODHANA) 사야도는 1957년 미얀마 머그웨이 주(MAGWAY DIVISION)에서 출생하여 1972년에 사미계, 1979년에 비구계를 구족하였다. 1990년에 담마짜리야 법사 시험에 합격하였고 잠시 몽유아 조티카 빨리 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95년에 마하시 수행센터에서 수행한 뒤 외국인 법사학교에서 5년간 수학하였다. 그 뒤 마하시 수행센터에서 수행지도법사로 내국인 및 외국인 수행자를 지도하다 2002년에 처음 한국에 왔다. 2007년 8월부터 한국마하시선원 선원장으로 지내며 경전과 아비담마를 강의하면서 강릉 인월사, 천안 호두마을 등지에서 위빳사나 수행을 지도하고 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1권 목차>
제1장 일러두기와 계청정
일러두기
출가자의 계청정
1. 계목단속 계
2. 생계청정 계
3. 필수품관련 계
⑴ 필수품관련 계의 의미
⑵ 빚수용의 의미
⑶ 범계 여부
⑷ 반조
4. 감각기능단속 계
⑴ 감각기능단속
⑵ 단속이 생겨나는 모습, 무너지는 모습
⑶ 수행하기 전에 단속하는 모습
⑷ 수행으로 단속하는 모습
⑸ 명심해야 할 것의 요약
재가자의 계청정
1. 네 가지 계
2. 오랫동안 계가 청정하지 않고서도 계청정이 생겨나는 모습
⑴ 잘못된 견해
⑵ 다섯 가지 장애
⑶ 관련 예화
⑷ 제도가능자들의 계청정
⑸ 선업토대자들의 계청정
3. 수행에 의해 계청정이 구족되는 모습
⑴ 다섯 종류의 계
⑵ 수행으로 모든 계가 구족되는 모습
4. 계에 기반을 두는 모습
5. 특히 기억해야 할 것
제2장 마음청정
위빳사나 수행자의 마음청정
1. 마음청정이란 삼매다
2. 위숫디막가와 대복주서
3. 맛지마 니까야 주석서 - 도를 닦는 두 가지 방법
⑴ 사마타 행자
⑵ 위빳사나 행자
4. 빠띠삼비다막가
5. 쌍 수행법과 법 들뜸 제거법
6. 정리
벗어남과 벗어남의 장애
1. 첫 번째 벗어남과 장애
2. 두 번째 벗어남과 장애
3. 세 번째 벗어남과 장애
4. 네 번째 벗어남과 장애
5. 다섯 번째 벗어남과 장애
6. 여섯 번째 벗어남과 장애
7. 일곱 번째 벗어남과 장애
8. 여덟 번째 벗어남과 장애
⑴ 모든 선법을 실천하면 된다
⑵ 위빳사나만 실천하면 된다
⑶ 특별히 숙고하는 여러 모습들
삼매의 장애와 해결하는 여러 방법들
1. 첫 번째, 두 번째 장애와 해결하는 방법
2. 세 번째, 네 번째 장애와 해결하는 방법
3.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장애와 해결하는 방법
4. 위빳사나 마음이 한 대상에 머무는 모습
제3장 위빳사나 수행의 관찰대상
빠라맛타와 빤?띠의 구별
1. 빠라맛타의 의미에 대한 성전들
⑴ 띠까 ?와 주석서
⑵ 까타왓투 주석서
⑶ 빤짜빠까라나 근본복주서와 복복주서
⑷ 성전들이 일치하는 모습
2. 빠라맛타와 빤?띠의 올바른 의미
⑴ 빠라맛타의 올바른 의미
⑵ 빤?띠의 올바른 의미
3. 빠라맛타와 빤?띠의 다른 점
⑴ 빠라맛타와 빤?띠
⑵ 빤?띠로 알 수 있는 의미
위빳사나의 대상
1. 분명한 대상
2. 내부 대상 - 제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유하는 모습
3. 현재 대상
⑴ 현재만을 관찰해야 하는 이유
⑵ 훌륭한 하룻밤 경
⑶ 새김확립 긴 경
4. 추론관찰 위빳사나의 대상
수행방법의 원용
1. 수행방법의 원용
⑴ 사마타 행자의 관찰법-앙굿따라 니까야
⑵ 사마타 행자의 관찰법-위숫디막가
⑶ 수행방법의 원용
2. 사대를 모두 알지 않고 아라한이 되는 모습
3. 사리뿟따 존자의 위빳사나
4. 그릇된 견해
5. 결어
제4장 관찰방법과 경전의 대조
위빳사나 관찰방법의 개요
1. 기본적인 관찰방법
2. 생겨난 개념으로 관찰하는 의미
3. 경전지식 없이 특성 등을 알 수 있는 모습
4. 특성 중 하나만 알 수 있다
여섯 문에서 새기는 모습
1. 볼 때 새기는 모습
⑴ 볼 때 다섯 가지 법들이 드러나는 모습
⑵ 성전 근거
⑶ 말루짜뿟따 경
⑷ 번뇌를 새겨 제거하는 모습
⑸ 직접적으로 보여 주는 여러 근거들
2. 들을 때 등에 새기는 모습
⑴ 들을 때 새기는 모습
⑵ 냄새 맡을 때 새기는 모습
⑶ 맛볼 때 새기는 모습
3. 닿을 때 새기는 모습
⑴ 기본 관찰법
⑵ 드러나는 다섯 법
⑶ 들숨날숨을 새기는 모습
⑷ 사대를 새기는 모습
4. 알 때 새기는 모습
⑴ 개요
⑵ 몸 거듭관찰
⑶ 느낌 거듭관찰
⑷ 마음 거듭관찰
⑸ 법 거듭관찰
새김확립의 공덕
1. 새김확립의 이익과 유일한 길 590
2. 부처님의 장담 594
3. 특별히 주의해야 할 사항 598
부록 1 칠청정과 그에 따른 지혜단계들 600
부록 2 눈 감각문 인식과정 602
부록 3 욕계 마음 문(意門) 인식과정 603
부록 4 마음부수 604
부록 5 물질 608
참고문헌 610
주요 번역 술어 616
찾아보기 628
<2권 목차>
제5장 실제 위빳사나 수행방법
위빳사나의 준비수행
기본 관찰법
1. 처음 수행을 시작하는 모습
2. 새김을 늘려 나감
3. 수행법 요약
위빳사나 지혜의 향상
열반의 증득
1. 열반 대상으로 넘어가는 모습
2. 과에 드는 모습
3. 지혜 단계를 분명하게 관찰해 보는 방법
4. 위의 도와 과를 위해 수행하는 방법
격려와 당부
1. 격려의 말
2. 특별히 주의할 점
제6장 지혜 단계에 대한 결정
정신ㆍ 물질 구별의 지혜와 견해청정
조건파악의 지혜와 의심극복청정
1. 조건파악의 지혜
2. 조건파악의 지혜가 생겨나는 다섯 가지 방법
3. 의심극복청정
4. 작은 수다원
⑴ 작은 수다원
⑵ 태어날 곳이 정해진 생의 한계
⑶ 부처님의 훈계
명상의 지혜
1. 명상의 지혜는 방법적 마음기울임과 같다
2. 명상의 지혜가 생겨나는 모습
⑴ 명상의 지혜가 생겨나는 열한 가지 대상
⑵ 물질에 대한 명상의 지혜
⑶ 나머지 정신과 내부ㆍ외부 등에 대한 명상의 지혜
3. 성전 외 주석서에 나온 여러 방법들
⑴ 기능을 예리하게 하는 아홉 가지
⑵ 물질 7개조 = 물질을 관찰하는 일곱 가지 방법
⑶ 정신 7개조 = 정신을 관찰하는 일곱 가지 방법
생멸의 지혜와 도ㆍ비도 지견청정
1. 위빳사나 평온의 법체와 작용
⑴ 위빳사나 평온과 생멸의 지혜
⑵ 생멸의 지혜가 생겨나는 모습
2. 생멸의 지혜의 위력을 알려 주는 구절
⑴ 다섯 가지 특성
⑵ 일부 스승들의 견해
⑶ 다른 스승들의 견해
⑷ 결정
3. 추론관찰 지혜가 생겨나는 모습
4. 현재를 시작으로 관찰해야 하는 이유
5. 위빳사나를 시작한 이
6. 위빳사나 부수번뇌 〓 위빳사나를 오염시키는 법들
7. 도ㆍ비도 지견청정
무너짐의 지혜 등과 실천 지견청정
1. 실천 지견청정
2. 생멸이 드러나면 세 가지 특성도 드러난다
3. 무너짐의 지혜로 나아가는 모습에 대해 특별히 기억해야 할 사항
4. 무너짐의 지혜가 생겨나는 모습
두려움의 지혜, 허물의 지혜, 염오의 지혜
1. 두려움의 지혜
2. 허물의 지혜
3. 염오의 지혜
4. 세 지혜의 차이
벗어나려는 지혜, 재성찰의 지혜, 형성평온의 지혜
1. 벗어나려는 지혜
2. 재성찰의 지혜
3. 형성평온의 지혜
4. 형성평온의 지혜는 앞의 두 지혜와 같다
수순의 지혜, 종성의 지혜, 도와 과의 지혜
1. 수순의 지혜
⑴ 동일 거듭관찰 인식과정
⑵ 출현으로 인도하는 위빳사나
⑶ 동일 거듭관찰 인식과정 두세 번
⑷ 두세 번을 서른두 번으로 바꾼 설명
2. 종성의 지혜
3. 도의 지혜, 과의 지혜
특별히 주의해야 할 사항
반조의 지혜
1. 반조의 지혜
한 가지 반조만 생겨나는 경우도 있다
2. 제거하는 번뇌
3. 수다원 판단기준 . 법의 거울 경
⑴ 법의 거울 경
⑵ 성제자들의 신심이 확고한 모습
⑶ 성자들의 계가 매우 청정한 모습
4. 성자들의 의혹
5. 중대한 반조 일곱 가지
과 증득에 입정하는 모습
1. 과 증득이란 무엇인가
2. 누가 입정하는가, 누가 입정하지 못하는가
3. 과에 입정하는 것의 이익
4. 과 증득에 이르는 모습
5. 과 증득에 머무는 모습
6. 과 증득에서 출정하는 모습
7. 항상 수행하며 지냄과 항상 수행하며 지내지는 않음
열반에 관한 논의
1. 열반
2. 열반과 존재않음이라는 개념은 같지 않다
3. 형성과 열반은 서로 반대이다
4. 유여열반과 무여열반
5. 감각장소의 소멸로서의 열반
6. 기억해야 할 것의 요약
제7장 중대한 위빳사나 열여덟 가지
무상 거듭관찰
1. 무상, 무상의 특성, 무상 거듭관찰
2. 무상 거듭관찰이 생겨나는 모습
3. 제거
⑴ 항상하다는 인식을 제거한다
⑵ 제거되는 번뇌
4. 무상을 알면 괴로움과 무아도 안다
5. 무상 거듭관찰에 대한 요약
괴로움 거듭관찰
1. 괴로움, 괴로움의 특성, 괴로움 거듭관찰
2. 괴로움의 특성 세 가지
3. 제거
4. 괴로움 거듭관찰에 대한 요약
무아 거듭관찰
1. 무아, 무아의 특성, 무아 거듭관찰
2. 드러나는 모습
3. 덩어리 개념 네 종류
4. 제거
5. 무아 거듭관찰에 대한 요약
세 가지 관찰에서 특별히 기억해야 할 사항
염오 거듭관찰
애착 빛바램 거듭관찰
소멸 거듭관찰
다시 내버림 거듭관찰
지금까지의 요약
다함 거듭관찰
사라짐 거듭관찰
변함 거듭관찰
특별한 견해
표상없음 거듭관찰
원함없음 거듭관찰
공함 거듭관찰
높은 통찰지 법 관찰 위빳사나
여실지견
허물 거듭관찰
재성찰 거듭관찰
물러섬 거듭관찰
결어
부록 1 칠청정과 그에 따른 지혜단계들
부록 2 눈 감각문 인식과정
부록 3 욕계 마음 문 인식과정
부록 4 마음부수
부록 5 물질
역자후기
참고문헌
주요 번역 술어
찾아보기
첫댓글 사두 사두 사두 _()_()_()_
사두사두사두_()()()_
_()__()__()_사두사두사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