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일주일 간의 단기방학이 주어졌기에 잠시 틈을 내어 딥미터 조립을 시작했습니다.
오래동안 미루었던 터라 이미 성공하셨던 회원님들의 제작 성공담이나 조언들을 참고하였습니다.
만들기는 했는데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알아내기가 어렵군요.
우선 제가 알아본 이상한 부분입니다.
1. 주파수조절 저항을 돌리면 발진이 정지됨(프러그인 코일 중앙단자 전압이 8V고정된 상태로 변하지 않음)
2. 발진강도 조정저항을 돌리면 프러그인 코일의 중앙단자 전압이 8V~3V정도 변하며 주파수 변화가 생김
3. 오디오 출력에 이어폰을 끼워 소리를 들으면 플리커잡음이 심하게 들림(이어폰 빼면 단자는 OPEN상태)
4. Key 단자에 이어폰을 끼우면 이주 약한 1000Hz정도의 소리가 들림
5. 미터의 바늘은 매우 불규칙적인데 주파수조절기를 돌렸을때 발진이 멈추면 전류세기가 1/3 ~ 1/10정도로 뚝 떨어지며 세기가 그 이후에는 변하지는 않음
6. 미터감도조절저항을 돌리면 발진 도중에는 바늘이 한계치를 넘기도 하나 발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크게 변하지 않음
사진 첨부합니다.
이것은 처음에 나타난 문제로 트리머 콘덴서를 약간 조정하니 정상복구됨

발진은 되고 있음을 볼수 있습니다. 카운터 입력은 루프안테나처럼 도선을 4바퀴 감은 전선으로 했습니다.

목표값이 1.2마이크로 코일인데 측정해보니 1마이크로헨리입니다. 자세한 것은 나중에 재조정하기로 하고 실험에 들어갑니다.

가장 낮은 주파수 상태로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주파수조정기를 조금 시계방향으로 돌렸더니 주파수는 낮아지고 발진 출력은 뚝 떨어집니다. - 다른 장치에서 확인

주파수 조절기를 조금 더 돌리면 발진이 정지됩니다.

오른쪽 발진강도조절기를 최대로 하니 다시 발진이 됩니다. 그리고 주파수도 높아집니다.

다시 주파수조절기를 약간 돌리니 발진은 또 정지됩니다.

주파수 조절기를 최저로 하고 발진강도를 최대로 하면 주파수가 제법 올라가는군요.

발진 강도를 비교하기로 하였습니다.

주파수 조절기를 조금 돌리면 발진 강도가 아래처럼 떨어집니다. ㅠㅠ

주파수조절기를 조금 더 돌리니 발진은 꺼지고 마는군요.

다음으로 오디오 출력을 이어폰으로 들어보니 따닥거리는 플리커 잡음이 들려서 스코프에 넣어 보았습니다.



잡음 신호는 매우 불규칙적입니다. 수평주파수가 좀 빠른 상태(2밀리초)라 겹쳐졌습니다.

잡음 부분은 제 추측으로 회로판에 묻은 플럭스 청소가 안되서 그런게 아닐까 싶은데
조절기 부분은 회로에 이상이 있는지 아니면 배선오류인지 머리좀 써야겠군요.
혹시 도움주실분 계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맥샘 서임철
첫댓글 잘만드셨습니다~이번기회에 딥메터 박사 되시겠습니다 !! 풍부한 설명사진 감사합니다. 도움요청하셨으니 금방 해결되겠죠~
고맙습니다. 잘 해결이 안되네요. 주파수 조절을 돌리면 발진이 멈추네요.
아직 도움 주시는 분이 안계시는군요. 혹시 PCB판을 바꿔보아야 할까요? 눈으로는 확인해보기가 어렵습니다.
답변이 늦었습니다.
1. 먼저 주파수조정 볼륨과 발진강도 조정 볼륨의 위치가 바뀐것 같습니다.
주파수(FREQUENCY) 조정 볼륨은 10KR 볼륨으로 J6에 연결이 됩니다.
발진강도(OSCILLATION) 조정 볼륨은 2KR 볼륨으로 J5에 연결이 됩니다.
PCB에 적힌 값대로 하시면 안되고, 파트리스트에 적힌 값대로 연결하셔야 합니다.
또,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주파수가 내려가는 문제는 볼륨의 1번과 3번 핀을 바꾸시면 해결이 됩니다.
2. 오디오 출력은 평상시 아무소리 안나오는게 정상이고,
Key In 단자에 키를 연결하여 키를 누르면 발진음이 나오는 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회로도를 잘 살펴보시면, 발진부에서 시작해서
메타부를 거쳐서 오디오 아웃이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즉, 현재 정확한 발진이 되지 않고 있으면 오디오 아웃쪽으로 노이즈 흘러나갈수 있습니다.
먼저 발진부가 제대로 구현이 되고 난 다음 오디오아웃 및 키인 부분에 대한 검토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3. 코일이 잘못되면 말씀하신것과 같이 부분 부분 발진이 안되는 대역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먼저 볼륨 바꿔보시고, 문제가 계속 되면 다시 상의하시면 좋겠습니다.
4. 발진강도 조절 부분은 전체 볼륨에서 약 20-30% 정도만 먹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5. 주파수 조정을 부드럽게 하려면 10KR 볼륨을 멀티턴 정밀저항으로 교체하면
주파수 변환이 부드럽게 됩니다.
기타 궁금한 사항 있으면 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을 주셨는데 이제야 확인합니다. PCB에 적힌 값을 그대로 연결한게 문제였군요. 시간날때 수정해보고 또 연락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 뒤로 아직 손을 대지 못했거든요.